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바로 지금이지. 그 때가 따로 있는 것은 아니다. 법정스님 .

전체 글7791

함박꽃나무 함박꽃나무는 우리나라 각처의 깊은 산 중턱 골짜기에서 나는 낙엽 소교목이다.생육환경은 물 빠짐이 좋고 토양 비옥도가 높은 곳에서 자란다.키는 3~7m 정도이고, 잎은 길이 6~15㎝, 폭 5~10㎝로 표면에는 광택이 많이 나고 털이 없으며,뒷면은 회록색으로 맥을 따라 털이 있다.꽃은 백색이며 지름은 7~10㎝로 꽃밥과 수술대는 붉은빛이 돌고 강한 향기가 난다.열매는 9~10월경에 길이가 3~4㎝로 원형으로 달리고,종자는 적색으로 길이는 0.8~0.9㎝이다. 주로 관상용으로 쓰인다. 2024. 6. 13.
털중나리 꽃은 6∼8월에 피는데, 가지 끝과 원줄기 끝에 1∼5개씩 밑을 향하여 달린다.화피갈래조각은 바소꼴이고 6개이며 길이 4∼7cm, 나비 10∼15mm이다.뒤쪽으로 젖혀지고, 안쪽에는 검은빛 또는 자줏빛 반점이 있다.6개의 수술과 1개의 암술은 모두 꽃 밖으로 길게 나온다. 꽃밥은 노란빛을 띤 빨간색이며, 길이 10∼13mm이다.열매는 삭과로서 달걀 모양의 넓은 타원형이고 9∼10월에 익는다.종자는 갈색이다. 관상용으로 심으며, 이른봄 비늘줄기를 식용하고 참나리와 함께 약재로도 쓴다. 2024. 6. 12.
비너스도라지 비너스도라지(Triodanis perfoliata)는 꽃이 도라지를 닮은 '비너스거울속' 식물이라는 뜻에서 붙은 이름이다. 4~8월에 보라색 꽃이 수상꽃차례를 형성하며 핀다. 흰색 꽃은 드물다. 기 아래쪽에 꽃이 지면 열매를 맺는다. 2024. 6. 11.
요강나물(선종덩굴)<미나리아재비과 > 으아리속> 꽃 :  꽃은 5-6월에 피고 줄기 끝에 1개씩 밑을 향해 달리며 화피에 흑갈색 털이 밀포한다.열매 : 열매는 거꿀달걀모양으로서 표면에 갈색 털이 있고 암술대가 달려 있으며 암술대는 갈색의          우상모(羽狀毛)로 덮여 있고 길이 3cm정도이며 9월에 성숙한다.줄기 : 높이 30-100cm이고 줄기는 곧게 선다.*****요강나물은 미나리아재비과 으아리속의 낙엽 활엽 반관목으로 선종덩굴이라고도 합니다.꽃은 5~6월에 흑갈색으로 피며 줄기 끝에 1개씩 아래를 향해 달립니다.요강나물의 꽃말은 "깨끗한 마음"입니다. 2024. 6. 10.
도깨비부채<범의귀과(Saxifragaceae)> 다년생 초본으로 근경이나 종자로 번식한다. 중북부지방에 분포하며 깊은 산에서 자란다. 화경은 높이 1m 정도에 달하나 장상복엽인 근생엽의 잎자루는 높이 40~60cm 정도이다. 5개의 소엽이 있으며 큰 것은 지름이 50cm 정도인 것도 있다. 소엽은 길이 15~35cm, 너비 10~25cm 정도의 도란형이고 얕게 갈라지며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톱니가 있다. 총상꽃차례로서 꽃은 황백색이다. 삭과는 길이 5mm 정도의 넓은 난형이며 2개로 갈라진다. "개병풍"과 달리 잎이 장상복엽이다. 2024. 6. 10.
할미꽃 씨방 할미꽃은 꽃잎은 꽃받침이 없는 안갖춘 꽃으로 꽃잎은 다섯잎이 종처럼 수술과 암술을 감싸고 있다.꽃일이 시들면 한장 한장 떨어져 나가고 씨방에 붙어있는 암술이 털로 변해 날아가서 종자를 퍼드린다네요.역광에 할미꽃 씨방이 예뻐 보여서 담아 보았습니다.^^ 2024. 6. 9.
분비나무 우리나라 중부 이북 추운지방에서 자라는 나무이며 주로 고산지대에 분포한다.나무의 높이는 25m, 지름 75cm에 달한다.가지가 가늘고 줄기가 곧게 올라온다.새가지에 갈색 털이 있고 겨울눈은 달걀 모양 원형으로 다갈색이며 털이 없고 수지가 약간 묻는다.잎은 줄 모양으로 길이 15∼18mm, 나비 1.5∼1.8mm이고 어린 가지에서는 끝이 갈라지며 뒷면이 흰색이다.꽃은 암수한그루이고 5월에 핀다.암꽃이삭은 서고 자줏빛이 돌며 길이 10mm 이다.수꽃이삭은 길이 45mm, 지름 8mm로서 자주색이다.포는 길이 3mm로서 끝이 약간 보일 정도이다.열매는 구과로서 달걀 모양 원통형이고 길이 4∼5.5cm, 지름 2∼2.5cm이다.녹색빛을 띤 갈색으로 뾰족한 돌기가 있다. 종자는 길이 6∼6.6mm로서 열매와 색깔.. 2024. 6. 9.
벌깨덩굴 쌍떡잎식물강 꿀풀목 꿀풀과 벌깨덩굴속에 속하는 속씨식물.학명은 ‘Meehania urticifolia (Miq.) Makino’이다.이름에 덩굴이 들어가 있지만 담쟁이덩굴과 같이 퍼지는 모양새는 아니다.네모난 줄기가 옆으로 뻗으며 마디에서 새로운 뿌리가 내린다.잎은 삼각형의 심장형 또는 난형으로 마주 나고 잎 밑이 움푹 들어가며, 잎가장자리에는 둔한 톱니들이 있다.잎자루는 있으나 위로 갈수록 짧아진다.꽃은 5월에 잎 겨드랑이와 줄기 끝에서 꽃자루가 나와 한쪽을 향해 4송이씩 달리는데 연한 자줏빛을 띠는 통꽃으로꽃부리 끝이 크게 두 갈래로 나누어지고, 갈라진 아래쪽에는 자색 점들과 흰 털들이 있다.******종류벌깨덩굴은 꿀풀과에 속하는 식물이며, 유사한 종으로는 흰벌깨덩굴(for. leucantha HA.. 2024. 6. 8.
산작약 잎 : 잎은 3-4개가 어긋나기하며 엽병이 길고 2회 3출하며 소엽은 긴 타원형 또는 거꿀달걀모양이고 양끝이 좁으며길이 5-12cm, 폭 3-7cm로서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뒷면은 흰빛이 돌며 백작약과 달리 털이 있다.앞면의 잎맥은 약간 파여 들어 있으며, 뒷면은 잎맥이 돋아나 있다.꽃 : 꽃은 6월에 피고 지름 4-5cm로서 적색이며 원줄기 끝에 1개씩 달리고 꽃받침조각은 3개이며 달걀모양이고 크기가 서로 다르다. 꽃잎은 적색이며 5-7개로서 거꿀달걀모양이고 길이 2-3cm이다.수술은 많으며 꽃밥은 길이 5-7mm이다.씨방은 3-4개이며 암술은 3-4개이고 암술대는 길게 자라서 뒤로 말린다.열매 : 열매는 골돌로서 길이 2-3cm로서 벌어지면 안쪽이 붉어지고 가장자리에 자라지 못한 적색종자와 익은 흑색.. 2024. 6. 7.
단풍나무 열매 단풍나무 종류는 잎이 손바닥을 펼친 모양으로 여러 갈래 갈라졌고 두 개의 열매가 쌍으로 붙어서V자 모양으로 열매자루에 달리는데, 각 열매에 날개가 있는 특징이 있다.잎은 가을에 붉은색이나 노란색으로 곱게 물이 든다. 2024. 6. 6.
솜다리 국화과에 속하며 '한국의 에델바이스'로 불리는 고산식물.학명은 ‘Leontopodium coreanum Nakai’ 이다.솜다리의 속명인 ‘레온토포디움’은 그리스어 'leon'(사자)과 'podion'(발)의 합성어로두상화의 위치와 형태가 마치 사자의 발과 비슷하다고 하여 라틴어에서 유래되었다.솜다리라는 이름은 포(萢) 모양의 잎에 흰 털이 많아서 붙여졌다. 2024. 6. 5.
붓꽃 비짜루목:붓꽃과 붓꽃속에 속하는 여러해 살이 풀 또는 그 식물의 꽃을 말한다.꽃봉오리가 먹을 묻힌 붓과 같이 생겼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2024. 6. 5.
분홍벌깨덩굴 쌍떡잎식물강 꿀풀목 꿀풀과 벌깨덩굴속에 속하는 속씨식물.학명은 ‘Meehania urticifolia (Miq.) Makino’이다.이름에 덩굴이 들어가 있지만 담쟁이덩굴과 같이 퍼지는 모양새는 아니다.네모난 줄기가 옆으로 뻗으며 마디에서 새로운 뿌리가 내린다.잎은 삼각형의 심장형 또는 난형으로 마주 나고 잎 밑이 움푹 들어가며, 잎가장자리에는 둔한 톱니들이 있다.잎자루는 있으나 위로 갈수록 짧아진다.꽃은 5월에 잎 겨드랑이와 줄기 끝에서 꽃자루가 나와 한쪽을 향해 4송이씩 달리는데 연한 자줏빛을 띠는 통꽃으로꽃부리 끝이 크게 두 갈래로 나누어지고, 갈라진 아래쪽에는 자색 점들과 흰 털들이 있다.******종류벌깨덩굴은 꿀풀과에 속하는 식물이며, 유사한 종으로는 흰벌깨덩굴(for. leucantha HA.. 2024. 6. 4.
댕강나무 키가 2m 정도 자란다. 줄기에 세로로 긴 줄무늬가 있으며 속은 흰색이다.잎은 마주나고 털이 나 있으며 잎가장자리에는 작은 톱니들이 있다.꽃은 연한 붉은색을 띠며 통꽃으로 5월에 잎겨드랑이나 가지 끝에서 1개의 꽃줄기마다 3송이씩 모여 핀다.꽃받침통은 길이 5㎜ 정도이며 끝은 5갈래로 나누어졌다.한국에서만 자라는 특산식물로 북한의 평안남도 맹산과 성천에서 볼 수 있다.이밖에 한국에서 자라는 댕강나무속 식물로는충청북도 단양군의 석회암지대에서 자라고 있는 줄댕강나무, 경상북도·황해도 및 북한지방의 털댕강나무,울릉도의 바위틈에서만 자라는 섬댕강나무 등이 있다.이중 줄댕강나무는 한국 초창기 식물분류학자인 정태현 박사를 기념하기 위해 '태현'을 따서 학명을 만들었다.수국과에 속하는 말발도리속의 매화말발도리를 댕강.. 2024. 6. 2.
해란초 해란·일본유천어·운란초라고도 한다.바닷가 모래땅에서 자란다. 뿌리가 옆으로 길게 뻗으면서 자라고 마디에서 새싹이 돋는다.높이 15∼40cm이고 가지가 갈라지며 분백색이 돈다.잎은 대가 없고 마주나거나 3∼4개씩 돌려난다.위에 달린 잎은 어긋나게 달리고 두꺼우며 긴 타원형으로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뚜렷하지 않은 3개의 맥이 있다.잎자루는 없다.꽃은 7∼8월에 피고 노란색이며 총상꽃차례로 달린다. 꽃받침은 깊게 5개로 갈라지고 화관은 입술 모양이다.윗입술은 곧게 서서 2개로 갈라지고 아랫입술은 3개로 갈라지며, 길이 5∼10mm 되는 꿀주머니가 있다.4개의 수술 중 2개가 길다.열매는 삭과로서 10월에 익는데, 둥글고 종자에 날개가 있으며 길이 3mm 정도이다. 2024. 6. 1.
복주머니난<난초과 > 복주머니란속> 난초과 복주머니란속에 속하는 풀꽃.유라시아와 아메리카 대륙 열대지방이 원산지이다.온대와 아열대 기후에서 자라는 50여 종이 이에 해당한다.가장 널리 알려진 종류는 노랑개불알꽃으로, 키는 30~60cm 정도이며 줄기에 1~2송이의 꽃을 피운다.한국에서는 광릉요강꽃·개불알꽃·털개불알꽃·노랑개불알꽃 4종류가 자생하고 있다. 2024. 5. 30.
복주머니난<난초과 > 복주머니란속> 난초과 복주머니란속에 속하는 풀꽃.유라시아와 아메리카 대륙 열대지방이 원산지이다.온대와 아열대 기후에서 자라는 50여 종이 이에 해당한다.가장 널리 알려진 종류는 노랑개불알꽃으로, 키는 30~60cm 정도이며 줄기에 1~2송이의 꽃을 피운다.한국에서는 광릉요강꽃·개불알꽃·털개불알꽃·노랑개불알꽃 4종류가 자생하고 있다. 2024. 5. 30.
큰솔나리 2024. 5. 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