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바로 지금이지. 그 때가 따로 있는 것은 아니다. 법정스님 .

전체 글7798

마름 2022. 8. 16.
갈퀴나물 2022. 8. 16.
물옥잠 2022. 8. 16.
돌콩 2022. 8. 16.
사마귀풀 2022. 8. 16.
자귀풀 2022. 8. 16.
깨풀 2022. 8. 16.
택사 2022. 8. 16.
등골나물 2022. 8. 16.
물여뀌 경상도와 경기도 및 북부지방의 물가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 뿌리줄기는 옆으로 길게 뻗으면서 마디에서 수염뿌리를 내린다. 물에서 자라는 여뀌라는 뜻. 전체에 털이 없고 잎이 다형성을 보이는 점이 특징이다. 2022. 8. 16.
뚜껑덩굴 2022. 8. 16.
애호리병벌(벌목 > 호리병벌과 > 향로잎벌속) 몸길이 암컷 16∼19 mm이다. 암컷의 몸빛깔은 흑색이며 몸에 점각이 많은데 머리 ·가슴 ·배자루마디에서는 거칠고 크며 다른 배마디에서는 미세하다. 머리방패 위의 八자무늬, 더듬이 사이의 세로줄, 앞가슴등판 양 옆의 큰 무늬, 가운뎃가슴등판 양 옆의 점무늬, 어깨판 주변과 작은방패판 위의 큰 무늬, 제1∼제2배마디 뒷가두리의 띠무늬는 황색이다. 다리는 넓적다리마디 끝부와 종아리마디 밑부는 갈색이다. 수컷은 암컷과 비슷하지만 무늬에 차이가 있다. 성충은 5∼9월에 나타나며 나방의 유충을 사냥해서 새끼의 먹이로 삼는다. 한국 ·일본 ·유럽 ·북아프리카에 분포한다. 암컷은 몸에 점각이 많은데 머리. 가슴. 배자루마디에서는 거칠고 크나 다른 배마디에서는 미세하다. 몸빛은 흑색이나 머리방패 위의 인자 무늬와 간.. 2022. 8. 15.
장미 한송이 5월에 만발했던 아파트앞 장미꽃이 아직도 한송이 곱게 피어 비를 함박맞고 나를 기다리는듯.... 구찮아도 카메라를 들고나가 한방 찍어 주지 않을 수 없었다.^^ 2022. 8. 14.
노랑땅나리 노랑땅나리 예쁜모습 만나려고 간절히 소망한끝에 너를 만날 수 있어 장마철에 잠시나마 행복할 수 있어 좋았었다.^^ 2022. 8. 13.
계요등 낙엽성 관목의 덩굴식물로 근경이나 종자로 번식한다. 남부지방에 분포하며 대청도와 울릉도까지 바다를 따라 올라가 산지나 해변에서 자란다. 덩굴줄기는 길이 3~6m 정도이고 윗부분은 겨울동안에 죽으며 어린 가지에 잔털이 다소 있다. 마주나는 잎은 길이 4~10cm, 너비 1~7cm 정도의 난형 또는 난상 피침형으로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6~7월에 원추꽃차례로 피는 꽃은 백색에 자주색 반점이 있다. 열매는 지름 5~6mm 정도로 둥글며 황갈색으로 익고 털이 없다. ‘호자덩굴’에 비해 덩굴성이고 잎은 낙엽성이다. 관상용으로 심는다. 2022. 8. 12.
땅나리<백합과 > 백합속> 꽃은 7월에 피며 윗부분의 가지끝과 원줄기끝에 1-8개의 꽃이 밑을 향해 달린다. 화피열편(花被裂片)은 6개로서 황적색이고 안쪽에 뚜렷하지 않은 자주색 반점이 있으며 길이 3-4cm로서 거꿀피침모양이고 뒤로 거의 완전히 말린다. 밀구(蜜溝) 양쪽에 털이 약간 있으며 6개의 수술과 1개의 암술이 길게 꽃 밖으로 나오고 꽃밥은 붉은 빛이 돌며 암술대가 씨방보다 짧다. 2022. 8. 11.
노랑망태버섯 올해는 노랑망태버섯 보기도 참 힘듭니다. 예전에 나온던 곳 몇곳을 찾아 보아도 눈에 보이지 않네요. 간신히 모기에게 헌혈 잔뜩하고 만나 것이 요모양 요꼴입니다.^^ 2022. 8. 9.
중나리 2022. 8.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