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바로 지금이지. 그 때가 따로 있는 것은 아니다. 법정스님 .

전체 글7793

장백폭포와 두메양귀비 두메양귀비 과 명 : 양귀비과 분포지 : 함경북도(백두산) 개화기 : 7~8월 결실기 : 9월 용 도 : 관상용 높은 산의 중턱에서 자라는 두해살이풀로 백두산에서 많이 볼 수 있다. 전체에 거칠고 누운 털이 많이 나 있고 뿌리로부터 1~3회 깃꼴로 갈라지며 잎자루가 약간 긴 편이다. 꽃은 7~8월경에 .. 2007. 12. 22.
백두산의 애기금매화들 애기금매화:높은 산의 습기가 있는 풀밭에서 자란다. 한국(평북·함남·함북)·일본·중국 동북부·사할린에 분포한다 키는 30~60㎝이며, 잎은 둥근 심장 모양으로 털이 없고 5갈래로 깊게 갈라지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뿌리에서 잎자루가 긴 잎이 나오며 줄기에 달리는 잎은 잎자루.. 2007. 12. 21.
한강에서본 일몰 07년 12월 15일 한강에서 본 일몰의 순간들. 2007. 12. 21.
남산에서본 일몰 잔영 2007. 12. 20.
광각렌즈로본 남산 일몰 2007. 12. 20.
남산에서일몰전 빛내림. 2007. 12. 20.
남산에서본 일몰 2007. 12. 20.
여우주머니 2007. 12. 20.
벌개미취 학명 : Aster koraiensis Nakai 과명 : 국화과 향명 벌개미취(북한) 쌍떡잎식물 초롱꽃목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 분포지역 : 한국·일본·중국 북부 및 북동부·몽골·시베리아 서식장소 : 깊은 산속 습지 크기 : 높이 야생 약 1.5m, 재배 약 2m 깊은 산속 습지에서 자생하나 재배하기도 한다. 높이는 야생이 1.5m 정도이고 재배하는 것은 약 2m이다. 2007. 12. 19.
가을속에 주산지 2007. 12. 19.
비금도의 일몰 2007. 12. 18.
해국 과 류 : 국화과 개화기 : 9~10월 초 장 : 20cm- 30cm 용 도 : 관상용 자생지 : 동해안 지역의 바닷가 바위틈 번 식 : 실생, 삽목 상태적특성 : 내서성(강) 내한성(강) 내습성(중) 내건성(강) 조경상 특징 햇볕이 많은 곳의 척박하고 건조한 토양이 좋다. 주걱모양의 두터운 잎과 꽃이 관상가치가 높은 식물이다. 뿌리가 강건하여 정원석 사이나 돌이 많은 화단에 식재하여도 잘 적응한다. 관리 요령 토양을 가리지 않는 식물로 배수와 통풍이 잘되는 강한 햇빛이 있는 곳이 적지이다. 6월 중순경 1차 적심을 하여주면 많은 가지를 분지시킨다. 2007. 12. 18.
비금도의 일몰잔영 2007. 12. 17.
비금도의 일몰잔영 / 2007. 12. 17.
비금도의 일몰과 전야 2007. 12. 17.
눈오는 날의 두물머리풍경 눈오는날의 두물머리의 아침 풍경! 경기 양평군 양서면 양수1리 두물머리하면 잘모르시는분들 양수리(兩水里) 하면 아신다 두물머리란? 태백산을 발원으로 하는 남한강과 금강산을 발원으로 하는 북한강이 만나는 곳 "두물머리" 남한강과 북한강이 만나 합류(合流) 하는곳 지류(支流)가 만나 합류하면 물이 엄청나게 불어난다. 두물머리가 유명해진것은 90년대에 " 첫 사랑"이란 영화가 촬영되면서 그리고 방송과 CF 촬영이 이곳에서 많이 촬영되면서 많은 사진가들에게 애호를 받는장소가 되었다. 이른새벽 물안개와 함께 산너머로 떠오르는 일출이 장관인 이곳, 황포 돛배와 큰 당상나무인 (느티나무가) 마스코트로 서있는 두물머리 교통이 발달 되기전 예전에는 강원도 정선과 단양을 거처 마포나루까지의 중간 정박지로 유명하던 나루터라.. 2007. 12. 17.
흰눈속에 애기국화! 2007.12월 16일. 아침 부용. 2007. 12. 16.
관곡지 연꽃 2007. 12.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