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바로 지금이지. 그 때가 따로 있는 것은 아니다. 법정스님 .

전체 글7791

산매자나무<쌍떡잎식물 > 진달래목> 분포 : 제주에 나며 일본에 분포한다.생육환경 : 산지의 능선생육형 : 낙엽활엽 소관목이다.크기 : 높이 30~60cm이다.잎 : 잎은 어긋나기하고 이열로 배열하며 달걀모양 또는 타원형으로 길이 2~6cm, 나비 1~3cm이고       끝은 뾰족하며 밑은 둥글고 가장자리에 잔 톱니가 있으며 뒷면은 흔히 흰빛이 돌고 엽병은 짧다.꽃 : 꽃은 7월에 홍백색으로 피고 새 가지의 잎겨드랑이에 1개씩 달리며 밑으로 드리우고      화경은 길이 1~1.5cm이며 작은포는 1~2개로 선형이다.      꽃받침은 4개로 갈라지고 꽃부리는 4열하며 열편은 뒤로 말리고 수술은 8개로 대에 털이 있다.열매 : 과실은 장과로 구형이고 9월에 짙은 홍색으로 익으며 산미가 있다.줄기 : 작은 가지는 녹색으로 능선이 있으며 때.. 2024. 6. 24.
채진목 열매<장미목 > 장미과 > 채진목속> 꽃양성꽃으로 짧은 가지끝에 나오는 산방상 총상꽃차례로 4월 중순 ~ 5월에 백색으로 핀다.꽃자루에 털이 있으며 꽃받침통에 면모가 밀생한다.꽃받침열편은 길이 2.5㎝로서 피침형이고 젖혀지며, 꽃잎은 꽃받침조각과 더불어 각 5개이고 선형이며길이 1.0~1.5㎝, 폭 2~3mm로서 원두이다.수술은 20개이고 꽃받침통보다 약간 길며 씨방끝에 털이 있고 암술대가 5개로 갈라진다.열매열매는 이과(梨果)로서 둥글며 지름 1cm로 9~11월에 암자색으로 익고 꽃받침열편이 달려 있으며, 꽃받침열편은 숙존한다.소과경은 길이 15~20mm로서 털이 없다.종자는 한 열매에 3~5개씩 들어있고 편평한 콩팥모양이며 길이 5mm로서 흑갈색이고 끈적거리는 점질의 물질로 채워져 있다.열매의 끝에는 꽃받침이 붙어 있다. 2024. 6. 24.
큰까치수염(영)< 앵초목 > 앵초과 > 참좁쌀풀속> 산과 들의 햇볕이 잘 드는 풀밭에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줄기는 곧추서며 높이 50-100cm이고 밑동은 붉은 보라색을 띤다. 줄기 전체에 털이 거의 없다. 잎은 어긋나며 잎자루는 짧다. 잎몸은 긴 타원형 또는 긴 타원상 피침형이며 끝이 뾰족하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꽃은 6-8월에 한쪽으로 기울어진 총상꽃차례에 위를 향해 다닥다닥 달리며 흰색이다. 열매는 둥근 삭과다. 전국에 생육하며, 동아시아 분포한다 2024. 6. 24.
노루오줌<장미목 > 범의귀과 > 노루오줌속 꽃은 7-8월에 피고 홍자색이며 줄기끝에 원뿔모양꽃차례를 이룬다. 꽃차례는 길이 30cm정도로서 많은 꽃이 달리며 짧은 털이 있다. 꽃받침은 5개로 갈라지고 열편은 달걀모양이며 꽃잎은 5개로서 선형이고 수술은 10개이며 암술대는 2개이다. 2024. 6. 24.
메타세콰이어 가로수길 물향기 수목원 메타세콰이어 가로수길수국이 있길래 핸드폰으로 몇컷 찍어 보았네요.^^ 2024. 6. 23.
털중나리 꽃은 6∼8월에 피는데, 가지 끝과 원줄기 끝에 1∼5개씩 밑을 향하여 달린다.화피갈래조각은 바소꼴이고 6개이며 길이 4∼7cm, 나비 10∼15mm이다.뒤쪽으로 젖혀지고, 안쪽에는 검은빛 또는 자줏빛 반점이 있다.6개의 수술과 1개의 암술은 모두 꽃 밖으로 길게 나온다. 꽃밥은 노란빛을 띤 빨간색이며, 길이 10∼13mm이다.열매는 삭과로서 달걀 모양의 넓은 타원형이고 9∼10월에 익는다.종자는 갈색이다. 관상용으로 심으며, 이른봄 비늘줄기를 식용하고 참나리와 함께 약재로도 쓴다. 2024. 6. 23.
꼬리진달래< 진달래목 > 진달래과> 진달래과에 속하는 상록관목. 중국과 한국, 몽골이 원산지이며, 양지바른 산기슭에 서식한다. 크기는 약 1~2m이다. 줄기 마디마디에서 가지가 2~3개씩 나와 나무 모양이 반구형을 이루며, 꽃은 꽃은 6~7월에 피고, 열매는 9월에 익는다. 꽃말은 절제 신념이다. 한국에서는 경상북도·충청도·강원도에서 자생한다. 2024. 6. 23.
모세나무< 진달래과 > 산앵도나무속> 전남 흑산도 이남의 도서지방과 제주도의 표고 600m이하의 산록 양지에서 주로 자생하며 중국과 일본, 인도에도 분포한다꽃은 밑으로 처지는 길이 2-5cm의 총상꽃차례에 10개 정도 달리며 잔털이 있고 각 꽃마다 숙존성 피침상의 포가 있다. 꽃부리는 통상 달걀모양으로 길이 5-7mm이고 홍백색이며 겉에 잔털이 있거나 없으며 수술은 10개이고 수술대에 털이 있으며 꽃밥은 끝이 2개로 갈라져서 길게 된다. 2024. 6. 23.
오리가족 아기 오리들이 8마리가 부화되어 엄마 오리를 따라 세상밖으로 외출를 나왔네요.엄마오리 뒤를 졸졸 따라 다녀야 하는데 요놈들 엄마 말도 않듣고 제멋대로 수련위에 올라타 세상 구경 하는 모습이 넘넘 귀엽네요.^^ 2024. 6. 23.
물싸리< 장미과 > 양지꽃속> 북반구의 유럽에서 북미대륙까지 널리 분포; 함경남북도 고산지대, 바위 틈.꽃은 6~8월에 피며 지름 3cm정도로서 새가지 끝에 달리거나 2~3개가 액생하고 꽃받침조각은 달걀상 삼각형으로서 겉에 견모가 있으며 황록색이고 지름 1.5cm 정도로서 둥글다. 총포는 선형 또는 피침형이고, 첨두이며, 연모가 있다. 2024. 6. 23.
도깨비가지<가지목 > 가지과 > 가지속> 북미 원산의 귀화식물로 국내에는 1978년에 처음 보고되었으며, 현재 전국적으로 분포한다. 1개체에 40-50개의 열매가 달리고, 열매 하나에 40-170개의 씨가 들어 있으며, 땅속줄기로 영양번식도 하기 때문에 빠른 속도로 퍼질 수 있다. 더운 날씨에 빨리 성장하고 가뭄에 대한 내성이 있다.생태계를 교란하는 식물이다. 2024. 6. 23.
꽃창포<백합목 > 붓꽃과 > 붓꽃속> 꽃은 6-7월에 피고 원줄기 또는 가지 끝에 달리며 적자색이고 안쪽에 황색 줄이 있다. 꽃 밑부분은 갈색 엽초상의 포 2개가 씨방을 둘러싼다. 외꽃덮이는 3개이며 굵은 화경위에서 판연이 밑으로 처지고 타원형 원두로서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맥이 있고 밑부분은 황색이다. 내꽃덮이는 3개이며 외꽃덮이와 어긋나기하여 곧추서고 피침형 둔두로서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외꽃덮이 색과 같다. 암술대는 곧추서고 3개로 갈라지며 갈라진 끝에 곧은 삼각상의 열편이 있고 그 밑에 암술머리가 있다. 씨방은 연녹색이며 하위이다. 2024. 6. 23.
풍력발전소 파란 하늘에 흰구름이 예뻐서 ... 2024. 6. 23.
털중나리 꽃은 6∼8월에 피는데, 가지 끝과 원줄기 끝에 1∼5개씩 밑을 향하여 달린다.화피갈래조각은 바소꼴이고 6개이며 길이 4∼7cm, 나비 10∼15mm이다.뒤쪽으로 젖혀지고, 안쪽에는 검은빛 또는 자줏빛 반점이 있다.6개의 수술과 1개의 암술은 모두 꽃 밖으로 길게 나온다. 꽃밥은 노란빛을 띤 빨간색이며, 길이 10∼13mm이다.열매는 삭과로서 달걀 모양의 넓은 타원형이고 9∼10월에 익는다.종자는 갈색이다. 관상용으로 심으며, 이른봄 비늘줄기를 식용하고 참나리와 함께 약재로도 쓴다. 2024. 6. 23.
구상나무<소나무목 > 소나무과 > 전나무속> 한국 특산종으로 해발고도 500~2000m인 한라산, 지리산, 무등산, 덕유산 등에서 자생한다. 나무의 높이는 10~18m정도까지 자라며, 회갈색의 수피는 거칠다. 잎은 선형이고 가지나 줄기에 돌려나며, 어린가지에 난 잎은 끝이 두 갈래로 갈라져 있다. 5~6월에 잎 끝에 솔방울 같은 꽃이 피는데 빛깔이 노란색·분홍색·자주색·검은색 등 갖가지 색을 나타내며, 가을에 익는 열매도 여러 가지 색이다. 암수한그루이며, 꽃의 색이 자주빛인 것은 구상나무, 검은빛이 강한 것은 검구상, 붉은빛이 도는 것은 붉은구상, 녹색인 것은 푸른구상이라고도 부른다. 열매는 원통형의 구과이고 9~10월에 성숙한다.구상나무는 제주도 방언인 성게를 뜻하는 '쿠살'과 나무를 뜻하는 '낭'의 합성어로 잎이 성게가시처럼 생겼다고 해서 쿠.. 2024. 6. 23.
만병초꽃<진달래목 > 진달래과 > 진달래속> 꽃은 7월에 흰색 또는 매우 연한 분홍색으로 피는데줄기 끝에 10~20송이가 무리지어 달린다. 열매는 삭과(익으면 과피(果皮)가 떨어지면서 씨를 퍼뜨리는 여러 개의 씨방으로 된 열매)로 9월에 익는다. 주로 고산지대의 숲 속에서 자라며 강원도 북쪽지방에서 흔히 볼 수 있다. 반 그늘진 곳 또는 그늘진 곳, 특히 공기 중에 습기가 많은 곳에서 잘 자라고 추위에 잘 견디지만생장속도가 느리고 공해에 약하다. 2024. 6. 22.
갯활량나물<장미목 > 콩과 > 갯활량나물속> 꽃  꽃은 5-8월에 피고 길이 23~25mm로서 황색이며 총상꽃차례에 달리고 포는 꽃자루보다 길며 좁은 달걀모양이고 판통 길이의 1/2정도이다.열매   열매는 협과로 편평한 선형이며 털이 있으나 점차 없어지고 길이 8~10cm, 나비 6-7mm로서 12~15개개의 흑색 종자가 들어 있다. 2024. 6. 22.
구슬댕댕이<산토끼목 > 인동과 > 인동속> 산지에 자라는 낙엽 떨기나무이다. 줄기는 속이 흰색으로 꽉 차며 어린 가지에 샘털과 굳센 털이 있다. 잎은 마주나며 잎자루는 길이 0.5-1cm이다. 잎몸은 난형으로 길이 6-11cm이다. 잎 가장자리와 잎 양면의 맥 위에 털이 있다. 꽃은 5-6월에 피며, 잎겨드랑이에서 난 길이 3-4mm의 꽃대 끝에 2개씩 달리며 연한 노란색이다. 작은포는 합쳐져서 꽃받침을 완전히 둘러싼다. 화관은 입술 모양이며 윗입술은 끝이 4갈래로 얕게 갈라지며 아랫입술은 가늘고 길다. 열매는 장과이고 9-10월에 붉게 익는다. 우리나라 중부 이북에 자란다. 중국에 분포한다. 2024. 6.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