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바로 지금이지. 그 때가 따로 있는 것은 아니다. 법정스님 .

나무열매,나무,나무꽃465

피라칸카(장미과 > 피라칸타속) 장미과 피라칸타속(Pyracantha)에 속하는 가시가 달린 상록관목. 유럽 남동부와 아시아가 원산지이다. 편편한 구형의 화려한 열매 때문에 관상용으로 재배되는데, 울타리를 치거나 과수를 받치는 지주로 쓰이기도 한다. 넓은 타원형의 작은 잎이 짧은 잎자루에 달리며 작은 흰 꽃이 무리 지어 핀다. 꽃이 핀 뒤 오렌지색에서 불그레한 색을 띠는 열매가 맺히는데, 겨울에 접어들 때까지 줄기에 단단하게 붙어 있다. 수세가 단단하고 열매가 아름다워 분재의 소재로도 많이 이용된다. 2021. 12. 7.
멀꿀 꽃,열매,씨앗(으름덩굴과 > 멀꿀속) 으름덩굴과에 속하는 상록 덩굴식물. 한국, 일본, 타이완 등의 지역에 분포하며 열매를 식용한다. 줄기는 5m까지 뻗으며 계곡과 숲속에 서식한다. 추위에 약해서 한반도의 남쪽 해안 지방과 섬 지역에 자생한다. 열매나 약재를 얻기 위해 재배하기도 한다. ***** 멀꿀 꽃은 2008년 4월 제주에 어느집 돌담에서 만나 담고 열매를 무척 만나고 싶었는데 ... 금년에 거제의 몇군데서 야생으로 만날 수 있어서 참 행복했었다. 길가에 떨어진 열매를 주워 모아 사진도 담고 과즙도 먹어 보았으나 과즙이 꿀맛 갖다고 멀꿀이라 했다는데 씨앗만 가득 차있고 맛은 상상했던 꿀맛은 아니었네요.^^ 2021. 12. 4.
꼬리겨우살이,붉은겨우살이 한나무에 겨우살이,붉은겨우살이,꼬리겨우살이가 함께공존해요. 한나무에 이렇게 삼종셋트가 함께 공존하는 곳은 이곳이 처음이야요. 꼬리겨우살이 꼬리겨우살이 꼬리겨우살이 겨우살이와,붉은겨우살이(붉은겨우살이는 얼치기이죠) 겨우살이와,붉은겨우살이(붉은겨우살이는 얼치기이죠) 겨우살이와,붉은겨우살이(붉은겨우살이는 얼치기이죠) 붉은겨우살이(붉은겨우살이는 얼치기이죠) 붉은겨우살이(붉은겨우살이는 얼치기이죠) **** 얼치기의 뜻 **** 똑똑하지 못하여 탐탁하지 않음. 이것도 저것도 아닌 중간치. 이것 조금 저것 조금 섞인 것. 2021. 11. 28.
겨우살이 참나무·물오리나무·밤나무·팽나무 등에 기생한다.둥지같이 둥글게 자라 지름이 1m에 달하는 것도 있다.잎은 마주나고 다육질이며 바소꼴로 잎자루가 없다.가지는 둥글고 황록색으로 털이 없으며 마디 사이가 3∼6cm이다.꽃은 3월에 황색으로 가지 끝에 피고 꽃대는 없으며,작은 포(苞)는 접시 모양이고 암수딴그루이다.화피(花被)는 종 모양이고 4갈래이며, 열매는 둥글고 10월에 연노란색 또는 빨강색으로 익는다.과육이 잘 발달되어 산새들이 좋아하는 먹이가 되며 이 새들에 의해 나무로 옮겨져 퍼진다. 2021. 11. 27.
멀꿀열매(으름덩굴과) 제주도, 전라남도, 경상남도, 충청남도 등 도서 지역의 표고 700m 이하에 자생하는 난대 수종이다. 멀굴, 멀꿀나무, 먹나무 등으로도 불린다. 원산지는 한국과 일본이다. 한방에서는 멀꿀의 줄기와 뿌리를 야모과(野木瓜)라고 하는데, 심장 근육의 수축력을 증강시키고 소변을 잘 못보는 증상에 주로 쓴다. 임상보고를 보면 수술 후 각종 동통을 가라앉히고 환제는 외상동통, 내장동통, 수술 후 동통, 신경통, 두통 등에 진정·진통효과를 보였다고 한다. 전라도와 제주도에서는 열매를 식용하고 꽃향기가 좋아 관상용으로 재배하기도 한다. 생울타리 등의 조경수로 쓰이며 분재 소재로 애용된다. 멀꿀 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해열제, 간 보호용 조성물, 색조 화장료 복합 분체 등에 관한 특허가 다수 출원되어 있다. 2021. 11. 23.
산수유(열매) 2021. 11. 2.
감나무 2021. 10. 30.
탱자나무(열매) 2021. 10. 25.
뽕나무 (열매) 2021. 10. 25.
댕댕이덩굴 열매 방기과에 속하는 낙엽 덩굴나무. 원산지는 일본과 대한민국, 중국이며, 들판이나 숲 가에 서식한다. 크기는 약 3m이다. 꽃말은 ‘적선’이다. 댕강넝쿨이라고도 부른다. 서로에게 얽혀 들어가 덩굴을 만들어낸다. 2021. 10. 8.
큰낭아초 낭아초는 이리의 어금니(낭아. 狼牙)처럼 보여 붙여진 이름입니다. 콩과로 중국이 원산이며,낙엽관목이다.키는 1~2m이다. 도로공사시 사면(斜面)안정화를 위해 식재(植栽)했는데 지금은 도로변,강둑,들판으로 퍼져 있다. 큰낭아초는 낭아초에 비해 전체적으로 크다는 뜻의 이름이다. 꽃은 6~9월에 잎겨드랑이에 홍자색으로 피며, 양성화이고, 5~10㎝ 길이의 수상꽃차례(穗狀花序)를 이룬다. 열매는 10월에 달린다. 콩과 식물의 특성을 잘 보이는 품종으로, 꽃이 마치 촛대모양으로 위로 솟구쳐 올라간다. 낭아초와 큰낭아초는 모양은 비슷하지만 낭아초는 풀이고 큰낭아초는 관목 형태의 나무이다. 낭아초는 부산과 제주도 등 바닷가에서 자생하고 꽃은 7월에서 8월에 걸쳐 피는데 큰낭아초도 꽃피는 시기는 비슷하다. 그러나 낭아.. 2021. 9. 24.
산딸나무 열매 2021. 9. 23.
털괴불나무 열매 2021. 9. 22.
참회나무 열매 참회나무 열매 하이키로 담아봤어요.^^ 2021. 9. 15.
참회나무 열매 너무 예뻐서 많이 담았어요. 이렇게 열매가 많이 달린 참회나무는 화류개 시작한후 처음 만났어요.^^ 2021. 9. 12.
금강애기나리(열매) 2021. 9. 3.
이스라지열매 이스라지 : 당옥매(唐玉梅)·참옥매화라고도 한다. 앵두나무와 흡사하고 열매 역시 작지만 앵두와 비슷해서 산앵두라 부른다. 유사종으로 잎맥에 털이 많은 것을 털이스라지, 작은 꽃자루에 털이 없고 꽃받침 조각에 톱니가 있으며 씨방과 암술대의 밑 부분에 갈색 털이 빽빽이 나는 것을 산이스라지라 한다. 우리나라가 원산지이다. 2021. 8. 16.
때죽나무 열매 2021. 8.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