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 현화식물문 > 목련강 > 석죽아강 > 석죽과 > 끈끈이장구채속 |
---|---|
서식지 | 계곡과 산지의 양지바른 바위틈 |
크기 | 높이 30~45㎝ |
학명 | Silene capitata |
멸종위기등급 | 멸종위기야생생물 2급 |
국내분포 | 압록강 일대, 중부 이북 지방, 강원도 철원, 경기도 연천, 강원도 양구, 영월, 화천, 홍천 등지 |
분포지역 | 한국, 중국 |
요약 : 현화식물문 목련강 석죽과 끈끈이장구채속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
계곡과 산지의 양지바른 바위틈에서 자라며 높이 30~45㎝이다. 가지는 밑에서부터 갈라지고, 줄기에는 털이 있다.
1897년 압록강 절벽과 함경도 장진강에서 처음 채집되어 1901년 같은 속의 끈끈이장구채와 함께 신종으로 보고되었다.
환경부가 멸종위기 야생생물 2급으로 지정해 보호하고 있다.
현화식물문 목련강 석죽과 끈끈이장구채속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 높이 30~45㎝이다.
가지는 밑에서부터 갈라지고, 줄기에는 털이 있다.
잎은 마주나며 긴 난형 또는 갸름한 바늘 모양이고 밑 부분이 좁아져 잎자루처럼 된다.
가장자리는 밋밋하며 끝은 뾰족하다.
꽃은 7~9월에 분홍색으로 핀다. 꽃받침은 종 모양이고 겉에 10개의 맥이 있다. 꽃잎은 5개인데 끝이 둘로 갈라진다.
수술은 10개이며 암술은 1개이고 암술대는 3갈래로 갈라진다.
열매는 익으면 벌어져 씨를 퍼뜨리는 삭과(殼果)로 달걀 모양이다.
계곡과 산지의 양지바른 바위틈에서 자란다.
1897년 압록강 절벽과 함경도 장진강에서 처음 채집되어 1901년 같은 속의 끈끈이장구채와 함께 신종으로 보고되었다.
이후 압록강 일대와 함경도 차일봉, 부전고원 등 중부 이북 지방에서 채집된 기록이 있다.
남한에서는 1974년 강원도 철원군 한탄강 순담계곡에서 채집되었고, 경기도 연천, 강원도 양구, 영월, 화천, 홍천 등지에서 발견되었다.
중국에도 분포한다는 기록에 있으나 정확하지 않다.
환경부가 멸종위기 야생생물 2급으로 지정해 보호하고 있다.
'야생화와 풍경 > 야생화 사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왕고들빼기(고개채(苦芥菜), 고마채(苦馬菜)) (0) | 2019.09.04 |
---|---|
택사(쇠태나물, 물택사, 쇠대나물, 쇠택나물 ) (0) | 2019.09.04 |
수염가래(수염가래, 사리초, 반변란,급해색,세미초,과인초,반변하화,) (0) | 2019.09.04 |
쇠비름(오행초,마치채,산산채,장명채,도둑풀, 말비름) (0) | 2019.09.04 |
새팥(돌팥) (0) | 2019.09.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