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바로 지금이지. 그 때가 따로 있는 것은 아니다. 법정스님 .

전체 글7793

흰좀바위솔(접사) 여러해살이풀 높이 15cm가량 잎 : 잎은 비늘모양이고 긴 타원형이며 끝이 송곳 끝 같고, 밑동 잎에는 손톱 모양의 부속물이 붙어 있다. 꽃은 9-10월에 피고 흰색이며 모여서 이삭꽃차례 모양으로 조밀하게 늘어서고 길이 3-4cm이다. 포는 달걀모양이며 끝이 뾰족하다. 곁꽃잎은 5장이고 긴 타원형이며 수술은 10개이고 자홍색이며 곁꽃잎과 길이가 같고 씨방은 5개이다. 좀바위솔과 닮았으나 흰꽃이 피는 것이 다르다. ********* 한모델 갖고 놀기 ^^ 2023. 11. 7.
둥근잎나팔꽃(2) 나팔꽃은 아시아가 원산지이며, 전국 각지에서 자라는 덩굴성 한해살이 풀로 2~3m까지 자라납니다. 나팔꽃의 파종시기는 4월하순~ 5월상순에 씨앗을 뿌립니다. 나팔꽃의 개화시기는 7~8월경에 피어나는데요, 푸른색을 띤 자주색, 흰색, 붉은색, 분홍색, 보라색등 다양한 색상들이 피어납니다. 잎은 어긋나기로 자라며, 심장모양으로 3개로 갈라지며, 갈라진 조각은 꽃의 뾰족하며, 가장자리는 밋밋합니다. 잎의 앞면은 털이 있으며 잎자루가 깁니다. 꽃은 여러가지색으로 잎겨드랑이에서 나온 꽃대에 1~3송이씩 달려서 피게됩니다. 꽃받침은 5개로 길게 갈라지며, 갈라진 조각은 끝이 뾰족하고 가늘고 길며, 뒷면에 긴털이 있습니다. 화고나은 나팔모양으로 꽃봉우리는 붓끝모양으로 오른쪽으로 말립니다. 수술은 5개이고 암술은 1개.. 2023. 11. 7.
가라쓰 Karatsu , 唐津城) 일본 규슈[九州] 사가 현[佐賀縣]에 있는 도시.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서부지역이 어항을 중심으로 한 산업지구로 발전했으며 화학제품과 도자기를 생산하기도 한다. 동부지역은 사적지와 명승지가 많아 관광중심지의 역할을 한다. 면적 487.58㎢, 인구 117,663(2020 추계). 가라쓰 만이 바라보이는 곳에 자리잡고 있다. '가라'(중국 당나라)와 '쓰'(나루를 뜻함)를 합한 이름이며, 따라서 이 도시가 옛날에는 중국 및 조선과 교역한 무역항이었음을 알 수 있다. 가라쓰 탄광은 20세기초에 개발되었다. 제2차 세계대전 뒤 이 도시의 서부지역은 어항을 중심으로 한 산업지구로 발전했는데 화학제품과 도자기를 생산하고 있다. 사적지와 명승지가 많은 동부지역은 겐카이 국정공원[玄海國定公園]의 관광중심지이다. **.. 2023. 11. 6.
주목나무 열매 주목은 주목과에 딸린 상록 교목으로, 노가리나무라고도 한다. 고산 지대에서 자라며, 키 17m, 지름 1m 정도이다. 관상수로 흔히 재배한다. 가지가 사방으로 벋는다. 잎은 가늘고 길며, 2~3년 만에 떨어진다. 잎의 표면은 짙은 녹색이나 뒷면은 엷은 황록색이다. 꽃은 4월에 암꽃, 수꽃이 피며 수꽃은 작은 이삭 모양이고, 암꽃은 잎겨드랑이에 1개씩 핀다. 열매는 길둥근 모양으로 8~9월에 붉게 익는다. 잎은 약으로 쓰이며, 목재는 가구나 건축 등에 쓰인다. 우리 나라 · 일본 · 중국 동북부 · 시베리아 등지에 분포한다. 2023. 11. 6.
둥근잎나팔꽃(1) 나팔꽃은 아시아가 원산지이며, 전국 각지에서 자라는 덩굴성 한해살이 풀로 2~3m까지 자라납니다. 나팔꽃의 파종시기는 4월하순~ 5월상순에 씨앗을 뿌립니다. 나팔꽃의 개화시기는 7~8월경에 피어나는데요, 푸른색을 띤 자주색, 흰색, 붉은색, 분홍색, 보라색등 다양한 색상들이 피어납니다. 잎은 어긋나기로 자라며, 심장모양으로 3개로 갈라지며, 갈라진 조각은 꽃의 뾰족하며, 가장자리는 밋밋합니다. 잎의 앞면은 털이 있으며 잎자루가 깁니다. 꽃은 여러가지색으로 잎겨드랑이에서 나온 꽃대에 1~3송이씩 달려서 피게됩니다. 꽃받침은 5개로 길게 갈라지며, 갈라진 조각은 끝이 뾰족하고 가늘고 길며, 뒷면에 긴털이 있습니다. 화고나은 나팔모양으로 꽃봉우리는 붓끝모양으로 오른쪽으로 말립니다. 수술은 5개이고 암술은 1개.. 2023. 11. 5.
고란초 고란초과에 속하는 상록성 여러해살이풀. 한국, 중국, 일본 등의 아시아가 원산지이다. 산지의 그늘진 바위틈이나 낭떠러지 또는 벼랑에 붙어 자란다. 뿌리줄기가 옆으로 길게 뻗으면서 마디마디에서 고사리잎처럼 생긴 잎이 달린다. 포자낭은 잎 뒤쪽에 동그랗게 무리 지어 달리고 포막은 없다. 충청남도 부여 고란사의 고란초가 널리 알려져 있으며, 이와 비슷한 식물로 큰고란초와 층층고란초가 제주도에서 자란다. ***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부소산 백마강 가의 고란사 뒤의 절벽에서 자라기 때문에 고란초라는 이름이 생겼다. 절벽 밑에서 솟아나는 물을 고란정(皐蘭井)이라고 한다. 고란초는 고란사를 찾는 관광객들로 인해 거의 사라지고 지금은 사람들의 손이 미칠 수 없는 곳에만 약간 남아 있다. 2023. 11. 4.
화살나무 열매 열매는 붉은색이며 종자는 흰색이고 10월에 성숙하여 12월까지 달려있다. 가지에 코르크 날개가 달린 것 외엔 별다른 특징이 없어다. 가을로 접어들면서 비로소 존재가치를 유감없이 드러낸다. 열매는 빨갛게 단풍은 색감이 예쁘게 물들어서 예쁘다. 2023. 11. 4.
사마귀 길쭉한 앞가슴(제1가슴마디)과, 아랫다리 종아리마디(脛節)가 윗다리 넓적다리마디의 가시돋친 홈에 잘 맞도록 변형된 앞다리가 특징이다. 아시아 동부가 원산지이고 미국에 도입된 왕사마귀는 북아메리카에서 가장 큰 사마귀로 길이가 7~10cm정도이다. 생태 살아 있는 곤충을 먹고 사는데, 바이스처럼 생긴 파악기(把握器)로 먹이를 잡는다. 위협 자세를 취할 때는 날개를 들어올려 살랑살랑 소리를 내며 선명한 경계색을 나타낸다. 식물 위에서 많이 발견되며, 나뭇잎·가는 나뭇가지·지의류·꽃·개미처럼 위장하여 적으로부터 몸을 숨기고 먹이에 몰래 접근하거나 기다린다. 암컷은 교미가 끝나면 수컷을 먹어치우며, 커다란 고치 모양의 주머니에 200여 개의 알을 낳는다. ******* 평상시에는 식물 위에서 많이 발견되는데..... 2023. 11. 1.
고쿠라성 (Kokura Castle) 고쿠라성은 후크오카현 기타큐슈시 고쿠라키타규에 있는 제곽식 평성이다. 에도시대 에는 고쿠라번의 번청으로 사용되었다. 고쿠라성은 13세기 중반 ㅜ라사키가와강 하구 서안의 언덕에 축성된 것으로 근세성곽으로 재탄생한 것은 모리까스노바가 성주로 부임할 무렵인 1590년대이며 호소카와 가문이 성주로 부임한 후, 현재의 모습으로 변모했다. 혼마루를 중심으로 남으로는 마쓰노마루, 북으로는 기타노마루를 두었으며, 그 주위를 니노마루와 산노마루가 둘러싼 제곽식 평성이다. 건물은 대천수와 소천수 각각 1기, 단층 망루 117기, 2층 망루 16기를 두었고, 성문 12곳과 총안인 사마가 3271개가 설치되어 있었다. 또, 성의 동쪽으로 흐르는 무라사키가와 강을 천연의 해자로 삼았다. 현재 석벽의 일부와 해자가 남아 있으며,.. 2023. 10. 31.
콩짜개덩굴 해안가 산지나 섬 지방의 그늘진 바위나 늙은 나무줄기 겉에 상록성 여러해살이풀로 착생하는 키 2~4cm의 양치식물이다. 뿌리줄기는 가늘고 길며, 옆으로 뻗고, 잎이 드문드문 달린다. 잎은 영양잎과 포자잎 두 가지 형태이다. 영양잎은 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길이 1~2cm, 폭 6~15mm이며,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뿌리줄기 양쪽으로 퍼진다. 잎자루는 길이 1~4mm이며, 밑부분에 마디가 있고 비늘조각이 밀생한다. 포자잎은 주걱 모양이고 길이 2~4cm, 폭 3~4mm이며, 끝이 둥글고 밑부분이 좁아져서 길이 1~3cm의 대로 된다. 가운데 잎줄이 도드라져 양쪽에 포자낭군이 달린다. 포자는 7~9월에 형성되는데 신장 모양에 가깝고, 투명하다. 우리나라 충청남도, 전라북도, 전라남도, 제주도 등에 자생하며, .. 2023. 10. 30.
부평초(개구리밥) 개구리밥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 물풀. 원산지는 오세아니아, 남아메리카, 유럽, 북아메리카, 아시아 등이며, 연못이나 논물에 떠서 자란다. 둥그런 잎은 한 장처럼 보이며, 뿌리가 물 위에 떠 있고, 하얀색 작은 꽃이 핀다. 한방에서는 식물 전체를 햇빛에 말려 해열·이뇨·코피 등의 치료에 쓰며 불에 덴 피부에 바르면 좋다. 꽃말 : 나그네,떠돌이 ******* 일본 여행중 후쿠오카 유후인 기린코 호수가에서 만난 "부평초" 2023. 10. 29.
일엽초 고사리과에 속하는 상록 다년생초. 일본과 필리핀, 대한민국, 중국이 원산지로, 바위와 나무에 서식한다. 크기는 약 10~30cm이다. 꽃말은 ‘즐거운 추억’이다. ****** 일본은 습도가 우리나라보단 높아 어느 장소를 가더라도 공원에 콩짜개덩굴과 일엽초가 함께 자라고 있다. 2023. 10. 29.
잔나비걸상 버섯 버섯의 크기는 폭이 50㎝가 넘는 것도 있으며 다년생의 구멍장이버섯이다. 균모는 반원형 또는 낮은 산 모양이며 높이 30-40㎝로 말굽이나 종 모양으로 된다. 표면은 각피로 덮이고 회백색 또는 회갈색이며 표면에 코코아 가루 같은 포자가 싸여 코코아색을 나타낸다. 살은 초콜렛 색이고 두께는 1-5㎝이며 모피 같은 코르크질이다. 균모의 아랫면은 황백색 또는 백색인데 만지면 암갈색으로 된다. 관공은 다층이며 각층은 두께 0.5-2㎝이다. 포자의 크기는 8-9×5-6㎛이고 불로초형이다. 발생은 1년 내내 활엽수의 고목 또는 산나무에 군생하는 목재부후균으로 백색부후를 일으킨다. 분포는 한국에서는 두륜산, 방태산, 발왕산, 변산반도국립공원, 오대산, 지리산, 백두산 등지에서 자생하고 있으며 일본을 비롯하여 전 세계.. 2023. 10. 29.
양미역취( 후쿠오카 유후인 기린코 호수가) 양미역취는 북아메리카 원산의 귀화식물로 길가나 공터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줄기는 높이 1-2.5m이고 전체에 연한 털과 길고 거친 털이 있다. 잎은 어긋나며 촘촘히 달린다. 잎은 피침형으로 양쪽 끝이 뾰쪽하고 윗부분에 작은 톱니가 있다. 줄기 아래에 달리는 잎은 짧은 잎자루가 있으나, 위로 갈수록 잎자루가 거의 없다. 꽃은 9-10월에 핀다. 양미역취는 한국의 토종 생태계를 교란하는 외래식물이다. **** 일본 여행중 후쿠오카 유후인 기린코 호수가에서 만난 양미역취꽃 일본 여행중 양미역취는 길가나 야산 어디서나 많은 군락으로 노랗게 피고있었다.^^ 2023. 10. 27.
미국까마중꽃 북아메리카 원산의 귀화식물로 전국의 밭이나 길가에 자라는 한해살이풀이다. 줄기는 곧추서며 높이 20-90cm, 털이 없다. 잎은 어긋나며, 난형 또는 긴 타원형으로 길이 2-4cm, 폭 1.0-2.5cm이다. 잎 끝은 약간 뾰족하고, 밑부분은 쐐기 모양으로 좁아지며, 가장자리는 물결 모양이거나 약간의 톱니가 있다. 자루는 길이 7-15mm이다. 꽃은 마디와 마디 사이에 2-4개가 산형꽃차례를 이루어 달린다. 꽃의 지름은 4-5mm, 청색이다. 꽃받침은 5갈래로 갈라지며, 긴 타원형으로 끝이 뾰족하다. 열매는 둥글고 지름 5-8mm, 광택이 있고, 아래를 향한다. 어린잎은 식용하며, 독성이 있는 열매는 약으로 사용한다. 2023. 10. 27.
가막살 나무 열매 중국 동남부, 일본, 대만, 한국에서 분포하는 산분꽃나무과의 나무이다. 남부지역 산지에서 볼 수 있으며 낙엽수로 높이는 2~3m정도 성장한다. 계곡이나 산의 습기가 많은 곳을 좋아하며 토질을 가리지 않으나 비옥한 토질에서 특히 잘 자란다. 내한성이 강하고 특히 내화성이 강해 방화수(防火樹)로도 쓰인다. 까마귀가 잘 먹는다하여 가막살나무라는 이름이 붙어졌다한다. 2023. 10. 22.
와송 돌나물과 바위솔속에 속하는 다년생초. 동아시아에 분포하며 산지의 바위에서 주로 자란다. 잎이 두꺼운 다육식물로, 바위에서 자란 솔잎같다고 하여 붙은 이름이 바위솔이다. 기와 위에서 자라는 소나무 같다고 하여 ‘와송’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2023. 10. 21.
수옥폭포 수옥폭포 예전엔 수옥폭포 좌측 벽면에 가는잎향유가 몇포기 있어서 폭포와 함께 담으려고 찾아 가지나... 올해는 가는잎향유와 구절초는 찾아볼 수도 없고 사진을 담을 포인트엔 자리를 깔고 관광객이 음료수등 마시며 풍류를 즐기고 있더라.. 수량도 부족하고 시간도 오전대가 아닌 한낮이라 인증샷만 몇 컷 하고 돌아왔다.^^ 2023. 10.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