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바로 지금이지. 그 때가 따로 있는 것은 아니다. 법정스님 .

전체 글7791

이런 모양의 나팔꽃 만나 신적 있으신가요.? 치아키 블래스트(Chiaki Blast)는.? 꽃잎이 갈라지는 돌연변이를 거쳐 자연적으로 나타나는 최신 품종이랍니다. 미국나팔꽃이나 변종인 둥근잎미국나팔꽃 같은데 수원에서 만났습니다. 꽃잎이 다섯갈래로 갈라진 나팔꽃은 처음 만나봅니다. 혹시 이름을 알고 계신분 계시면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나팔꽃 덩굴식물종류인데 이애는 덩굴을 타지않고 모두 논두렁에서 만났네요. 주위를 살펴 보았는데도 덩굴로 올라간 모습을 찾지 못했습니다. 나팔꽃 종류 수 없이 많지만 새로운 유형의 나팔꽃 같습니다. 2023. 10. 18.
낙상홍 열매 낙상홍나무는 쌍떡잎식물 노박덩굴목 감탕나무과의 낙엽활엽 관목으로 꽃은 5~6월에 연분홍색으로 피며 열매는 작은구슬모양의 붉은색으로 10월에익는다. 2023. 10. 18.
고구마 꽃이 피는 이유를 아시나요.? 고구마 꽃이 피는 이유를 아시나요? 고구마꽃은 100년에 한 번 볼 수 있다 할 정도로 귀한 꽃 중에서 하나입니다. 고구마 꽃말은 : 행운 얼마나 만나기 힘들면 행운이란 꽃말을 갖었을까요.? 고구마는 원래 뿌리로 영양번식 하는 식물인데 뿌리가 제대로 번식하지 못할 때는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해서 고구마 꽃이 피면서 꽃으로 번식하려고 한답니다. 예전에 제가 아는 분이 꽃이 피는 고구마가 따로 있다 해서 그런 줄 알았는데... 꽃이 피는 고구마가 따로 있는 줄 알고 검색해 봤더니 그렇지 않더군요. 기후 여건상 (가뭄, 기후 등등으로) 고구마가 스스로 뿌리 번식을 포기하고 씨앗 번식을 하기 위해서 꽃이 핀답니다. 종족 보존의 본능인가 봐요. 고구마는 원래 남아프리카가 원산지라 고구마 꽃은 열대지방과 아열대 지방.. 2023. 10. 16.
구와말 다년생 초본으로 포복지나 종자로 번식한다. 전국적으로 분포하며 습지에서 자란다. 줄기는 높이 10~20cm 정도이고 붉은빛이 돌며 밑에서 포복지가 벋으면서 갈라진다. 물위로 나온 줄기에는 5~8개의 잎이 돌려나며 잎몸은 길이 1~2cm, 너비 3~7mm 정도의 난형이며 몇 개의 우상으로 갈라진다. 수중엽은 1~3회 우상으로 완전히 갈라지고 열편이 실같이 가늘다. 8~9월에 피는 꽃은 홍자색이고 삭과는 길이 4mm 정도의 난상 구형이며 종자는 길이 0.6mm 정도의 긴 타원형이다. ‘민구와말’과 달리 줄기와 꽃받침 밑부분에 털이 있다. ‘소엽풀’에 비해 다년생 수초로 잎은 윤생하고 우상으로 갈라지며 줄기는 붉은색을 띠고 꽃은 홍자색이며 화경이 없다. 2023. 10. 15.
고마리 2023. 10. 15.
유흥초 2023. 10. 15.
개쓴풀 산과 들의 습기가 많은 곳에 자라는 두해살이풀이다. 줄기는 곧추서며, 가지가 갈라지고, 높이 5-30cm이다. 잎.. 2023. 10. 15.
해국 2023. 10. 15.
흰해국 2023. 10. 15.
해국(1) 2023. 10. 14.
번행초 2023. 10. 14.
미국쑥부쟁이 다년생 초본으로 종자나 근경으로 번식하고 북아메리카가 원산지인 귀화식물이다. 줄기는 곧추서고 높이 50~100cm 정도로 가지를 많이 쳐서 원추형으로 되며 작은 가지들은 한쪽을 향하여 배열하며 털이 약간 있다. 모여 나는 근생엽은 주걱형으로 가장자리에 톱니와 털이 있다. 어긋나는 경생엽은 잎자루가 없고 잎몸은 길이 3~10cm, 너비 3~8mm 정도의 선상 피침형으로 끝이 뾰족하고 톱니가 없다. 작은 가지의 잎은 선형 또는 송곳형으로 다수 부착한다. 8~9월에 지름 10~17mm 정도의 많은 두상화가 모여 산방꽃차례를 이룬다. 15~25개의 설상화는 백색 또는 엷은 장미색이고 통상화는 황색이다. 수과는 짧은 털이 있고 관모는 백색이다. ‘개쑥부쟁이’와 달리 잎은 좁은 피침형이고 너비 3~8mm 정도이며 .. 2023. 10. 14.
윤필암 경상북도 문경시 산북면 사불산(四佛山)에 있는 고려후기 승려 각관과 김득배의 부인 김씨가 창건한 암자. 대승사의 부속암자인 윤필암(潤筆庵)은 고려 후기인 1380년 승려 각관(覺寬)과 김득배(金得培)의 부인 김씨(金氏)가 창건하였다. 나옹화상(懶翁和尙)의 사리를 봉안하기 위해 만든 사찰로 목은(牧隱) 이색(李穡, 1328~1396)이 기문(記文)을 썼다. 윤필암은 문경의 사불산에 있는 대승사의 부속 암자이다. 대승사의 창건은 사불산의 산마루에 있는 사면석불상(四面石佛像)과 관련이 있다. 네모의 각 바위 면에 불상이 조각된 사면석불상에 관해 『삼국유사(三國遺事)』에는 다음과 같은 설화가 전한다. 587년(진평왕 9) 붉은 비단으로 싸인 사면석불상이 하늘에서 떨어지니 왕이 가서 예경(禮敬)하고 그 바위 곁에.. 2023. 10. 14.
먼동 해수욕장 소나무 풍경 먼동 해수욕장은 충남 태안군 원북면에 자리 잡고 있다. 1993년 KBS 드라마 먼동을 촬영했고, 이 때문에 지금의 명칭으로 불리기 시작했다. 이곳은 번잡함을 피해 한적하게 해수욕을 즐기려는 사람들이 찾아온다. 해수욕장 동쪽에 위치한 작은 섬을 배경으로 일몰 사진을 찍으려는 취미 사진가들의 방문도 잦다. 해수욕장 주변에는 구례포해수욕장과 학암포해수욕장이 있다. 2023. 10. 10.
고마리 마디풀과에 속하는 1년생초. 원산지는 아시아이고, 들이나 냇가에 서식한다. 크기는 약 1m이다. 꽃의 색깔은 연한 분홍색과 흰색이 섞여 있으며, 꽃말은 ‘꿀의 원천’이다. 조선꼬마리, 큰꼬마리, 줄고만이 등의 다양한 이름으로 불린다. 2023. 10. 10.
꽃여뀌(수꽃) 꽃은 이가화로서 6-7월에 피며 연한 홍색이고 꽃차례는 이삭꽃차례와 비슷하며 갈라지지 않고 줄기 끝이나 잎겨드랑이에 많은 꽃이 달린다. 꽃받침은 깊게 5개로 갈라지며 길이 4-6mm이고 뒷면에 선점이 있으며 꽃잎은 없고 8개의 수술과 짧은 암술대가 있어 열매를 맺지 않으며 암꽃은 긴 암술대와 짧은 수술이 있어 열매를 맺는다. 씨방은 난상 원형, 씨방에 암술대는 3개이다. 2023. 10. 8.
꽃친구와 나 2023. 10. 5.
둥근잎꿩의비름 계곡의 그늘진 바위틈에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줄기는 3-4대가 모여 나며, 기는 성질이 있고, 높이 15-30cm이다. 잎은 십자가 모양으로 마주나며, 다육질, 난상 원형 또는 난상 타원형, 지름 3-3.8cm이다. 잎 가장자리는 붉은색을 띠기도 하며, 물결 모양 톱니가 있다. 잎 앞면은 회색이 도는 녹색, 뒷면은 붉은 점이 많다. 꽃은 7-10월에 피며. 줄기 끝의 둥근 산방상 취산꽃차례에 빽빽이 달리고, 붉은 자주색이다. 꽃받침은 회색이 도는 녹색, 다육질이다. 열매는 골돌이며, 끝이 벌어진다. 우리나라 경상북도 내연산, 주왕산 등지에 자생한다. 러시아와 일본에 분포한다. 2023. 10.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