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바로 지금이지. 그 때가 따로 있는 것은 아니다. 법정스님 .

야생화와 풍경/야생화 사진2999

동백나무 겨우살이(사스레피나무 기생) 동백나무, 사스레피나무, 모새 광나무, 감탕나무, 은목서, 우묵사스레피나무, 꽝꽝나무 등의 가지에 기생한다. 여름에는 반그늘에서 자라고, 겨울에는 광선을 많이 받는다. 노지에서 월동하고 16-30℃에서 잘 자라며 환경내성은 보통이다. 형태적으로 측백나무나 편백나무처럼 가지와 잎의 배열이 같다. 2021. 12. 15.
동백나무겨우살이 2021. 12. 14.
12월에 개망초가 12월에 개망초가 제철처럼 강가에 곱게도 피었습니다. 카메라를 지참하지 않아 핸드폰으로 담아 보았어요. 제철 모르고 추위에 어떻게 지나려고...^^ 2021. 12. 12.
미국까마중 미국까마중은 열매에 검은 반점이 보인다.까마중은 반점이 없다. 미국까마중은 열매에 검은 반점이 보인다.까마중은 반점이 없다. 미국까마중은 열매가 광택이난다. 일반까마중은 열매가 광택이없다. 미국까마중은 열매가 광택이난다. 일반까마중은 열매가 광택이없다. 잎 : 가장자리에 톱니가 뚜렷하다 (크기 2-4cm) 잎 : 가장자리에 톱니가 뚜렷하다 (크기 2-4cm) 까마중의 특징 2. 미국까마중 줄기 : 가지를 많이 치고 줄기 :까마중에 비해 줄기가 가늘다 잎 :가장자리가 밋밋하거나 무딘 톱니가 있다 (크기6-10cm) 잎 : 가장자리에 톱니가 뚜렷하다 (크기 2-4cm) 꽃: 짧은 총상꽃차례로 3~8송이가 달린다 꽃 : 산형꽃차례로 2-4개 달린다 열매 : 광택이 없다 열매 : 광택이 있고, 아래로 향해 달린다. 2021. 12. 6.
가지바위솔(장미목 > 돌나물과 > 바위솔속)(3탄) 2021. 12. 3.
가지바위솔(장미목 > 돌나물과 > 바위솔속)2탄 야산 밑 낭떠러지 벼베기를 한 논옆에 우뚝 솟은 커다란 바위에 석회암의 불균질 때문에 구멍이 숭숭나 일명 해골바위에 이곳저곳 구멍이 숭숭 뚫린 곳에 "가지바위솔"이 절묘하게 자라고 있었다. 바위 중간 중간 구멍난 바위 틈세에 바람이 실어다준 흙먼지를 터전삼아 살아가고 있는 가지바위솔이 강인한 생명력에 소중함을 간직했던 하루.^^ 2021. 12. 2.
다북바위솔 ( 돌나물과 >바위솔속) 분포지역 : 한국(전남 흑산도) 다북바위솔은 돌나물과의 다년초이며 다육질이다. 바위솔과 닮았으나 가지를 친다. 꽃이 피고 열매를 맺으면 지상부는 마른다. *** *** 전남 흑산도에 산다는 다북바위솔 아직 많이 알려지지 않은 바위솔. 흑산도를 가지 않아도 육지에서 볼수 있는 귀하다는 님이 있다 길래 위험을 무릎쓰고 눈 맞춤을 하였지만... 두번 다시는 가지도 말고 자생지를 가르켜 주지도 말아야겠다는 생각이 든 곳 이었다. 처음 다녀 온 사람들 사진을 보면 꽤 많은 다북바위솔 사진 올라왔는데... 현장에 실정은 암흑했다. 아무리 조심을 한다해도 조그마한 자갈이 발끝에 미끄러져 다북바위솔에 위험이 가해지는 곳이다. 맨 아래 사진 3장을 보시면 아시겠지만 조금만 발을 잘못 디뎌도 조그마한 바위가 미끄러져 꽃들.. 2021. 12. 1.
가지바위솔(장미목 .돌나물과 .바위솔속)1탄 장미목> 돌나물과>바위숲속. 꽃색 : 분홍색,백색,주황색,자주색,노란색,녹색. 잎 : 잎은 위쪽이 넓은 주걱모양 또는 긴 거꿀달걀모양, 끝은 갑자기 뾰족함. 잎의 길이는 1.8~7cm, 폭은 1~2.6cm이며, 녹색 또는 자주색을 띤 녹색이다. 꽃 : 꽃은 한 개씩 달리고, 꽃차례 길이 3~20cm이며, 꽃대 짧다. 작은포는 피침형으로, 녹색이고, 끝은 자주색이며, 길이 3.6~7mm, 폭 0.6~2.6mm이다. 꽃받침은 5갈래이고, 열편이 깊게 갈라지며, 녹색으로, 길이 3.8~6mm이다. 꽃잎은 5장, 유백색 또는 연한 노란색이며, 끝이 뾰족한 거꿀달걀모양이다. 길이 4.4~8.2mm, 폭 1.5~3.8mm이다. 암술은 5개, 유백색 또는 연녹색이고, 길이 4~8mm이다. 수술은 10개, 꽃밥이 자주.. 2021. 11. 30.
큰물칭개나물과 메뚜기 2년생 초본으로 종자로 번식하고 전국적으로 분포하며 냇가의 습지에서 자란다. 줄기는 높이 40~120cm 정도로 가지가 갈라지고 전체에 털이 없다. 마주나는 잎은 길이 5~15cm, 너비 2~5cm 정도의 긴 타원형으로 가장자리에 낮은 톱니가 있다. 7~8월에 개화하며 총상꽃차례에 달리는 꽃은 연한 하늘색 바탕에 자주색의 줄이 있다. 삭과는 지름 3mm 정도로 둥글다. ‘ 물칭개나물’과 달리 소화경은 길이 3mm 정도로서 다소 위로 향하며 꽃차례의 지름이 8~12mm 정도에 이른다. 식용하거나 퇴비나 사료로 이용한다. 밀원용으로 심기도 한다. 어린잎과 싹을 데쳐서 나물로 먹는다. *** 4~5월에 피는 큰물칭개나물이 따뜻한 남쪽이라지만 11월 중순을 넘었는데 한창 싱싱하게 자라고 있으니 추운 겨울철을 어.. 2021. 11. 24.
민매화마름(미나리아재비속) 잎 : 잎은 어긋나기하며 짧은 엽초위에 잔털이 돋은 짧은 엽병이 있고 3-4회 갈라져서 실같은 열편으로 된다. 꽃 : 꽃은 4-5월에 피며 지름 1cm정도로서 백색이고 잎과 마주나기한 화경은 길이 3-7cm이며 물 위로 올라와서 끝에 1개의 꽃이 달린다. 꽃받침은 5개로서 녹색이고 길이 3-4.5mm이며 털이 없고 꽃잎은 5개이며 거꿀달걀모양으로서 밑부분에 누른 빛이 돌고 소비늘조각이 붙어 있으며 길이 6-9mm이다. 수술과 암술은 많고 꽃밥은 길이 1mm정도이다. 꽃턱은 길이 2mm정도이며 처음부터 털이 없다. 열매 : 취과는 지름 5-6mm로서 둥글고 수과는 편평한 거꿀달걀모양이고 처음부터 털이 없고 길이 1.5-2.2mm로서 마르면 옆으로 주름이 진다. 줄기 : 길이가 50cm에 달하며 줄기는 속이.. 2021. 11. 22.
가지바위솔(1) 장미목> 돌나물과>바위숲속. 꽃색 : 분홍색,백색,주황색,자주색,노란색,녹색. 잎 : 잎은 위쪽이 넓은 주걱모양 또는 긴 거꿀달걀모양, 끝은 갑자기 뾰족함. 잎의 길이는 1.8~7cm, 폭은 1~2.6cm이며, 녹색 또는 자주색을 띤 녹색이다. 꽃 : 꽃은 한 개씩 달리고, 꽃차례 길이 3~20cm이며, 꽃대 짧다. 작은포는 피침형으로, 녹색이고, 끝은 자주색이며, 길이 3.6~7mm, 폭 0.6~2.6mm이다. 꽃받침은 5갈래이고, 열편이 깊게 갈라지며, 녹색으로, 길이 3.8~6mm이다. 꽃잎은 5장, 유백색 또는 연한 노란색이며, 끝이 뾰족한 거꿀달걀모양이다. 길이 4.4~8.2mm, 폭 1.5~3.8mm이다. 암술은 5개, 유백색 또는 연녹색이고, 길이 4~8mm이다. 수술은 10개, 꽃밥이 자주.. 2021. 11. 21.
양하 열매와 꽃 양하는 생강과로 제주와 전남 등지의 향토음식에 활용되는 독특한 향과 맛, 색을 지니고 있어 무쳐먹거나 장아찌, 김치로 담가 먹을 수 있어 꽃과 열매 보기가 쉽지않다. 양하꽃을 보려면 제주와 전남 거제 에서나 만나볼 수 있으니 먼거리를 달렸다. 인공 재배 없이 자연에서나 만나봐야 하는데... 꽃도 피기전 모두 식용으로 잘려나가 서울에선 바다를 건너거나 400km넘어 달려가야 만나볼 수 있다. 열매는 빨간 바탕에 하얀색으로 쌓인 속에 검은색 씨앗이 얼굴을 살짝 내밀고 있다. 참 매력적인 식물이다. 2021. 11. 19.
흰비진도콩 *** 1978년에 김삼식 교수가 비진도에서 처음으로 채집했기 때문에 비진도콩이라고 한다.*** 개화 : 8~9월 길이 : 2~3m분포 : 경남 유래 : 최초 발견지인 비진도에서 자라는 콩 종류라는 뜻의 이름이다. 비진도와 거제도 쪽의 빈터나 풀밭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줄기 : 덩굴져 자라고 연약하며 녹색 또는 흑자색이 돌고 아래를 향한 짧은 털이 있다. ●잎 : 어긋나게 달리고 3출엽이며 잎자루는 길다. 작은잎은 긴 난형이고 끝이 약간 오목하며 질은 얇은 편이다. 표면에는 털이 없으나 뒷면은 흰빛을 띠고 누운 털이 아주 약간 있다. 길이는 3~8㎝, 폭은 1.5~3.5㎝이다. 턱잎은 넓은 난형이다. ●꽃 : 8~9월에 잎겨드랑이에서 나오는 기다란 꽃대 끝에 달리는 총상꽃차례에 노란색 꽃이 모여.. 2021. 11. 17.
비진도콩 *** 1978년에 김삼식 교수가 비진도에서 처음으로 채집했기 때문에 비진도콩이라고 한다.*** 개화 : 8~9월 길이 : 2~3m분포 : 경남 유래 : 최초 발견지인 비진도에서 자라는 콩 종류라는 뜻의 이름이다. 비진도와 거제도 쪽의 빈터나 풀밭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줄기 : 덩굴져 자라고 연약하며 녹색 또는 흑자색이 돌고 아래를 향한 짧은 털이 있다. ●잎 : 어긋나게 달리고 3출엽이며 잎자루는 길다. 작은잎은 긴 난형이고 끝이 약간 오목하며 질은 얇은 편이다. 표면에는 털이 없으나 뒷면은 흰빛을 띠고 누운 털이 아주 약간 있다. 길이는 3~8㎝, 폭은 1.5~3.5㎝이다. 턱잎은 넓은 난형이다. ●꽃 : 8~9월에 잎겨드랑이에서 나오는 기다란 꽃대 끝에 달리는 총상꽃차례에 노란색 꽃이 모여.. 2021. 11. 16.
여우콩 바닷가의 숲 가장자리, 들판에 자라는 덩굴성 여러해살이풀이다.잎은 어긋나고 긴 잎자루 끝에 3개의 작은잎이 달린다. 작은잎은 도란형 또는 도란상 타원형,중축 가운데 끝에 붙는 작은잎은 양면에 털이 많으며 뒷면 맥 위에 누른빛이 도는 털이 밀생하고뒷면에 황갈색 샘점이 있다.잎 가장자리는 밋밋하고 끝이 짧게 뾰족해지며 밑부분은 넓게 뾰족하다.턱잎은 좁은 난형이고 갈색이 돌며 맥이 뚜렷하고, 작은 턱잎은 실처럼 가늘다.꽃은 8∼9월에 피는데 잎겨드랑이에서 난 총상꽃차례에 10∼20개가 달리며, 노란색이다.열매는 길이 1.0~1.5cm의 협과이며, 익으면 붉은빛이 돌고, 흑색 씨가 2개씩 들어 있다.우리나라 남부 해안가에 나며, 타이완, 일본, 중국, 필리핀 등에 분포한다.큰여우콩에 비해 잎이 두껍고 중축 가운.. 2021. 11. 12.
호자덩굴 꽃과 열매 호자덩굴 꽃과 열매를 한눈에 볼수 있는 특별한 영광.! 꽃은 6~7월에 열매는 11월에 볼수있는데... 꽃쟁이 거의 20년 기간 동안 한번도 만나 본적 없는 꽃복에 이리 저리 담아보았다. 11월 중순으로 넘어 가는 시기에 여름꽃이 열매가 익을 때까지 싱싱하게 피어있는 현상에 반갑고 놀라고 행운 와 대박 사건이다.^^ 2021. 11. 9.
호자덩굴(열매) 꽃 :  꽃은 6-7월에 피고 백색 바탕에 연한 붉은빛이 돌며 가지 끝에 2개씩 달리고 화경이 짧으며 꽃자루가 없다.꽃부리는 지름 약 8mm, 길이 약 1.5cm로서 판통이 길고 끝이 4개로 갈라지며2개가 나란히 위를 향해 줄기 끝에 달리고 안쪽에 털이 있다.씨방은 2개가 합쳐지며 수술은 4개이고 암술대는 1개로서 끝이 4개로 갈라진다.열매 : 장과는 둥글며 적색으로 익고 지름 약 8mm로서 끝에2개의 꽃이 달렸던 자리와 각각 4개의 꽃받침조각이 남아 있다. 2021. 11. 7.
왕별꽃 2021. 11.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