본문 바로가기
  • 바로 지금이지. 그 때가 따로 있는 것은 아니다. 법정스님 .
한국특산식물

식물의 명칭에 대해서.

by 부용-芙蓉- 2006. 11. 8.

 

 

식물의 명칭에 대해서.

 

 

식물의 이름..
 


식물의 이름이란?


 식물종에 부여된 이름은
국제식물명명규약에 기준한 '학명'과
우리나라에서만 쓰는 '국명',
각 국가별로 자신의 언어와 문자로 표기하는 '외국명'(영명,일본명,등) 등이 있으며.
각 지방에서 사용하는 '향명'이 있습니다..
 
식물종과 종 이하의 분류군의 학명은 2명법을 사용합니다..
즉 속명과 종소명,명명자로 이루어진 학명을 사용하고,
종'이하의 분류군에 대해서는 종'이하의 구분자와 그 종'이하의 분류군명을 기록합니다  .


국제식물명명규약(Interbational Code of Botanical Nomenclature : ICBN)을 두어 지키도록 권장하는 것은 무엇보다도 식물의 이름에서 혼란을 주는 명칭을 사용하지 않도록 하고, 둘째로 불필요한 명칭의 창안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학명이란.


 학명(Scientific name)은 라틴어화된 모든 분류명칭을 의미하고, 종명(Specific name)은 속명(genus), 종소명(specific epithet). 명명자명(author's name)으로 표시된 종의 이름을 의미한다.  
종소명(Specific epithet)은 2명법에서 속명 다음의 명칭으로서
종소명만으로는 식물의 명칭이 될 수 없다


학명을 사용하는 이유.
지방 혹은 특정 국가에서 사용하는 향명(vernacular name)이나
일반명(common name)으로 인간에게 알려진 전세계의 모든 식물종을
일대일로 지칭하기에는 부족합니다.
또한, 향명은 동일 언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에게만 사용할 수 있으며
세계공통으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이러한 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국제식물명명 규약에서 정한 방식으로 학명을 사용하여
전세계적으로 통일된 이름을 사용합니다.
또한, 학명을 사용하게 되면
학명은 속명과 과명등의 상위 분류군에 대한 정보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종(species)
  생물분류의 기본단위로서 서로 생식이 가능한 개체군의 집단을 말한다.
spp 와 sp
spp.는 species의 복수로서 속내의 전체 또는 여러 종을 의미하고, sp.는 species의 단수 로서 불명확한 종이지만 속내의 1종만을 의미함.

 
식물의 분류
   사람의 편의상(약용식물, 수중식물 등)으로 분류하는 인위분류와,
   식물의 유사성(양치식물, 종자식물 등)으로 분류하는 자연분류가 있다.
 
식물분류의 단계.
     1.문(Phylum) : -phyta,
     2.강(Class) : -opsida,
     3.목(Order) : -ales,
     4.과(Family) : -aceae,
     5.속(Genus),
     6.종(Species)의 단계가 있다.
 
   분류군 문, 강, 목, 과에는 "아(Sub-)" 등을 아문, 아강, 아목, 아과를 추가할 수가 있으며,
   종 밑에는 아종(ssp.), 변종(var.), 품종(form.) 등을 사용할 수가 있다.
 
 


과명.




 
과명 이상(문, 강, 목)의 분류체계는 학자의 시각에 따라 다르게 사용할 수가 있으나,
과명부터는 정명을 사용토록 권장하고 있다. 
그러나 과명에서도 다음과 같은 화본과 등 8개 과는 관행명을 인정하고는 있지만
근래에 들어 점차 정명이 많이 쓰이고 있다
 
 






정명과 이명의 차이.


 국제식물명명규약에서는
학명을 발표하여 이를 사용하는데 엄격한 기준을 두고 있습니다.


특히, 발표시 규약에서 정하고 있는 절차를 지키지 않은 경우에는
정당 공표되지 않은 것으로 학명으로 다루지 않습니다.
정당공표와 유효발표된 학명은 합법명이 됩니다.


합법명이라도
동일한 종에 이름이 부여된 경우 발표된 순서에 따라 선취권이 부여됩니다.
일반적으로 선취권이 부여된 학명이 정명이 되고
발표의 시기가 늦거나 다른 여러 가지 이유로 사용되지 않는 학명은
단 하나의 정명에 귀속되는 이명이 됩니다 


이명이 많은 이유.
종에 대한 학자들 사이의 시각차이 때문에 이명이 양산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현재 Eclipta prostrata L.(1753)로 쓰고 있는 한련초의 예를 들면,
이 종명은 사실상 이명법의 원년이 되는
1753년 Linnaeus의 Species Platalum에 수록된 이름이다.
 
그런데 이상하게도 린네는 속명을 Vervesina 로 바꾸면서
2개 형으로 나누어 포복형을 Vervesina prostrata L. (1753)로,
직립형을 V. alba L. (1753)로 명명하였다.
 
그는 또다시 18년후 이상하게
직립형 한련초V. albaE. erecta L. (1771)로 변경하면서도
포복형 한련초V. prostrata L.는 그대로 놓아 두었다.
 
그리고 17년 후 1848년 Hasskal이
2종은 다르지 않다 하여 E. alba (L.) Hassk.로 통합하였다.
 
따라서 E. alba (L.) Hassk.이라는 이름은
1981년 Koyama와 Boufford 가 제안할 때까지 별 탈없이 사용되었다.
Koyama & Boufford에 의하면 2종은 1848년보다 16년이나 빠른 1832년에
이미 Roxburg에 의해 E. prostrata L.로 통합되었다고 하였다.
따라서 우선권에 따라 E. prostrata L.가 정명이라고
International Botanical Congress(IBC)에 제안을 하였다.
이 제안은 받아 들여져 E. prostrata L.가 정명이 되었고,
그 외의 모든 이름은 이명이 되었다.
 
이처럼 린네의 갈팡질팡 하는 시각 때문에 100년 이상 혼란을 가져왔다.
이 외에도 종명을 가지고 다투는 예가 많다.
 
변종명이 종명으로 승격되면서 정명이 이명이 된 예도 있다.
Fumaria bulbosa var. solida L. (1753)은 F. solida (L.) Miller (1771)으로 변경되었다.


이명이 틀린 이유
국내에 초우점 잡초인 바랭이는 Digitaria ciliaris (Retz.) Koel.가 정명이다. 미국에 많이 서식하고 있는 D. sangunalis (L.) Scop.는 이명도 아니고 부정확한 이름이라고 생각된다.  
국내에 초우점 잡초인 물피는 Echinochloa crus-galli (L.)P. Beauv. var. crus-galli가 정명이다. 유사종 E. caudata Roshev. 또는 E. caudata var. caudata (Roshev.) Kitag.는 이명도 아니고 부정확한 이름이라고 생각된다.  
Ulmus racemosa Thomas (1831)는 신종으로 정당공표되었다 하더라도
동일한 이름으로 타종에 사용한 이름 Ulmus racemosa Borkh. (1800)이 있으므로
이명도 될 수 없다

 


국명과 외국명.


 국명은 식물 종에 대해서 우리나라에서 사용되는 이름을 지칭합니다.

우리 국가식물표준목록에서는
국명에 대해서는 통일된 사용을 위하여 추천명을 만들어 사용하고 있습니다.
 
각 국가별로 자신들의 식물상 혹은 국가식물목록에서 사용하고 있는
자신의 언어와 문자로 된 식물명이 있습니다.
 
우리 국가식물목록 에서는 영명, 일본명, 중국명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올바른 식물명 표기..
 


학명 명명과정.


 식물의 학명은 국제식물명규약에서 정하고 있는 절차에 따라 사용할 수 있습니다.
4-5년마다 개최되는 국제식물학회(International Botanical Congress)의
식물명명 분과위원에서 개정, 수정하고 있으며
세부사항으로는 의무조항인 규칙(rule)과
임의조항인 권고(recommendation)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분류(分類)와 명명(命名)은
식물의 이름을 따라서 식물군 분류체계 상의 위치가 정해지므로
분리해서 다룰 수 없습니다


국제식물명명규약(國際植物命名規約)의 목적
ICBN(International Code of Botanical Nameclature Code)
   1.모든 식물의 이름에 안전성을 부여하고,
     주어진 분류계급의 분류군의 이름은 하나의 이름만 갖도록 한다.
   2.학명의 정확성 유지
   3.사용되는 모든 학명의 선취권을 지정하는 것을 목적


국제식물명명규약(國際植物命名規約) 6가지 기본원칙
1.식물명명규약은 동물명명규약과 독립적이다.
2.특정한 분류균을 명명하는 것은 명명상의 기준표본이라는 수단을 통해서 이루어진다.
3.분류군의 명명은 출판의 선취권의 기초한다.
4.각 분류군은 규칙에 의해 가장 먼저 정해진 단 하나의 정명을 가진다(일부 예외존재)
5.학명은 라틴어화 되어야한다.
6.식물명명규약은 특별한 제한이 없는 한 소급력이 있다.
 
분류학의 중요 연구분야
분류학의 중요한 연구분야는 새로운 분류군을 명명을 하는 것 이외에
기존의 분류군을 새롭게 연구하여 두 개 이상의 분류군으로 나누거나 혹은 합치거나
한쪽에 속하는 분류군을 다른 상위분류군로 옮기는 등 입니다.
분류군의 정확한 학명(correct name)은 단 하나이며
이런 단일 학명은 반드시 정명(legitimate name)이면서
합법명(valid name)이 되어야 합니다.
 
식물의 이름변경 조건
우리에게 익숙하고 많이 인용된 식물의 이름을 바꾼다는 것은 불편할 때도 있지만,
식물 이름의 안정성 때문에 규약으로 강력하게 규제하고 있다.
불가피 식물의 이름을 바꿔야 할 경우는 다음 세조건에 부합되어야 합니다.
   1.규약에 비추어 옳게 사용되고 있지 않은 이름을 발견하였을 때(명명법상의 변화)
   2.분류군의 통합, 분리, 이전 등의 분류학적 변화가 생겼을 때(분류학적 변화)
   3.어떤 분류군의 이름이
      다른 분류군의 이름으로 잘못 부여된 사실을 알아냈을 때 등입니다

 


학명의 표기방법.






 
학명은 모두 라틴어 또는 라틴어화한 단어를 사용한다.
 
속명의 머릿글자는 대문자로,
종소명은 소문자로 시작해서 쓰고, 이태릭체, 볼드체, 밑줄 등으로 표시한다.
 
종소명이 2개 이상의 단어일 경우에는
물피 Echinochloa crus-galli (L.) P. Beauv. 등과 같이 하이픈으로 연결해서 쓴다.
 
종명은 벼 Oryza sativa L. 에서와 같이 속명, 종소명, 명명자 순으로 표시한다.
 
속명의 경우 벼 O. sativa L.와 같이 첫머리 대문자만 표시가 가능하지만
최소 1회는 완전한 학명을 표시해야 한다.
종소명을 줄여서 Oryza s. L.로 쓸 경우 혼란을 줄 우려가 있다.
 
명명자의 축약방법은 규정상 권고사항으로
임의로 축약해서 쓰면 혼란을 줄 우려가 있기 때문에
de Candolle=DC. ; C.Linnaeus=L. ; Michaux=Michx. ; J.P.
de Beauvois=P. Beauv. ; G. Beauverd=Beauverd ; A.Brown=Brown ; R.
Brown=R. Br. 등과 같이 권고를 따르는 것이 좋다.
 
원명자는 반드시 괄호 안에 표시한 후 새 명명자를 표시해야 한다.
예을 들면 강아지풀은 Panicum viride L.에서 Setaria viridis (L.) P. Beauv. 로
변했기 때문에 린네 이름을 괄호 안에 표시해야 하며,
개구리밥은 Lemna polyrhiza L.에서 Spirodela polyrhiza (L.) Schleid. 로
변했기 때문에 린네 이름이 괄호 안에 있다.
 
아종명(ssp.)과 변종명(var.)은 실질적으로 같은 분류군이다.
예를 들면 올챙이고랭이 Scirpus juncoides ssp. hotarui (Ohwi) T.
Koyama와 Scirpus juncoides var. hotarui (Ohwi) Ohwi는
각각 유럽과 미국 분류학계의 차이라고 볼 수 있다.
즉, 유럽에서 공부한 학자는 고집스럽게 아종(ssp.)을 쓰고,
미국에서 공부한 학자는 변종(var.)을 쓰고 있다.
 
명명자 다음에 "f."자가 붙어 있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filius (=son)의 약자로서 명명자 아들이란 뜻이다.
예를 들면, 물달개비 Monochoria vaginalis (Burm.f.) Presl,
검정말 Hydrilla verticillata (L.f.) Casp. 등이 있다.
 
종명을 2인이 공동으로 발표된 경우에는 ㅇㅇ와 ㅇㅇ라는 표시로 et 또는 & 표시를 한다.
예를 들면, 중대가리풀 Centipeda minima (L.) A. Braun et Asch. 등이 있다.
 
종명을 3인 이상이 공동으로 발표된 경우에는 ㅇㅇ등이란 뜻으로 et al.로 표시한다.
 
타인의 문헌에 발표한 경우에는 "in"으로 표시하며,
Monochoria hastata (L.) Solms in DC.의 경우에는
Solms가 디캔돌(DC)의 문헌에 발표를 했다는 뜻이다.
따라서 2인중 1인을 생략할 경우에는
당연히 DC가 양보하여 Monochoria hastata (L.) Solms로 쓸 수가 있다.
 
명명 제안자와 정당공표자가 다른 경우에는 ex로 표시해서 구분함.
예를 들면, 나도겨풀Leersia japonica (Honda) Makino ex Honda 의 경우에는
비록 Makino 가 제안은 했더라도 Honda가 공표를 했으므로
여기에서는 2인 중에 Makino가 양보를 하여
Leersia japonica (Honda) ex Honda로 쓸 수가 있다.
 
새로운 종을 발견하거나 이름을 바꾸고자 할 경우에는
먼저 규약에 어긋나지 않는 출판물에 공표를 해야 하고(유효공표),
다음에는 규약상 알맞은 기재를 해야 하고(정당공표),
그 다음에는 우선권 원리에 따라 먼저 발표를 해야(합법명) 정명이 될 수가 있다.






학명 읽는 방법.






 
주로 학술적으로 사용되는 생물에 대한 이름을 학명(Scientific name)이라고 한다.
이는 지역에 따라 달리 쓰이는 일반명(Common name)과는 달리
전세계적으로 한 생물 당 한 개밖에 없고 이름을 통하여 식물의 형태나 분포를 짐작할 수 있어 편리하다.
예를 들어 소나무는 우리나라에서만 사용되는 일반명이고

학명을 Pinnus densiflora ZIEB. et ZUCC.이다.


학명은 속명, 종명, 명명자 순으로 이루어졌으며 라틴어를 사용한다. 
따라서 피누스 덴시플로라 지볼디이 에트 죽까르니히라고 읽어야 한다.

명명자는 모르더라도 속명과 종명을 알아두면 편리하다


 학명은 될 수 있는 대로 라틴어로 쓰고,
이름지은 학명은 반드시 라틴말 소리값으로 읽어야 한다. 
그런데 이미 소리값이 사라진 라틴어를 정확하게 읽는 것은
유럽 사람들조차도 완벽하지 못한 게 사실이다.
하지만 누구나 같이 읽자고 만든 학명이라면 될 수 있는대로 옳게 읽어야 할 것이다.
누구는 이렇게 다른 이는 저렇게 읽는다면 우리가 굳이 학명을 써야 할 까닭이 없을 것이다.
 
보다 정확하게 말하자면,
학명을 같은 서양 언어라고 해서 영어나 독일어 식으로 읽어도 안되며,
그렇다고 아무렇게나 자기 편할대로 읽는 것은 더욱 아니라는 말이다.
물론 정식으로 안 배우고 처음부터 알 수는 없는 일이고,
또한 남의 나라 말이니 더욱 어려움이 따르는 것은 당연하다.
그렇기는 해도 누구나 안틀리고 읽는 부분은 우리도 이제는 옳게 따라야 한다는 뜻에서
여기 몇 가지 반드시 지켜야 할 원칙을 적어본다.
 
(가) 모음
1) 모든 모음은 따로 읽는다.
2) 주로 과(Family) 이름에 나오는 겹모음은 한 소리로 읽는다.
    예컨대 과 이름 Pinaceae는 '파나체애'로 속명 Paeonia는 '패오니아'로 읽어야 한다.
3) isms '이'로 읽고 '위'로 읽으면 안 된다.
4) y는 단어 앞 첫 음절에 놓이거나, 그 바로 뒤에 모음이 나오든지,
    또는 두 모음 사이에 놓였을 때 '이'로 읽지만, 그 밖에는 모두 '위'로 읽는다.
5) 겹모음 eu는 음절 앞에 오면 '오이'로, 끝에 붙으면 '에우'로 따로 읽어야 한다. 
예컨대 Euonymus는 '오이오뉘무스'로, coccineus는 '콕치네우스'로 읽어야 한다.
 
(나) 자음

1) 모든 c는 e, i, ae, oe, y 앞에서는 'z'로 읽고,
     다른 모음이나 자음 앞에서는 'k'로 읽는다.
     예컨대 Picea는 '피체아'로 Caesalpinia는 '채살피니아'로,
     Acer는 '아처 또는 아체르'로, Circium은 '치르치움'으로,
     Cydona는 '치도니아'로, Cacalia는 '카칼리아'로 읽는다


Crytocoryne ciliata 크립토코리네 칠리아타
Crytocoryne cordata 크립토코리네 코다타
Ceratopteris pteroides 체라토프테리스 프테리오데스
Echinodorus amazonicus 에키노도루스 아마조니쿠스
2) 겹자음 cc는 'kz'로 읽는다. 예컨대 coccineus는 '콕치네우스'로 읽는다
Saururus cchinensis 사우루루스 치넨시스
Rotala occultifolia 로탈라 옥쿨티폴리아
3) 자음 q, g, s는 모음 u가 뒤에 오면 하쳐서 'qv', 'gv', 'sv'로 읽어야 한다.
    예컨데 Quercus는 퀘르쿠스(!)가 아닌 '크베어쿠스'로 읽어야 한다.
Marsilea quadrifolia 마시레아 크바드리폴리아
4) j는 자음이지만 모음 앞에서는 겹모음처럼 읽어야 한다.
     예컨대 japonica는 자포니카(!)가 아닌 '야포니카'로 읽어야 한다.
Isoetes japonica 이쇠테스 야포니카
Nuphar japonicum 누파 야포니쿰
5) 라틴어 자음은 써진 대로 모두 읽어야 한다.
 
6) 자음 가운데 g는 '그'로 소리난다.
    예컨대 은행나무 학명인 Ginkgo biloba는
    '징코 비로바'가 아니라 '깅코 빌로바'로 읽어야 한다.
Ludwigia arcuata 크립토코리네 칠리아타
Anubias gigantea 아누비아스 기간티아
Anubias gilletii 아누비아스 길레티이
Anubias gracilis 아누비아스 그라치리스
7)
-ti 다음에 모음이 따르면 -tia "시아",    -tie "시에", -tii "시이", -tio "시오"로 발음한다.     그러나 -ti에 액센트가 붙을 때와 -ti 앞에 s, x, t가 오면     본 발음대로 "뜨" 또는 "ㅌ"로 발음 한다.
Bolbitis heteroclita 볼비티스 헤테로크리타
Pistia stratiotes 피스티아 스트라시오테스
Crytocoryne becketii 크립토코리네 베케티이
8) 희랍어 유래 : ch(χ), ph(φ), th(θ), rh(ρ)는 희랍어에서 유래하였는데
    각각 "ㅋ, ㅍ, ㅌ, ㄹ" 로 발음한다.
    이렇게 자음 2개가 겹치는 경우는 보통 희랍어인 경우가 많다.
    희랍문자와 로마자는 음을 표현하는 철자 체계가 다른데
    희랍어의 철자에 해당되는 로마자가 없는 상황에서
    본래의 음을 최대한 가깝게 표현하기 위해서 이런 표기 방식을 택한 것이다.
Rotala wallichii 로탈라 왈리키이
Nuphar japonicum 누파 야포니쿰
Nymphaea rubra 님페에아 루브라
Alternanthera reineckii 알테란테라 라이네키이
Crinum thaianum 크리넘 타이아눔




재배종의 표기..




재배종의 표기.
재배식물종은 별도의
국제규약(International Code of Nomenclature Cultivated Plants:ICNCP)이
정하는 절차에 의해 재배명을 명명하게 됩니다.
재배종의 이름은 라틴어로 기재하지 않으며 현대어로 사용합니다.


예로서 Camella japocica cv.Purple Dawn
혹은 cv. 라는 재배종의 약자를 사용하는대신
Camellia japonja 'Purple Dawn'라고 기재합니다.
재배종의 이름은 단순히 속의 이름 다음에
혹은 잡종이름 다음에 혹은 일반명 다음에 기재하기도 합니다


재배종 표기조건
1.재배명은 단순히 'Rose' 'Onion'등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일반명을 사용해서는 안되며,
   種의 학명이 변경되는 경우에도 재배식물의 이름은 바뀌지 않습니다.
2.같은屬에 속하는 여러 재배식물의 이름은 동일 이름이 허용되지 않습니다


접목잡종 규정
접목잡종은
유성생식(有性生殖, sexual reproduction)을 통하여 이루어진 잡종이 아니라,
대목(臺木, stock)의 영양조직과
접목(接木, scion)의 영양조직이 붙어서 이루어진 잡종인데,
유성생식잡종의 명명과 같으나 '×' 대신에 '+'를 씁니다.
 
예.
Cytisuspurpureus + Laburnum anagyroides
잘 알려져 있는 접목잡종 라일락(Syringa +correlata)은
유성생식잡종과 접목잡종을 겸한 재배식물이 됩니다.
(Syringa × chinensis +S. vulgaris).
 

 

 

 

 



학명구성 및 해석방법


 1. 학명은 種(species) 이하의 학명은 2개의 단어 (二名法, binomial)를 사용합니다
2. 2개의 단어중 속명은 명사이고 수는 단수, 주격이고
    종소명은 형용사형을 띠어 명사인 속명은 성에 따라 라틴어 문법규칙을 따라야 합니다.
3.종하(infraspecific) 분류군 이름의 표기는 종명과 함께 계급의 순서대로 씁니다.
      예: Ainus fruticosa Rupr. var. mandshurica Call. : 털만주오리나무. 
           Ainus fruticosa Rupr. var. mandshurica Call. for. pubescens T. Lee
4. 잡종(雜種)의 표기는 양친종(兩親種)의 종소명 사이에 'X'를 넣어서 씁니다.
            예:정능참나무, Querusacutissima X variabillis Naka
5. 속간(屬間) 잡종의 표기는 양친 사이에 'X'를 넣어서 쓰고
    새 종명이나 속명이 마련되었으면
    그 앞에 'X'를 써서 종간 또는 속간 잡종임을 나타냅니다.
6. 학명의 끝에는 학명을 처음 지은 명명자의 이름을 기록합니다.
       예 : Elymus X Hordeum = X Elyhordeum.
 
 


명명자 이름의 표기.


 명명자의 이름은 동명 이인 혹은 동일한 性을 사용하는 경우
이들 명명자를 구별하기 위하여 명명자의 축약은
Brummitt Powell(1995)의 "Author for Plant Names"를 따라서 사용합니다.
   예 : L. for Carl Linnaeus,"L. f." = 린네의 아들,
         DC. for Augustin Pyramus de Candolle, A.
         DC. for Alphonse Louis Pierre Pyramus de Candolle (1806-1893)
 
학명의 속명이 바뀌는 경우
원래 학명을 명명한 명명자의 이름을 기록하기 위하여 괄호를 이용합니다.
예 : Lonicera marilandica L. → Spigelia marilandica (L.) L.,Aster
      | carolinianus Walt. to Lasallia | caroliniana (Walt.) Semple
 
학명의 명명자가 2명일 경우에는 '&'나 'et'로 연결합니다.
예 : 큰원추리, Hemerocallis middendorfii Trautv. et Meyer
 
최초의 명명자(A)가 유효 출판을 하지 못하고
그의 학명을 유효 출판한 사람(B)이 따로 있을 경우에는
명명자의 이름을 'A ex B'로 기록합니다.
예 : Gossypium tomentosum Nutt. ex Seem
 

'한국특산식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금강초롱꽃  (0) 2006.11.08
모데미풀  (0) 2006.11.08
자주족도리풀  (0) 2006.11.08
노랑갈퀴  (0) 2006.11.08
한국 특산식물이란?  (0) 2006.10.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