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바로 지금이지. 그 때가 따로 있는 것은 아니다. 법정스님 .

전체 글7793

꿩의바람꽃 4~5월에 지름 3~4cm 정도의 자줏빛 도는 흰 꽃이 높이 15~20cm의 꽃줄기 위에 한 송이씩 달려 핀다. 꽃잎은 없고 꽃받침이 꽃잎처럼 보인다. 꽃받침 조각은 8~13개인데 긴 타원형이고 끝이 둔하며 백색이지만 겉은 연한 자줏빛이 돈다. 암술과 수술이 많다. 2023. 4. 2.
현호색 2023. 3. 20.
청초호 설경 풍경 2023. 3. 20.
승환이 2023. 3. 20.
흰광대나물 2023. 3. 19.
광대나물 2023. 3. 19.
노루귀 2023. 3. 19.
길마가지나무꽃 2023. 3. 19.
변산바람꽃 바람꽃은 바람이 잘 부는 곳에 자라는 들풀이라서 주로 산이나 숲에 많이 자란다. 변산바람꽃은 변산에서 처음 발견되어 붙은 이름인데, 변산 이외에도 지리산과 마이산, 한라산에도 자라고 있다. 최근에는 일부 내륙 지방에서도 많이 발견되는데 개체수는 많지 않다. 변산바람꽃의 꽃말이 '덧없는 사랑'이라고 합니다. 출처: https://sjpark0.tistory.com/17452010 [부용의야생화사랑:티스토리] 2023. 3. 19.
복수초(福壽草) 복수초(福壽草)는 미나리아재비과 복수초속에 속하는 식물이다. 꽃이 황금색 잔처럼 생겼다고 측금잔화(側金盞花)라고도 부르고, 설날에 핀다고 원일초(元日草) 눈 속에 피는 연꽃 같다고 설연화(雪蓮花)[1], 쌓인 눈을 뚫고 나와 꽃이 피면 그 주위가 동그랗게 녹아 구멍이 난다고 눈색이꽃, 얼음새꽃이라도 부른다. 강원도 횡성에서는 눈꽃송이라고 부른다고 한다. 특이하게 꽃말이 동서양이 다르다. 동양에서는 '영원한 행복', 서양에서는 '슬픈 추억'이라고 한다. 2023. 3. 12.
덩굴모밀 2023. 3. 11.
노루귀 미나리아재비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 한국이 원산지로 전국 각지의 산지에 분포한다. 잎보다 꽃이 먼저 피며 나무 밑에서 자라는 양지식물이다. 식물 키는 10~20cm 정도로 관상용으로 화분이나 화단에 심기도 한다. 환경 적응력이 좋아 자생지에 따라 꽃의 색을 달리한다. 2023. 3. 5.
노랑턱멧새 분류서식지크기 멧새과(Emberizidae) 중국 중부와 북동부, 우수리, 러시아 극동, 한국에서 번식하고, 중국 남동부, 대만, 일본에서 월동한다. L14.5~16cm 2023. 3. 1.
설경 동영상 2023. 3. 1.
설중 풍년화 조록나무과 풍년화속에 속하는 약 6종의 식물입니다. 일본이 원산지이고, 배수가 잘되고 양지바른 사질양토에 서식한다. 크기는 3~6m 정도이다. 꽃말은 ‘저주의 "악령"이다. 2023. 2. 28.
변산바람꽃 바람꽃은 바람이 잘 부는 곳에 자라는 들풀이라서 주로 산이나 숲에 많이 자란다. 변산바람꽃은 변산에서 처음 발견되어 붙은 이름인데, 변산 이외에도 지리산과 마이산, 한라산에도 자라고 있다. 최근에는 일부 내륙 지방에서도 많이 발견되는데 개체수는 많지 않다. 변산바람꽃의 꽃말이 '덧없는 사랑'이라고 합니다. 2023. 2. 28.
청둥오리 먹이 사냥 동영상 청둥오리 한쌍이 사이 좋게 먹이사냥 하는 모습에 잠시 머리식혀 보세요.... 2023. 2. 24.
청둥오리의 먹이 사냥 준비 없이 만난 장면 100mm로 담아본 청둥오리 한쌍의 먹이사냥 재미 있었어요. 싱크로나이즈드 스위밍 멋있었어요. 2023. 2.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