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바로 지금이지. 그 때가 따로 있는 것은 아니다. 법정스님 .

전체 글7793

긴은점표범나비 2008. 3. 29.
지리산 자락에 황금빛으로 물들인 산동 산수유 반영 2008. 3. 29.
노랑앉은부채 2008. 3. 29.
그섬에 다시가고 싶다!!! 1박2일 동안의 풍도의 전체 모습을 방문한 순서대로 담아 보았습니다. 수십 체박에 안되는 풍도 마을의 안전을 기원하며 늘 그러하듯 조용한 분위기에서 외지 사람들에 따뜻한 정서를 느낄수있는 섬마을로 곱게 자리잡기를 바라면서... 풍도는 57가구 중 노인가구가 80% 논농사는 없고 밭.. 2008. 3. 28.
풍도에서 맞이한 일출 풍도의 일출 08.03.22일 풍도에서 촬영 21일 풍도의 아름다운 들꽃들과 눈맞춤 지치고 힘들었지만 나의기상시간 5시에 눈은 여지없이 뜨이고 함께 한 친구 잠 설치랴 잠자리에서 5시30분 까지 뒹글 뒹글... 어제 저녁 운해로 일몰 촬영을 못해 일출만은 꼭 맞아보구 싶은 심정... 그러나 수면위 운해가 짖게 깔려 좋은 장소로 가기를 포기하고 부듯가에서 일출을 맞기로 기다립니다. 동해가 아닌 서해의 작은섬에서 일출! 설레이는 가슴으로 기다려 보지만 .... 둥근해는 운해에 가려 모습을 제대로 보여주지 않네요. 부지런한 갈매기들이 날개짓 찬조 출연까지해 주는데 ... 동녘 하늘을 붉게 물들일뿐 아쉬움만 가득 그러나 하늘은 청명하고 고운 아침이었다. 08.03.26일. 부용 2008. 3. 27.
풍도대극 08.03.21.일 풍도에서 촬영 개화기 1 2 (3 , 4)5 6 7 8 9 10 11 12 꽃 : 자방에 털이 있다. 암꽃과 수꽃이 함께 달린다 분포 : 풍도에서만 자생하는 풀이다. P.S. 풍도대극은 붉은대극에 비해 잎이 좁고 총포 안쪽에 털이 많다. 풍도대극의 이런 특징은 우리나라 여러 곳에 자생하는 붉은대극 집단 내에서도 관찰되는 변이이기 때문에 형태학적인 관점에서의 변종 처리는 다소 회의적이다. 하지만 동위효소 분석 결과 풍도대극은 독특한 대립인자를 갖고 있어 다른 붉은대극 집단과의 유전적 동질성이 매우 낮다고 한다. 육지와 떨어진 섬에서 오랫동안 자라 왔기 때문이 아닐까. 자세히 보면 풍도대극은 붉은대극과 달리 씨방에 털이 있다. 그 러나 어떤 것은 털이 많고 어떤 것은 아예 없어 그 역시 .. 2008. 3. 25.
풍도에서 만난 붉은대극 풍도에 붉은대극 08.03.21.일 풍도에서 촬영 개화기 1 2 3 (4 )5 6 7 8 9 10 11 12 잎 : 잎은 어릴 때 붉은빛을 띤다. 경생엽은 호생하고 긴 타원형이며 끝이 뭉뚝하고 길이 9-10cm, 폭 1.5cm이다. 열매 : 열매는 삭과로서 표면에 사마귀같은 돌기가 없다. 꽃 : 줄기 끝의 엽액에서 측지가 나와 배상화서(杯狀花序)가 달린다. 수꽃에는 소포편이 없고 자방의 표면에 사마귀같은 돌기가 없다. 줄기 :높이는 40-50cm이고 가지가 줄기 끝에서 산형으로 퍼져 난다. 뿌리 :지하경은 퉁퉁하다. 원산지 : 한국. 분포 : 울릉도에 난다. 형태 :다년초. 크기 :높이 40-50cm. 08.03.25일. 부용 2008. 3. 25.
중의 무릇 중의무릇 08.03.21.풍도에서 촬영 '중무릇' 또는 '정빙화'라고도 부른다. 전국 각지의 산록 그늘진 곳에서 자라는 다년초로서, 높이 15 ~ 20cm이고 1개의 잎이 달리며, 인경은 길이 1.5cm로서 난형이다. 근생엽은 길이 15 ~ 30cm, 나비 5 ~ 9mm로서 약간 안쪽으로 말리고 밑부분이 화경을 감싸며, 화경은 높이 15 ~ 25cm로서 긴 것과 짧은 것이 있고, 끝에 3 ~ 10개의 꽃이 산형으로 달린다. 포는 2개이며 밑부분의 것은 길이 4 ~ 8cm이다. 황색. 화피열편은 6개이며, 긴 타원형이고 길이 1.2cm 정도로서 뒷면에 녹색이 돈다. 수술은 6개이며 화피보다 짧고, 삭과는 거의 둥글며 길이와 지름이 각각 7mm 정도로서, 3개의 능선이 있다. 관상용으로 심으며, 인경을 약용.. 2008. 3. 25.
풍도에서 만난 분홍노루귀 분홍노루귀 08.03.21.풍도에서 촬영 낙엽수림 아래의 비옥한 토양에서 생육하는 다년초로서 높이 20cm에 달하고, 근경은 비스듬히 자라며 많은 마디에서 잔뿌리가 사방으로 나있다. 잎은 길이 5cm 정도로 모두 뿌리에서 돋고, 긴 엽병이 있어 사방으로 퍼지며, 심장형으로 가장자리가 3개로 갈라진다. 이른 봄 잎이 나올 때 말려서 나오고, 뒷면에 털이 돋은 모습이 마치 노루의 귀와 같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전국에 야생하며, 환경이 깨끗하고 맑은 산지의 수림 밑에 난다. 3∼4월에 잎이 나오기 전에 먼저 개화되며, 지름 1.5cm 정도로서 백색, 연분홍색, 남자주색, 붉은색 등의 꽃이 눈녹은 자리에서 긴 화경 끝에 한 송이씩 위를 향해 핀다. 전체를 약용으로 쓰며, 화단 식재나 초물 분재로 이용하면 .. 2008. 3. 25.
꿩의바람꽃 꿩의바람꽃 08.03.21일 풍도에서 촬영 중부 이북의 깊고 높은 산 숲 속 그늘에서 자라는 다년초로서, 근경은 육질이며 굵고 길이 1.5 ~ 3cm로서 방추형이며, 옆으로 자라고 선단에 막질의 인편이 몇 개 있으며, 유독성 식물이다. 근생엽은 꽃이 쓰러진 다음 자라며. 길이 4 ~ 15cm의 엽병이 있고 2회 3출엽이며, 총포엽은 3개이고 짧은 엽병이 잇다. 소엽은 긴 타원형이며, 길이 1.5 ~ 3.5cm, 나비 5 ~ 15mm로서 끝이 둔하고 윗부분에 불규칙하고 둔한 톱니가 있으며, 3개로 깊게 갈라진다. 지름 3 ~ 4cm이며, 화경은 높이 15 ~ 20cm로서 처음에는 긴 털이 있고 끝에 1개의 꽃이 달린다. 꽃받침잎은 8 ~ 13개이며 긴 타원형이고 끝이 둔하며, 길이 2cm 정도로서 백색이지.. 2008. 3. 25.
변산바람꽃 풍도에서 만난 변산바람꽃 08.03.21일 풍도에서 촬영 한라산, 지리산, 마이산과 변산 지방의 낙엽수림 가장자리에 나는 다년초로서, 높이가 12cm에 달하고 뿌리에 작은 괴경이 있다. 근생엽은 손바닥 모양으로 갈라지고 갈래는 둥근 깃꼴로 되며, 둥근 오각형 모양이고 길이와 폭이 3 ~ 5cm 정도이며 선형이다. 경생엽은 2장이고 총포 모양이며, 불규칙하게 갈라지고 잎자루는 없다. 백색. 줄기 끝에 1송이씩 달린다. 꽃줄기는 10cm 가량이고 꽃자루는 1cm 정도로 짧으며, 가는 털이 있다. 꽃받침잎은 흰색이고 5장으로서 난형이며, 길이 1 ~ 1.5cm로서 꽃잎 모양이고 일찍 탈락된다. 꽃잎은 5장이고 2갈래로 된 노란 꿀샘으로 퇴화되어 있으며, 수술은 다수이고 꽃밥은 연한 자색이다. 열매는 대과이고 .. 2008. 3. 25.
꿩의바람꽃 풍도에서 만난 꿩의 바람꽃 08.03.21일과22일 풍도에서촬영 꿩의바람꽃 과 명 : 미나리아재비과 학 명 : Anemone raddeana Regel 해발 800m 고지 이상의 낙엽수림 아래에서 잎보다 긴 꽃대 위에 흰색의 꽃이 한송이씩 달리는 '꿩의바람꽃'은 다년초로, 뿌리 줄기는 옆으로 자라면서 굵어진다. 뿌리잎은 꽃이 진 다음 자라고 긴 타원형이다. 3-5월에 피는 꽃은 꽃줄기의 윗쪽 중심에 곧게 선 줄기에 1개의 흰색 꽃이 핀다. 꿩의바람꽃은 너도 바람꽃이 지고난후 두번째로 피는 바람꽃이라고 할수 있으며 너도 바람꽃보단 꽃도 클뿐아니라 꽃도 화려하다 꿩의바람꽃이 필무렵이면 "OO 산" 에는 얼레지 꽃도 함께 피여 장관을 이룬다. 이아침에 마음이 조급해진다 얼레지와 눈 맞춤할날을 ... 08.03.. 2008. 3. 25.
제비꽃 2008. 3. 24.
풍도 야생화의 모든것 풍도 야생화 기행 풍도 : 동경126도 북위37도에 위치하며 행정구역은 경기도 안산시 중도동에 속한 풍도는 야생화의 보고로 소문난 작은 섬이다 풍도는 남양군에서 옹진군으로 되었다가 1994년도에 안산시로 편입된 곳이다. 첫배는 인천 연안부두에서 09:30분에 출발하여 11:30분 풍도 도착 .. 2008. 3. 24.
만주 바람꽃 만주 바람꽃 만주바람꽃 [滿洲- Isopyrum mandshuricum] 미나리아재비목 미나리아재비과 쌍떡잎식물. 높이 20㎝ 정도. 여러해살이풀로 보리알 같은 덩이뿌리가 달린 땅속줄기가 옆으로 길게 자라고 그 끝에 잎과 줄기가 자란다. 뿌리에 난 잎은 밑부분이 흰색 막질(膜質)로 되어 있고 넓으며, 줄기에 난 잎은 2∼3개로 잎자루 끝에서 3개로 갈라지고 다시 1∼2회 3개씩 갈라지는데 마지막 열편(裂片)은 끝이 둔하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턱잎은 막질이고 잎자루보다 길며 달걀 모양으로 가장자리는 밋밋하거나 물결모양이다. 꽃은 4∼5월에 흰색으로 핀다. 열매는 2개씩 달리고 거의 둥글며 끝에 2㎜ 정도 부리가 있다. 한국(경기도)·중국(둥베이)·우수리 등지에 분포한다. P.S .천마산에서.08.03.1.. 2008. 3. 21.
앉은부체 앉은부체 분류 : 천남성과 원산지 : 한국 분포지역 강원도 이북의 높은 산지 자생지 : 습기가 많은 숲속 크기 높이 약 10~15cm 우리나라 중부 이북의 깊은 산지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외떡잎식물 천남성목 천남성과의 여러해살이풀. 강원도의 높은 산지에서 자라는데, 이른 봄부터 잎이 먼저 자라다가 없어진 뒤 여름에 꽃이 피는 것이 특징이다. 뿌리줄기는 짧고 굵다. 잎은 모두 뿌리에서 나오고 잎자루가 길며 난상 타원형이다. 잎은 이른 봄에 매우 일찍 피는데, 뿌리에서 여러 장이 모여 나고 잎자루가 길다. 잎의 끝은 둔하고 밑부분은 심장 모양이다. 길이 10~15cm, 폭 7~12cm로서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이른 봄 일찍 잎이 자라기 때문에 설악산 꼭대기에서는 이른 봄철에 곰이 눈을 헤치고 뜯어먹는.. 2008. 3. 20.
설중처녀 치마 처녀치마 분류 : 백합과 , 백합목 외떡잎식물 백합목 백합과의 여러해살이풀. 분포지역 : 한국 ·일본 서식장소 : 산지의 그늘 습기 많은 곳 크기 : 높이 17~30cm, 꽃줄기 길이 10∼15cm 산지의 그늘 습기 많은 곳에서 자란다. 높이 17~30cm 정도이다. 뿌리줄기는 짧고 곧다. 잎은 무더기로 나와서 꽃방석같이 퍼지고 거꾸로 선 바소꼴이며 녹색으로 윤기가 있다. 꽃줄기는 4월에 잎 중앙에서 나오고 길이 10∼15cm이지만 꽃이 진 후에는 60cm 내외로 자라고 3∼10개의 꽃이 총상꽃차례로 달린다. 꽃은 4~5월에 피며 지름 2cm 내외이고 연한 홍색에서 자록색으로 변하며, 열매가 성숙할 때까지 남아 있다. 화피갈래조각과 수술은 6개이다. 암술머리에 3개의 돌기가 있다. 열매는 삭과(殼果)로 .. 2008. 3. 20.
설중복수초 풍도의 복수초 p.s. 08.03.22. 풍도에서 촬영. 쌍떡잎식물: 미나리아재비과의 여러해살이풀. 분류 : 미나리아재비과 분포지역 : 한국 ·일본 ·중국 서식장소 : 산지 숲 속 크기 : 높이 10∼30cm 원일초 ·설련화 ·얼음새꽃이라고도 한다. 산지 숲 속 그늘에서 자란다. 높이 10∼30cm이다. 뿌리줄기가 짧고 굵으며 흑갈색의 잔뿌리가 많이 나온다. 줄기는 윗부분에서 갈라지며 털이 없거나 밑부분의 잎은 막질로서 원줄기를 둘러싼다. 잎은 양면에 털이 없거나 뒷면에 작은 털이 있으며, 밑에서는 잎몸이 없고 밑부분뿐이며 위로 올라가면서 어긋나고 깃꼴로 두 번 잘게 갈라진다. 최종 갈래조각은 줄 모양이고 잎자루 밑에 달린 턱잎은 갈라졌다. 꽃은 4월 초순에 피고 노란색이며 지름 3∼4cm로 원줄기와 가.. 2008. 3.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