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바로 지금이지. 그 때가 따로 있는 것은 아니다. 법정스님 .

전체 글7791

애기앉은부채 꽃은 길이 1cm 정도되는 육수꽃차례 1-2개가 지면 가까이에 달린다. 꽃차례는 1-2개가 지면 가까이에 달리며 보우트 같은 검은 자갈색의 포로 싸여 있고 넓은 타원형이다. 잎이 자란 다음에 꽃이 핀다. 열매 : 열매는 다음해 꽃이 필 때 익는다. 뿌리 : 근경에서 잎이 모여나기한다. 생육환경 : 깊은 산 속 낙엽수 하부의 습윤하고 여름철에 시원한 곳에 자생한다. ***** 지난 폭우에 애기앉은부채가 물에 폭 빠졌어요. 2023. 8. 20.
산외 1년생 초본의 덩굴식물로 종자로 번식한다. 전국적으로 분포하며 산지에서 자란다. 덩굴줄기는 길이 1~3m 정도이고 잎과 마주나는 덩굴손이 2개로 갈라져 다른 물체를 감아 올라간다. 어긋나는 잎은 길이와 너비가 각각 5~10cm 정도인 난상 심장형으로 끝이 뾰족한 심장저이고 양면에 털이 있으며 가장자리는 5~7개로 얕게 갈라지기도 한다. 총상꽃차례에는 수꽃이 달리고 잎겨드랑이에서 나오는 양성화는 누른빛이 도는 백색이다. 과경은 길이 1~10cm 정도로 밑으로 처지고 장과는 길이 1cm 정도의 난형으로 1~3개의 갈색 종자가 들어 있다. ‘새박’과 달리 밑씨가 위에서 밑으로 처져 있고 종자는 1~3개씩 들어 있다. 어린순은 나물로 식용하며 관상용으로도 이용한다. 2023. 8. 20.
도둑놈의갈고리 콩과에 속하는 다년생초. 북한과 한국이 원산지이고, 산이나 들에 서식한다. 크기는 약 60~90cm이다. 줄기 아래쪽은 딱딱하고, 꽃은 한여름에 핀다. 열매에 난 잔가시가 옷에 잘 달라붙어 도둑놈의갈고리라는 이름을 얻었다. 꽃말은 ‘흥분’이다. 사료용으로 재배하기도 한다. 2023. 8. 20.
큰도둑놈의 갈고리 다년생 초본으로 분주나 종자로 번식한다. 전국적으로 분포하며 산지에서 자란다. 원줄기는 높이 80~160cm 정도이고 여러 대가 나와서 포기를 형성하고 굵은 털과 잔털이 있다. 어긋나는 잎의 소엽이 5~7개인 우상복엽이며 소엽은 길이 7~14cm 정도의 긴 타원형으로 끝이 뾰족하다. 7~8월에 개화하는 3~6개의 총상꽃차례에는 연한 홍색의 꽃이 핀다. 꼬투리는 길이 20~40mm 정도이고 1~2개의 마디와 갈고리 같은 털과 대가 있다. ‘도둑놈의갈고리’와 소엽이 5~7개인 우상복엽으로 구별된다. 관상용이나 사료용으로 이용한다. 2023. 8. 20.
부처꽃 잎 : 잎은 짧은 엽병이 있거나 없고 마주나기하며 넓은 피침형이고 길이는 3~4cm, 폭은 1cm 내외로서 끝은 뾰족하며 잎가는 거치가 없다. 꽃 : 꽃은 7-8월에 자홍색으로 피고 상부의 잎겨드랑이에서 3~5개가 취산상으로 달리며 마디에 돌려나기하는 것처럼 보이고 꽃차례의 포는 보통 옆으로 퍼지며 기부가 좁고 넓은 피침형 또는 난상 긴 타원형이다. 꽃받침은 능선이 있는 원주형으로 상부에서 6개로 얕게 갈라지며, 갈라진 중앙에 있는 부속체는 옆으로 퍼지고 부속편은 길이가 약 2mm 정도 된다. 꽃잎은 6개 이고, 꽃받침통 끝에 긴 거꿀달걀모양으로 달린다. 수술은 12개이며, 길고 짧은 것이 있다. 열매 : 삭과로 꽃받침통 안에 들어 있다. 2023. 8. 20.
등골나물 다년생 초본으로 근경이나 종자로 번식한다. 전국적으로 분포하며 산지나 들에서 자란다. 원줄기는 높이 90~180cm 정도이고 가지가 갈라지며 자줏빛의 점과 꼬부라진 털이 있다. 마주나는 잎은 길이 9~18cm, 너비 3~8cm 정도의 난상 긴 타원형으로 양면에 털이 있으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7~10월에 산방꽃차례로 피는 꽃은 백색 바탕에 자줏빛이다. 수과는 길이 3mm 정도의 원통형이고 선과 털이 있으며 길이 4mm 정도의 관모는 백색이다. ‘골등골나물’과 달리 잎자루가 있고 ‘벌등골나물’에 비해 근경이 짧고 잎뒤에 선점이 있으며 줄기에 꼬부라진 털이 있어 까끌까끌하다. 관상용이나 밀원으로 심는다. 연한 잎과 줄기를 삶아 나물로 먹거나 데쳐서 무쳐 쌈으로 먹고 된장국을 끓여 먹기도 한다. 2023. 8. 20.
부들 부들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 원산지는 아시아(필리핀, 대한민국, 일본, 중국)이다. 한국에는 전국적으로 분포한다. 큰 부들과 애기부들이 있다. 키는 2m정도이며 잎은 길이가 1.3m에 이르지만 너비는 1cm도 못된다. 열매 이삭은 긴 타원형이며 붉은 갈색이다. 지혈제로 사용하며, 돗자리 및 부채 등의 재료로 쓴다. 잎에는 털이 없다. 꽃은 7월에 피며 노란색이다. 돗자리, 방석, 등을 만드는 데 사용했다. 식재료로 사용할 때에는 줄기나 새순, 뿌리 등을 먹는 것이 보편적이다. 2023. 8. 20.
산작약열매 잎 : 잎은 3-4개가 어긋나기하며 엽병이 길고 2회 3출하며 소엽은 긴 타원형또는 거꿀달걀모양이고 양끝이 좁으며 길이 5-12cm, 폭 3-7cm로서 가장자리가 밋밋하고,뒷면은 흰빛이 돌며 백작약과 달리 털이 있다.앞면의 잎맥은 약간 파여 들어 있으며, 뒷면은 잎맥이 돋아나 있다.꽃 : 꽃은 6월에 피고 지름 4-5cm로서 적색이며 원줄기 끝에 1개씩 달리고꽃받침조각은 3개이며 달걀모양이고 크기가 서로 다르다.꽃잎은 적색이며 5-7개로서 거꿀달걀모양이고 길이 2-3cm이다.수술은 많으며 꽃밥은 길이 5-7mm이다.씨방은 3-4개이며 암술은 3-4개이고 암술대는 길게 자라서 뒤로 말린다.열매 : 열매는 골돌로서 길이 2-3cm로서 벌어지면 안쪽이 붉어지고 가장자리에 자라지 못한적색종자와 익은 흑색종자가 .. 2023. 8. 20.
만삼 초롱꽃과에 속한 여러해살이 덩굴풀. 잎은 어긋나고 거친 톱니가 있으며, 꽃은 7~8월에 자줏빛으로 핀다. 뿌리는 먹거나 약으로 쓰인다. 우리나라 북부, 만주 등지에 분포한다. 2023. 8. 20.
참당귀 잎 : 근생엽과 기부의 잎은 엽병이 길며, 기수 1-3회 우상복엽이다. 소엽은 3개로 완전히 갈라지고 다시 2-3개로 갈라지며 열편은 긴 타원형 또는 달걀모양이고 겹톱니가 있으며 정소엽은 엽신이 흐르지 않기 때문에 작은잎자루가 있고 표면의 맥위와 가장자리가 거칠며 윗부분의 잎은 퇴화되고 엽초가 타원형으로 커진다. 엽병의 기부는 칼집처럼 되어 기부를 감싼다. 꽃 : 8-9월에 큰 겹우산모양꽃차례가 가지와 줄기끝에서 발달하며 15-20개로 갈라지고 끝에 20-40개의 자주색 꽃이 달린다. 총포는 1-2개로서 엽초처럼 커지며 소총포는 5-7개이고 가늘다. 2023. 8. 20.
진퍼리잔대 잎 : 잎은 어긋나기하고 엽병이 없으며 다소 얇고 긴 타원형 또는 달걀모양이며 끝이 둔하거나 뾰족하고 밑부분이 둔하거나 둥글며 길이 2-5㎝,폭 1-2㎝로서 뒷면 맥 위에만 털이 약간 있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희미하거나 뚜렷하다. 꽃 : 꽃은 8월에 피며 원줄기 끝에 수상으로 달리고 밑으로 처지며 작은포는 넓은 달걀모양 또는 피침형이고 잎같으며 톱니가 있고 꽃자루는 길이 1-4mm이다. 꽃받침열편은 달걀모양이며 끝이 둔하고 1-2개의 톱니가 있으며 꽃부리는 윗부분이 넓은 종형이고 길이 1-1.5cm로서 연한 누른빛이 도는 자주색이다. 생육환경 : 습지에서 자란다. 보호방법 : 강원도 일부지역과 전라북도의 깊은 산지에 자라며, 자생지 및 개체수가 매우 적다. 자생지 확인 및 유전자원의 현지내외 보전. 2023. 8. 20.
매미 우화(탈피) 매미의 일생(동영상포함) 탈피한 모습 매미우화 장면 암컷매미는 나무껍질 같은 곳에 알을 낳아요. 이알은 나무속에서 약1년간 있다가 다음해 여름에 부화해요. 알에서 부화한 애벌래는 바로 땅속으로 들어가 나무 뿌리즙을 빨아 먹으며 평균 5년간 살아요. 애벌래는 땅위로 올라와 나무에 올라가 탈피(껍질)을 벗는데 2 ~ 6시간 정도 걸려요. 탈피를 하고 완전한 매미로 태어 났어요. 매미 탈피를 하고 완전한 매미로 태어 났어요. 7년 동안을 땅속에서 살다 땅밖으로 나와 20 ~30 일간 즉 한달 동안 살아요. 매미가 한달동안 살고 삶을 마무리하는데 장마철이라서 곰팡이가 피었어요. 나무로 기어 올라가다 삶을 마무리 했는데 내눈엔 곰팡이 핀 모습도 고와 보였어요. 사진이라 그렇치 곰팡이가 청자 색으로 참 고왔습니다. **** 매미는 숫놈만 .. 2023. 8. 18.
노랑망태버섯 어린 균은 직경 3.5~4㎝로 난형~구형, 백색~담자갈색이며, 기부에 두터운 근상균사속(根狀菌絲束)이 있음. 성숙한 자실체는 10~20×1.5~3㎝가 된다. 갓은 종형 자실층 : 꼭대기부분은 백색의 정공이 있으며, 표면에 그물망무늬의 융기가 있고, 점액화된 암록색 기본체가 있어서 악취가 남 버섯대 : 자루의 색은 황색~흰색이고 기부에 젤라틴질의 대주머니가 있다. 2023. 8. 17.
매미 우화(탈피) 동영상 포함 매미과에 속한 곤충. 대부분이 열대성으로 사막·초지·삼림 등에 서식한다. 2쌍의 막질 날개와 두드러진 곁눈과 3개의 홑눈을 가진다. 수컷은 복부 근처에 있는 진동막을 진동시켜 큰 소리를 낸다. 가장 잘 알려진 종류는 17년 매미와 13년 매미, 깽깽매미 등이며, 한국에서는 참매미와 쓰름매미를 비롯한 15종이 자생하고 있다. 2023. 8. 16.
애기앉은부채 꽃은 길이 1cm 정도되는 육수꽃차례 1-2개가 지면 가까이에 달린다. 꽃차례는 1-2개가 지면 가까이에 달리며 보우트 같은 검은 자갈색의 포로 싸여 있고 넓은 타원형이다. 잎이 자란 다음에 꽃이 핀다. 열매 : 열매는 다음해 꽃이 필 때 익는다. 뿌리 : 근경에서 잎이 모여나기한다. 생육환경 : 깊은 산 속 낙엽수 하부의 습윤하고 여름철에 시원한 곳에 자생한다. 2023. 8. 16.
선돌 선돌은 높이 약 70m의 입석으로 신선암(神仙岩)이라고도 불리며, 푸른 강물과 층암절벽이 어우러져 아름다운 경관을 보여주는 명승이다. 서강의 푸른물과 층암절벽이 어우러져 마치 한국화를 보는 느낌을 준다하여 일명 신성암 이라고도 불린다고 해요. 영월 방절리의 서강변에 위치하며 거대한 바위가 마치 큰 칼로 절벽을 쪼갠 듯한 형상을 이루고 있는 곳이다. 2023. 8. 14.
노랑망태버섯 어린 균은 직경 3.5~4㎝로 난형~구형, 백색~담자갈색이며, 기부에 두터운 근상균사속(根狀菌絲束)이 있음. 성숙한 자실체는 10~20×1.5~3㎝가 된다. 갓은 종형 자실층 : 꼭대기부분은 백색의 정공이 있으며, 표면에 그물망무늬의 융기가 있고, 점액화된 암록색 기본체가 있어서 악취가 남 버섯대 : 자루의 색은 황색~흰색이고 기부에 젤라틴질의 대주머니가 있다. 2023. 8. 10.
녹화왜박주가리 덩굴성 여러해살이풀이다. 뿌리는 수평으로 퍼지며, 뿌리줄기는 짧다. 줄기는 가늘고 다른 물체를 감고 올라가며, 털이 없다. 잎은 마주나며, 피침형으로 길이 3-10cm, 폭 1-5cm, 끝은 길게 뾰족해지고 밑부분은 심장형이다. 잎자루는 1-2cm이다. 뒷면은 녹색을 띤다. 꽃은 잎겨드랑이에 달리고 지름 4-5mm, 흑자색이다. 꽃받침은 5갈래로 갈라진다. 열매는 골돌로 좁은 피침형이다. 국립수목원에서는 희귀식물으로 분류하고 있다 . 2023. 8.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