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바로 지금이지. 그 때가 따로 있는 것은 아니다. 법정스님 .

원예종 외/원예종 모음164

아스파라거스 [Asparagus]마이어스(열매) 백합목 백합과에 속하는 관속식물입니다.유럽 원산이며 밭에 식용으로 재배하는 여러해살이 풀이에요. 키 1.5m가량이고, 뿌리줄기는 짧고, 옆으로 길어지며, 뿌리는 굵어요. 가지는 잎 모양이고 길이 1~2cm, 5~8개씩 속생한답니다. 아스파라거스의 잎은 어긋나며, 비늘 모양 또는 침형으로 작아요. 꽃은 5~6월에 수꽃과 암꽃이 다른 개체에 피는 암수딴그루이며, 잎겨드랑이에 1~2개씩 달리고, 황록색이에요. 꽃 차례자루는 길고 중앙 위쪽에 마디가 있어요. 화피는 종 모양이며 6갈래로 갈린답니다. 수술은 6개, 화피보다 짧고, 꽃밥과 수술대는 길이가 같아요. 열매는 장과, 둥근 모양, 8월에 붉은색으로 익는답니다. 우리나라 전역 및 전 세계에서 널리 식용작물로 재배하고 있어요. 어린줄기를 나물, 샐러드 등의 .. 2025. 3. 4.
레몬 2025. 2. 3.
황금사 선인장 황금사 선인장 :  자생지 멕시코털,가시 : 황금색 꽃말 : 정열, 열정​꽃색깔 : 봄,가을, 흰색에 가까운 연노랑 꽃을 피움. 2025. 2. 3.
안시리움(홍학꽃) 천남성과에 속하는 아메리카 열대산 식물. 일부 종은 화려한 색상의 꽃(불염포)을 가지고 있어관상용으로 인기가 있다.꽃이 귀한계절 한겨울 온실에서 만나 눈을 호사스럽게한다 2025. 1. 18.
털머위가 있는 풍경 털머위 는 국화과의 늘푸른 여러해살이풀이다.잎자루를 먹으며 잎은 민간에서 약으로 쓰이지만 머위와 달리 독이 있어 조심해야 한다.한국·일본 원산으로 울릉도 및 제주도 등 남해안 섬 지방에 주로 분포하며, 바닷가 숲속, 습기가 충분한 반그늘 지역에서 잘 자란다. 2024. 12. 5.
추명국(대상화) 추명국은 가을을 밝히는 국화라고 붙여진 이름.추명국, 대상화, 가을아네모네 라고도 불르는 이름입니다.국화과는 아니고 미나리아재비과 식물입니다추명국 꽃말 :  시들어 가는 사랑 ​ 2024. 10. 16.
꽃무릇,석산<수선화과> 꽃말: 이룰 수 없는 사랑, 슬픈 추억, 애절한 사랑. 수선화과에 속하는 알뿌리식물로  여러해살이풀. 꽃줄기가 30~50센티미터 정도이고 산기슭이나 풀밭에서 자라며 한약재로 쓰인다 2024. 9. 28.
피마자꽃,아주까리<대극과> 버들옷과에 속한 한해살이풀. 높이는 2미터 정도 되고, 잎은 손바닥 모양으로 길며 어긋맞게 난다. 줄기는 속이 비어 있고 8~9월에 불그레한 꽃이 피며, 열매는 가시가 있고 길둥근 씨 세 개가 들어 있는데... 씨로 기름을 짠다. 열대 아프리카 원산으로 온대 각지에서 재배한다. 2024. 9. 18.
무슨꽃일까? 아무리 검색해봐도 찾을수가 없네요.잎은 새낏유홍초를 닮았는대 꽃은 전혀 아니네요.혹시 아시는 분들 도움을 청해 봅니다.^^ 2024. 9. 11.
흰강낭콩<장미목 > 콩과 > 강낭콩속> 꽃꽃은 8월에 흰색으로 피고 원뿔모양꽃차례를 이룬다. 꽃받침은 깊게 갈라지며 기꽃잎은 서지만 용골꽃잎은 꼬인다.열매열매는 협과로 줄 모양이고 길이 10cm이며 짧은 털이 있는 것도 있다. 종자에 무늬가 있다. 2024. 9. 10.
더덕꽃 강원도 어느집 창가에 곱게 키운 더덕꽃.... 2024. 9. 4.
여주 열매 열대원산 과일의 하나로, 수세미와 비슷한 박과 식물. 한자 발음을 그대로 읽은 고과라고 부르기도 한다. 과일로 분류되는 것은 수박, 멜론 등의 박과 식물들이 주로 과일로 인정받는 과일채소로 분류되기 때문인데, 맛으로 보나 용례로 보나 실질적으로는 오이, 박과 같은 채소로 사용된다. 2024. 9. 3.
붉은강낭콩<콩과 > 강낭콩속> 꽃꽃은 8월에 붉은색으로 피고 원뿔모양꽃차례를 이룬다. 꽃받침은 깊게 갈라지며 기꽃잎은 서지만 용골꽃잎은 꼬인다.열매열매는 협과로 줄 모양이고 길이 10cm이며 짧은 털이 있는 것도 있다. 종자에 무늬가 있다.******콩보다 꽃이 참 예뻐서 비오는 날 길가다 강원도에서..... 2024. 9. 3.
능소화 금등화(金藤花)라고도 한다.중국이 원산지이다.옛날에서는 능소화를 양반집 마당에만 심을 수 있었다는 이야기가 있어, 양반꽃이라고 부르기도 한다.가지에 흡착근이 있어 벽에 붙어서 올라가고 길이가 10m에 달한다.잎은 마주나고 홀수 1회 깃꼴겹잎이다.작은잎은 7∼9개로 달걀 모양 또는 달걀 모양의 바소꼴이고 길이가 3∼6cm이며 끝이 점차 뾰족해지고가장자리에는 톱니와 더불어 털이 있다.꽃은 8~9월경에 피고 가지 끝에 원추꽃차례를 이루며 5∼15개가 달린다.꽃의 지름은 6∼8cm이고, 색은 귤색인데, 안쪽은 주황색이다. 꽃받침은 길이가 3cm이고 5개로 갈라지며, 갈라진 조각은 바소 모양이고 끝이 뾰족하다. 화관은 깔때기와 비슷한 종 모양이다.수술은 4개 중 2개가 길고, 암술은 1개이다.열매는 삭과이고 네모.. 2024. 7. 27.
꽃범의꼬리 2024. 7. 22.
꽃창포<백합목 > 붓꽃과 > 붓꽃속> 꽃은 6-7월에 피고 원줄기 또는 가지 끝에 달리며 적자색이고 안쪽에 황색 줄이 있다. 꽃 밑부분은 갈색 엽초상의 포 2개가 씨방을 둘러싼다. 외꽃덮이는 3개이며 굵은 화경위에서 판연이 밑으로 처지고 타원형 원두로서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맥이 있고 밑부분은 황색이다. 내꽃덮이는 3개이며 외꽃덮이와 어긋나기하여 곧추서고 피침형 둔두로서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외꽃덮이 색과 같다. 암술대는 곧추서고 3개로 갈라지며 갈라진 끝에 곧은 삼각상의 열편이 있고 그 밑에 암술머리가 있다. 씨방은 연녹색이며 하위이다. 2024. 6. 23.
붉은토끼풀<콩과(Leguminosae)> 홍차축조(紅車軸草)·붉은토끼풀꽃·홍삼엽(紅三葉)·금화채(金花菜)라고도 한다.유럽 원산이다. 풀밭에서 자란다. 높이 30∼60cm까지 자라며 전체에 털이 있다.잎은 어긋나고 3개로 갈라진 겹잎이다. 작은잎은 긴 타원형으로 끝이 둥글거나 다소 파이며 가장자리에 잔 톱니가 있고 표면 중앙에 八자의 흰 무늬가 있다. 턱잎은 잎자루의 밑부분에 붙어 있고 끝이 뾰족하고 가장자리는 밋밋하다. 꽃은 6∼7월에 피고 홍색빛을 띤 자주색을 띠며 잎겨드랑이에 둥글게 모여 달린다. 꽃받침은 통 모양으로 끝이 5개로 갈라지고 뾰족하며 털이 많다.식물체의 수명이 짧으나 뿌리는 깊게 들어간다. 사료로 심고 있으나 번져나간 것이 야생상으로 자라고 있다. 토끼풀과 비슷하지만 꽃자루가 거의 없고 포가 없으며 원줄기에 퍼진 털이 있다.유.. 2024. 6. 21.
흰양귀비<양귀비목 > 양귀비과 > 양귀비속> 분포지역 :  함북(웅기, 두만강 연안)에 나며 만주, 아무르, 우수리에 분포한다.형태 :  두해살이풀크기 :  높이 50cm에 달한다.잎 :  잎은 밑부분에서 모여나기하고 엽병은 길며 장 타원형이고 우상으로 깊이 갈라지며          열편은 피침형으로 끝이 뾰족하고 가장자리에 결각상 톱니가 있으며 전년도의 엽병이 남아 있다.꽃 :  꽃은 6~7월에 백색으로 피고 긴 화경 끝에 1개씩 달린다.         꽃받침 조각은 2개로 타원상 주형, 꽃잎은 4개가 교호마주나기하며 도란상 원형, 수술은 다수,        암술머리는 합쳐져서 방추형으로 된다.열매 :  과실은 삭과로 거꿀달걀모양이고 위쪽 구멍에서 종자가 나온다.줄기 :  전체에 굵은 털이 밀생한다. 2024. 6.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