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바로 지금이지. 그 때가 따로 있는 것은 아니다. 법정스님 .

전체 글7793

분홍노루귀 노루귀 : 쌍떡잎식물 : 미나리아재비과의 여러해살이풀. 분포지역 : 한국(전지역)·중국·헤이룽강 등지 서식장소 : 산의 나무 밑 산의 나무 밑에서 자란다. 뿌리줄기가 비스듬히 자라고 마디가 많으며 검은색의 잔뿌리가 사방으로 퍼져나간다. 잎은 뿌리에서 뭉쳐나고 긴 잎자루가 있으며 3개로 갈라진다. 갈라진 잎은 달걀 모양이고 끝이 뭉뚝하며 뒷면에 솜털이 많이 난다. 잎몸 길이 5cm 정도, 잎자루 길이 약 25cm이다. 4월에 흰색 또는 연한 붉은색 꽃이 피는데 잎보다 먼저 긴 꽃대 위에 1개씩 붙는다. 꽃 지름은 약 1.5cm이다. 총포는 3개로 녹색이고 흰 털이 빽빽이 난다. 꽃잎은 없고 꽃잎 모양의 꽃받침이 6∼8개 있다. 꽃받침은 대부분 연한 자줏빛이며 수술과 암술이 여러 개 있다. 열매는 수과로서 .. 2008. 3. 3.
분홍노루귀 노루귀 : 쌍떡잎식물 : 미나리아재비과의 여러해살이풀. 분포지역 : 한국(전지역)·중국·헤이룽강 등지 서식장소 : 산의 나무 밑 산의 나무 밑에서 자란다. 뿌리줄기가 비스듬히 자라고 마디가 많으며 검은색의 잔뿌리가 사방으로 퍼져나간다. 잎은 뿌리에서 뭉쳐나고 긴 잎자루가 있으며 3개로 갈라진다. 갈라진 잎은 달걀 모양이고 끝이 뭉뚝하며 뒷면에 솜털이 많이 난다. 잎몸 길이 5cm 정도, 잎자루 길이 약 25cm이다. 4월에 흰색 또는 연한 붉은색 꽃이 피는데 잎보다 먼저 긴 꽃대 위에 1개씩 붙는다. 꽃 지름은 약 1.5cm이다. 총포는 3개로 녹색이고 흰 털이 빽빽이 난다. 꽃잎은 없고 꽃잎 모양의 꽃받침이 6∼8개 있다. 꽃받침은 대부분 연한 자줏빛이며 수술과 암술이 여러 개 있다. 열매는 수과로서 .. 2008. 3. 3.
흰노루귀 노루귀 : 쌍떡잎식물 : 미나리아재비과의 여러해살이풀. 분포지역 : 한국(전지역)·중국·헤이룽강 등지 서식장소 : 산의 나무 밑 산의 나무 밑에서 자란다. 뿌리줄기가 비스듬히 자라고 마디가 많으며 검은색의 잔뿌리가 사방으로 퍼져나간다. 잎은 뿌리에서 뭉쳐나고 긴 잎자루가 있으며 3개로 갈라진다. 갈라진 잎은 달걀 모양이고 끝이 뭉뚝하며 뒷면에 솜털이 많이 난다. 잎몸 길이 5cm 정도, 잎자루 길이 약 25cm이다. 4월에 흰색 또는 연한 붉은색 꽃이 피는데 잎보다 먼저 긴 꽃대 위에 1개씩 붙는다. 꽃 지름은 약 1.5cm이다. 총포는 3개로 녹색이고 흰 털이 빽빽이 난다. 꽃잎은 없고 꽃잎 모양의 꽃받침이 6∼8개 있다. 꽃받침은 대부분 연한 자줏빛이며 수술과 암술이 여러 개 있다. 열매는 수과로서 .. 2008. 3. 2.
복수초 쌍떡잎식물: 미나리아재비과의 여러해살이풀. 분류 : 미나리아재비과 분포지역 : 한국 ·일본 ·중국 서식장소 : 산지 숲 속 크기 : 높이 10∼30cm 원일초 ·설련화 ·얼음새꽃이라고도 한다. 산지 숲 속 그늘에서 자란다. 높이 10∼30cm이다. 뿌리줄기가 짧고 굵으며 흑갈색의 잔뿌리가 많이 나온다. 줄기는 윗부분에서 갈라지며 털이 없거나 밑부분의 잎은 막질로서 원줄기를 둘러싼다. 잎은 양면에 털이 없거나 뒷면에 작은 털이 있으며, 밑에서는 잎몸이 없고 밑부분뿐이며 위로 올라가면서 어긋나고 깃꼴로 두 번 잘게 갈라진다. 최종 갈래조각은 줄 모양이고 잎자루 밑에 달린 턱잎은 갈라졌다. 꽃은 4월 초순에 피고 노란색이며 지름 3∼4cm로 원줄기와 가지 끝에 1개씩 달린다. 꽃받침조각은 짙은 녹색으로 여러 .. 2008. 3. 2.
변산바람꽃 변산바람꽃(Eranthis byunsanensis B.Y.Sun 미나리아재비과)은 한라산, 지리산, 마이산, 변산반도, 설악산 등지의 낙엽수림 가장자리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한라산에서는 북사면의 해발 600미터 부근에서 매우 드물게 자란다. 키는 10센티미터쯤 되고 꽃받침잎은 5장으로 꽃잎처럼 보이며 흰색이다. 같은 속의 너도바람꽃과 비슷하지만 잎이 가늘게 갈라지는 특징으로 구분된다. 또 너도바람꽃이 중부 이북에 주로 분포 (지리산의 경상남도 지역인 장당골에도 자란다)하는 반면 이 식물은 제주도를 비롯한 남부 지방과 설악산의 동해쪽 계곡가에 드물게 자란다. 전북대학교 선병윤교수에 의해 변산반도에서 처음 발견돼 1993년 한국 특산의 신종으로 발표되었다. p.s. 08.02.29일 변산에서 촬영. .. 2008. 3. 1.
시계꽃 2008. 3. 1.
조각배경이미지 2008. 2. 28.
제주 동부도로의 일몰 제주공항 동부도로의 이름모를 포구에서의 아름다운 노을빛!!! 탐라향 음식점에서 본일몰과 저녁식사 팽케치고 포구로 달려가 찍은일몰! 자연의 신비란??? 기후 관계로 일몰을 포기하고 일찍 탐라향에서 고등어조림과 고등어구이로 저녁식사를 시작했지요 식사을 일등으로 마치고 카메.. 2008. 2. 26.
겨울에 제주 감국 08.02.25일. 부용 2008. 2. 26.
제주 형제섬의 일출 형제섬의일출!!! 바다위에 떠 있는 우애의 형제섬 산방산 바로 코 앞에서 내려다보이는 무인도. 사계리 포구에서 남쪽으로 1.5km 떨어진 지점에 위치하며, 크고 작은 섬이 형제처럼 마주하며 떠 있다. 길고 큰섬을 본섬, 작은 섬을 옷섬이라 불렀다. 본섬에는 작은 모래사장이 있으며 옷섬에는 주상절리층이 일품이다. 바다에 쑤욱 잠겨있다가 썰물 때면 모습을 드러내는 새끼섬과 암초들이 있어서 보는 방향에 따라 섬의 갯수가 3~8개로, 그 모양도 마치 착각처럼 변하기도 한다. 이런 까닭에 일출. 일몰시 사진촬영 장소와 최고의 낚시 포인트로도 아주 유명하다. 형제섬의 수중아치는 다이버들에게 잘 알려져 있으며 해송, 연산호, 군락과 함께 자리돔, 줄도화돔 때들의 유영이 만들어 내는 해저비경을 즐길 수 있다. 유양해상.. 2008. 2. 25.
제주 형제섬의 여명 제주형제섬의 여명 앞에보이는 섬이 산방산이며 저멀리 눈덮힌 한라산까지 보이는 풍광 광각으로 잡아 보았습니다. 까스가 가득차고 먹구름 잔뜩낀 날이었지만 먹구름까지 아름답고 사랑스런 존재 자연 있는 그대로가 너무 황홀한 배경... 형제섬에 여명 바다위에 떠 있는 우애의 형제섬 산방산 바로 코 앞에서 내려다보이는 무인도. 사계리 포구에서 남쪽으로 1.5km 떨어진 지점에 위치하며,크고 작은 섬이 형제처럼 마주하며 떠 있다. 길고 큰섬을 본섬, 작은 섬을 옷섬이라 불렀다. 본섬에는 작은 모래사장이 있으며 옷섬에는 주상절리층이 일품이다. 바다에 쑤욱 잠겨있다가 썰물 때면 모습을 드러내는 새끼섬과 암초들이 있어서 보는 방향에 따라 섬의 갯수가 3~8개로, 그 모양도 마치 착각처럼 변하기도 한다. 이런 까닭에 일출... 2008. 2. 25.
먼나무 "> 먼나무 먼나무. 학명. Ilex rotunda Thunb. 과명. 감탕나무과. 향명. 좀감탕나무. 먼나무잎. 분포지. 우리 나라 전라남도, 제주도 등의 표고 100∼700m에서 자라며 일본, 대만, 중국 등에 분포한다. 주요생육지. 제주도와 보길도의 표고 700m이하에서 자생한다. "> "> 08.02.23일. 부용 2008. 2. 24.
야자수 야자수 나무의 어원을 여러나라에서 살펴보면 모두들 유용하게 잘 쓰인다라는 말을 내포하고 있습니다. 즉, 여러면으로 쓰임이 많다는 뜻이겠죠. 08.02.23일. 부용 2008. 2. 24.
제주 수선화 제주 수선은 가을에 잎이 자라 겨울 중에 꽃이 핍니다. 그 외의 지역에선 겨울 중 꽃이 피다가 얼어버리기때문에 실내에서 관리해줘야 합니다. 잎을 자르면 꽃이 안 핀다는군요 .제주 수선화는 봉오리가 맺혀 피기 직전에 날씨가 흐리거나기온이 내려가면 꽃을 피우지 못하고 그냥 오므려 버립니다. 또한 겨우내 피는 꽃이기 때문에 그늘에 자라는 것은 제대로 꽃을 피울수가 없다합니다. 08.02.23일. 부용 2008. 2. 24.
매화 매화 매화 넷 등걸에 춘절(春節)이 도라오니 녜 피던 가지에 피엄즉 하다마는 춘설(春雪)이 난분분(亂紛紛)니 필똥말똥 하여라. 위의 시조는 유춘색이라는 사람이 평양감사로 부임해 매화와 가까이 지냈으나 나중에는 춘설이라는 기생을 가까이 하자 매화가 원망하며 지었다는 유래가 전해지는 작품이다. 08.02.3일. 부용 2008. 2. 23.
털머위 씨방 털머위 쌍떡잎식물 초롱꽃목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 분류 : 국화과 분포지역 : 한국(경남·전남·울릉도)·일본·타이완·중국 자생지 : 바닷가 근처 크기 : 높이 35∼75cm 뿌리줄기는 굵고 끝에서 잎자루가 긴 잎이 무더기로 나와서 비스듬히 선다. 잎은 머위같이 생기고 두꺼우며 신장 모양으로서 길이 4∼15cm, 나비 6∼30cm이고 윤기가 있다. 가장자리에 이 모양의 톱니가 있거나 밋밋하며, 뒷면에 잿빛을 띤 흰색 털이 난다. 잎자루는 길이 10∼38cm이다. 꽃은 9∼10월에 노란색으로 피는데, 지름 5cm 정도로서 산방꽃차례로 달린다. 설상화는 암꽃이고 관상화는 양성화이며 모두 열매를 맺는다. 총포조각은 1줄로 늘어선다. 열매는 수과(瘦果)로서 털이 빽빽이 나고 갈색의 관모가 있다. 관상용으로 뜰에 .. 2008. 2. 23.
동백꽃 동백꽃 동 백 꽃- Camellia japonica 분류 : 쌍떡잎식물 측막태좌목 차나무과의 상록교목 분포 : 한국(남부지방) ·중국 ·일본 기타 ; 꽃잎이 수평으로 활짝 퍼지는 것을 뜰동백(var. hortensis)이라 하며 많은 품종이 있다. 백색 꽃이 피는 것을 흰동백(for. albipetala), 어린가지와 잎 뒷면의 맥 위 및 씨방에 털이 많이 나 있는 것을 애기동백(C.sasanqua)이라고 한다 08.02.23일. 부용 . 2008. 2. 23.
범섬에 괴암괴석 괴암괴석 2008. 2.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