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바로 지금이지. 그 때가 따로 있는 것은 아니다. 법정스님 .

야생화와 풍경3001

털중나리 2015. 6. 28.
갯청닭의난초 2015. 6. 25.
구실바위취 2015. 6. 23.
검정종덩굴 2015. 6. 23.
분홍바늘꽃 2015. 6. 23.
참나리난초(가칭 큰꽃옥잠난초) 2015. 6. 23.
참좁쌀풀 2015. 6. 23.
흰엉겅퀴 2015. 6. 23.
갯봄맞이 갯봄맞이 멸종위기 2급식물 갯봄맞이. 갯봄맞이는 함경도 해안에서 자생하는 것으로 알려진 쌍떡잎식물. 앵초목 북방계 식물로 2012년 7월 환경부 멸종위기 야생생물 2급으로 지정됐다. 바닷가 습지에 자라는 식물로 전체에 털이 없고, 분백색이 나는 녹색, 잎은 다소 밀생하며 잎자루는 .. 2015. 6. 19.
분홍은방울꽃 6월1일 홍천 분홍은방울꽃 2015. 6. 7.
은대난초 6월1일 홍천 은대난초 2015. 6. 7.
나도범의귀 5월27일 검룡소 나도범의귀 2015. 5. 31.
대성쓴풀 5월27일 검룡소 2015. 5. 31.
흰괴불나무 2015. 5. 27.
백작약 2015. 5. 20.
흰애기송이풀 분류 현화식물문 > 목련강 > 국화아강 > 현삼목 > 현삼과 > 송이풀속 서식지 수량이 많은 계곡의 그늘진 북사면 크기 잎자루 길이 10~15cm, 꽃줄기 길이 6cm 학명Pedicularis ishidoyana 멸종위기등급 멸종위기야생생물 2급 국내분포 개성 천마산, 경기도 연천, 가평, 포천, 강원도 횡성, 충.. 2015. 5. 15.
김의난초 학명 : Cephalanthera longifolia (L.) Fritsch 분포지역 : 강원도 해안가와 울릉도 일부 종류 : 색을 나타내는 난류 개화기 : 4~5월 생육특성 김의난초는 강원도 해안가와 울릉도 일부에서 나는 다년생 초본이다. 생육환경은 주변에 소나무가 많이 있고 토양은 모래로 되어 있으며 물 빠짐이 좋고 햇볕.. 2015. 5. 15.
광릉요광꽃 2015. 5.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