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바로 지금이지. 그 때가 따로 있는 것은 아니다. 법정스님 .

전체 글7791

둥근잎꿩의비름 계곡의 그늘진 바위틈에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줄기는 3-4대가 모여 나며, 기는 성질이 있고, 높이 15-30cm이다. 잎은 십자가 모양으로 마주나며, 다육질, 난상 원형 또는 난상 타원형, 지름 3-3.8cm이다. 잎 가장자리는 붉은색을 띠기도 하며, 물결 모양 톱니가 있다. 잎 앞면은 회색이 도는 녹색, 뒷면은 붉은 점이 많다. 꽃은 7-10월에 피며. 줄기 끝의 둥근 산방상 취산꽃차례에 빽빽이 달리고, 붉은 자주색이다. 꽃받침은 회색이 도는 녹색, 다육질이다. 열매는 골돌이며, 끝이 벌어진다. 우리나라 경상북도 내연산, 주왕산 등지에 자생한다. 러시아와 일본에 분포한다. 2023. 10. 3.
둥근잎유흥초 메꽃과에 속하는 1년생 덩굴식물. 남아메리카 원산의 귀화식물로 1920년대에 한국에 유입되어 관상용이나 약재용으로 재배하고 있다. 변비, 치질, 복통 등에 효과가 있다. 2023. 10. 3.
참나리와고추잠자리 몸길이 약 48mm, 뒷날개길이 약 33~36mm로 동아시아에서부터 동남아시아, 플로리다, 하와이까지 분포한다. 호랑나비와 함께 한국인에게 친숙한 곤충 중 하나로 고추잠자리를 소재로 한 동요도 많다. 고추잠자리라는 이름은 몸이 고추처럼 빨개서 붙은 이름이며 성숙한 수컷에만 이런 색이 나타난다. 미성숙한 수컷이나 암컷은 노란빛을 띠기 때문에 다른 종으로 착각하기 쉽다. 평지의 늪지대에서 발생하며 5∼6월부터 나뭇가지에 거꾸로 매달린 채 우화하고, 10월까지 성충을 볼 수 있다. 교미는 공중에서 단시간 내에 이루어지고 암컷은 수컷의 세력권 안에서 수면을 치며 산란한다. 암컷은 세력권을 옮겨 가며 다른 수컷들과 여러번 교미한 뒤 산란하는 습성이 있다. 유충은 몸길이 17∼20mm로 녹갈색 바탕에 검은색 점무늬.. 2023. 10. 2.
에키네시아 화이트 스완 개미취과의 여러해살이풀입니다. 아메리카인디언들은 예부터 에키네시아의 약효성분을 알고 사용해 왔으며 최근 조직 재생, 치료, 정화에 특성이 있는 식물인 것이 밝혀져 화장품의 원료로도 각광을 받고 있습니다. 이 에키네시아는 자주색 꽃이 피는 기본종과 달리, 흰색 꽃이 피는 `화이트 스완` 품종입니다. 2023. 10. 2.
애기며느리밥풀꽃 애기며느리밥풀 현삼과 며느리밥풀꽃속의 한해살이풀이다. 며느리밥풀꽃속 중에서 잎이 가늘다. 꽃은 8-9월에 연한 자주색 또는 드물게 흰색으로 핀다. 2023. 9. 30.
스칼렛메이딜란드(줄장미) 비오는날 동네한바퀴에서... 프랑스 사계넝쿨장미 스칼렛 메이딜란드. 미니 사계 넝쿨 장미 스칼렛 메이딜란드 입니다. 다른 장미보다 늦게 피기 시작하여 늦게 까지 피는 넝쿨성장미로 다른 장미꽃들에 비해 추위에 무척 강한것 같아요. 꽃은 여기저기서 많이 보았는데 이름을 몰라서 미니장미라고 생각하다 이름 찾아주는데 많이 얼려 웠네요. 2023. 9. 30.
보름달처럼 풍성한 한가위 보내시길 기원합니다. 고향 가시는 길 안전운행 하시고, 풍성하고 행복한 한가위 맞이하세요.^^ 2023. 9. 28.
개버무리 저지대에 비교적 드물게 자라는 낙엽 덩굴나무이다. 잎은 마주나며, 2회 3장씩 갈라지는 겹잎이다. 잎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꽃은 8-9월에 피며, 잎겨드랑이와 가지 끝에서 3-6개씩 밑을 향해 달리며, 연한 노란색이다. 꽃받침잎은 4장, 꽃잎처럼 보인다. 열매는 수과이며, 깃털 모양의 긴 암술대가 남아 있다. 우리나라 강원도 및 충청북도 이북에 자생한다. 러시아, 일본, 중국에 분포한다. 국내에 분포하는 으아리속 식물들에 비해서 꽃이 노란색이므로 구분된다. 2023. 9. 28.
산작약 열매 잎 : 잎은 3-4개가 어긋나기하며 엽병이 길고 2회 3출하며 소엽은 긴 타원형또는 거꿀달걀모양이고 양끝이 좁으며 길이 5-12cm, 폭 3-7cm로서 가장자리가 밋밋하고,뒷면은 흰빛이 돌며 백작약과 달리 털이 있다.앞면의 잎맥은 약간 파여 들어 있으며, 뒷면은 잎맥이 돋아나 있다.꽃 : 꽃은 6월에 피고 지름 4-5cm로서 적색이며 원줄기 끝에 1개씩 달리고꽃받침조각은 3개이며 달걀모양이고 크기가 서로 다르다.꽃잎은 적색이며 5-7개로서 거꿀달걀모양이고 길이 2-3cm이다.수술은 많으며 꽃밥은 길이 5-7mm이다.씨방은 3-4개이며 암술은 3-4개이고 암술대는 길게 자라서 뒤로 말린다.열매 : 열매는 골돌로서 길이 2-3cm로서 벌어지면 안쪽이 붉어지고 가장자리에 자라지 못한적색종자와 익은 흑색종자가 .. 2023. 9. 28.
나도송이풀 꽃은 8-9월에 피고 연한 홍자색으로서 줄기 윗부분의 잎겨드랑이에서 피어 총상꽃차례꼴을 이루며 꽃받침은 종형이고 비스듬히 5개로 갈라지며 길이 5-7mm이고 꽃이 진 다음 다소 커지며 열편은 녹색이고 타원형이며 톱니가 있다. 꽃부리는 길이 2cm정도로서 긴 판통의 끝이 2개로 갈라지며 양순형이고 상순은 젖혀져서 끝이 파지며 하순은 옆으로 퍼져서 3개로 갈라지고 4개의 수술 중 2개가 길다. 송이풀은 송이버섯이 나기 시작 할 무렵 핀다고 하여 송이풀이라고 하였으며 나도 송이풀이라는 뜻으로 송이풀을 닮아 나도 송이풀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합니다. 가을로 접어드는 계절인 8~9월 볕이 잘드는 풀밭에 입술 모양의 톡특한 분홍꽃을 피웁니다. 2023. 9. 28.
희귀조 "흰머리오목눈이"(2) 몇 년 전부터 담아보고 만나 보고파던 희귀조 흰머리오목눈이 수십 번을 찾아가 만나려 해도 운이 좋지 않으면 만나지 못한다는 귀요미 흰머리오목눈이를 너무 높은 나무에 잠시 단한번 찾아와서 눈으로는 직접 볼수도 없고 카메라 렌즈속으로만 잠시 조우했었다. 그래도 기분 무척 좋았던날. 다시 날씨 좋은날 꼭 만나고 싶은 귀요미. ****** 오목눈이과 중에서 머리 전체가 하얀 흰머리오목눈이. 일본 홋카이도에 주로 서식하며 번식하는 새이고 한국에서는 홋카이도의 추위를 피해 온 일부 개체만 드물게 볼 수 있다고 합니다. 2023. 9. 28.
덩굴닭의장풀 2023. 9. 24.
산딸나무 열매 2023. 9. 24.
애기탑꽃 2023. 9. 24.
울산도깨비바늘(Hairy beggarticks) 2023. 9. 24.
범부채씨방 2023. 9. 24.
먹물버섯(2) 2023. 9. 24.
먹물버섯(1) 2023. 9.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