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바로 지금이지. 그 때가 따로 있는 것은 아니다. 법정스님 .

전체 글7795

끈끈이귀개 분류 끈끈이귀개목 > 끈끈이귀개과 > 끈끈이주걱속 꽃색 백색 학명Drosera peltata var. nipponica (Masam.) Ohwi 개화기6월 환경부 보호식물 제 74호 다년생 초본, 높이는 10-30cm 괴경은 지름 6mm 근생엽은 꽃이 필때 없어짐, 경생엽은 호생, 엽병길이는 2-3mm, 초승달 모양, 표면에 긴 선모가 밀포, 점.. 2008. 9. 14.
산오이풀 "> 2008. 9. 14.
금강폭포 가는길에 "> 이곳은 남파(남백두)의 금강폭포 방향으로 가는 도중에 백두산을 촬영한 사진으로 이사진에서 보이는 백두산은 모두가 북한에 속해있는 부분 즉 정상부는 북한땅이고. 하단부는 중국땅 입니다 (바꾸어 말하면 정상은 1/2, 하단부의 3/4은 중국땅 입니다) 백두산 고산화원 / 멀리 희미하게.. 2008. 9. 14.
털복주머니란 분류군 ; 식물 학명 : Cypripedium guttatum Sw. 생물학적 분류 식물명 : 털복주머니란 [애기작란화] [조선요강꽃] [털개불알꽃] 분류 : 난초과 잎 : 잎은 넓은 타원형이고 끝이 뾰족하며 뒷면 맥위에 털이 있고 중앙부에서 화경(花梗)이 나온다. 꽃 : 대생한 잎의 중앙부에서 화경이 나와 1개의 잎같.. 2008. 9. 14.
전주물꼬리풀 분류 현화식물문 > 목련강 > 국화아강 > 꿀풀목 > 꿀풀과 > 물꼬리풀속 서식지 낮은 지대에 형성된 습지 크기 높이 30~50㎝ 학명 Dysophylla yatabeana 멸종위기등급 멸종위기야생생물 2급 꽃말 행운을 부른다 국내분포 전라북도 전주시, 제주도 분포지역 한국, 일본, 중국 현화식물문 목련강 꿀풀목 꿀풀과 물꼬리풀속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 낮은 지대에 형성된 습지에서 주로 자란다. 1912년 일본 식물학자가 전라북도 전주에서 발견했으며, 1969년 전주의 지명을 따 ‘전주물꼬리풀’로 명명되었다. 환경부가 멸종위기 야생생물 2급으로 지정해 보호하고 있다. 2008. 9. 13.
털머위 씨방 "> 2008. 9. 13.
달구지풀 "> 2008. 9. 13.
숙은돌창포(숙은꽃창포)(왕지연못) "> 2008. 9. 12.
수리취(왕지연못) 2008. 9. 12.
흰매발톱 "> 2008. 9. 12.
물매화 2008. 9. 12.
말굽버섯(왕지연못) "> 2008. 9. 11.
금매화꽃 "> 2008. 9. 11.
대극 (왕지연못) "> 2008. 9. 11.
둥근잎 꿩의비름 계곡의 그늘진 바위틈에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줄기는 3-4대가 모여 나며, 기는 성질이 있고, 높이 15-30cm이다. 잎은 십자가 모양으로 마주나며, 다육질, 난상 원형 또는 난상 타원형, 지름 3-3.8cm이다. 잎 가장자리는 붉은색을 띠기도 하며, 물결 모양 톱니가 있다. 잎 앞면은 회색이 도는 녹색, 뒷면은 붉은 점이 많다. 꽃은 7-10월에 피며. 줄기 끝의 둥근 산방상 취산꽃차례에 빽빽이 달리고, 붉은 자주색이다. 꽃받침은 회색이 도는 녹색, 다육질이다. 열매는 골돌이며, 끝이 벌어진다. 우리나라 경상북도 내연산, 주왕산 등지에 자생한다. 러시아와 일본에 분포한다. 2008. 9. 10.
백풍등 가지과에 속하는 다년생초. 한국과 대만, 일본이 원산지이고, 산지의 양지쪽 바위틈에 서식한다.크기는 3m 정도이다.꽃은 늦여름에서 초가을 사이에 흰색으로 피며, 꽃말은 ‘참을 수 없어’이다.열매는 가을에 붉은색으로 익는다.어린순을 삶아 나물로 먹을 수 있다. 2008. 9. 10.
용머리 식물명 : 용머리 학 명 : Dracocephalum argunense Fisch. ex Link 분류군 : 꿀풀과 형 태 : 숙근성 다년초로 관화식물이다. 블로그님들 健康과함께 항상 즐겁고 幸福 하신날 되십시요^-^ 부용(박승자) 2008. 9. 8.
백두산에바위구절초 2008. 9.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