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바로 지금이지. 그 때가 따로 있는 것은 아니다. 법정스님 .

전체 글7793

올리브 나무(1) 물푸레나뭇과의 상록 교목. 높이는 5~10미터이며 잎은 마주나고 긴 타원형이다. 늦은 봄에 누런 흰색의 향기로운 꽃이 피고 열매는 타원형의 핵과(核果)로 검은 자줏빛으로 익으며 열매로 기름을 짠다. 소아시아가 원산지로 지중해 연안 에스파냐 이탈리아 프랑스 미국 등지에 분포한다. 2023. 5. 27.
빨간 마로니에(프랑스어 marronnier)나무 이명 : 파비아칠엽수,미국칠엽수,빨간꽃칠엽수,잇꽃칠엽수,빨간칠엽수 등. 원산지 : 북아메리카. 정원수나 공원수로 인기 있고 가로수로는 극히 드물다. **** 우리나라에서는 아직 붉은잎칠엽수를 만나본적이 없는데 동유럽에는 많지는 않지만 간간히 가로수로 심어져 있네요. 2023. 5. 25.
작약 작약과 작약속에 속하는 관속식물. 흰색이나 빨간색 또는 여러 가지 혼합된 색의 꽃은 5~6월에 원줄기 끝에서 1개가 핀다. 중국이 원산지로 관상용이나 약초로 재배된다. 토양이 깊고 배수가 잘 되며 약간 그늘진 곳에서 잘 자란다. 어린 잎은 식용하며 뿌리는 한방에서 약재로 사용한다. 2023. 5. 22.
지느러미엉겅퀴 초롱꽃목 국화과에 속하는 두해살이풀. 원산지는 유럽과 아시아의 온대지역이다. 한국에는 도로변이나 논, 밭 근처에서 자라며, 전국에 걸쳐 분포하는 외래종 잡초이다. 줄기 양쪽에 지느러미 같은 가시가 있는 날개가 붙어있다. 5~20cm 길이의 잎에도 끝에 톱니 같은 가시가 있다. 꽃은 붉은 빛이 도는 자주색 혹은 흰색으로 핀다. 어린 순을 나물로 먹는데, 연한 줄기의 껍질을 벗겨 날것으로 먹기도 한다. 중국에서는 줄기·잎·뿌리를 이뇨제·지혈제·해열제로 쓰며 관절염 치료에 사용하기도 한다. 2023. 5. 22.
광릉요광꽃(멸종위기 야생생물Ⅰ급) 난초과의 개불알꽃속에 속하는 멸종위기식물 중의 하나. 학명은 ‘Cypripedium japonicum Thunb. ex Murray’이다. ‘광릉복주머니란’, ‘치마난초’라는 이름으로도 불린다. 1932년 처음 광릉숲에서 발견되었고, 꽃의 모양이 오줌을 누는 그릇 요강을 닮아서 지금의 이름이 지어졌다. 실제로 꽃이 피면 오줌 냄새가 나고 포기나누기를 위해 뿌리를 캐 보면 더욱 심한 오줌 지린내가 난다. 2023. 5. 20.
마로니에(프랑스어 marronnier)나무 마로니에(프랑스어 marronnier)나무 그 모양은 칠엽수와 매우 비슷하지만, 꽃차례의 곁가지가 크게 뻗어 큰 원추꽃차례를 이루는 점과 꽃잎이 짙은 분홍색을 띠는 점이 다르다. 또한 칠엽수와 달리, 열매의 바깥면에 밤송이와 같은 가시가 있다. 지중해 연안이 원산지로, 가로수로 심기도 한다. 마로니에는 지중해 연안이 원산으로 칠엽수과에 딸린 갈잎 큰키나무이다. 이탈리아나 프랑스에서 가로수로 많이 가꾸고 있다. 오뉴월에 흰색 바탕에 붉은 무늬가 있는 종 모양의 꽃이 핀다. 같은 칠엽수속에 속하는 일본 칠엽수(Aesculus turbinata)와 혼동을 빚곤 한다. 양자는 둘을 그대로 두고 보면 확연히 차이가 나지만, 둘이 다르다는 것을 모르기 때문에 같이 칠엽수라고 부르거나, 혹은 마로니에라고 부른다. 한.. 2023. 5. 18.
덩굴해란초 (애기누운주름잎) 크로아티아 두브로브니크 성벽투어 중에 만난 덩굴해란초 대단한 생명력의 덩굴해란초입니다. 척박한 환경속에서도 끈질긴 생명력 동유럽 여행중에 여기 저기서 많이 보였어요. 한해살이풀이다. 꽃은 5~9월에 핀다. 남유럽 원산의 한해살이풀이다. 줄기는 바닥을 기며, 털이 없고, 때때로 마디에서 뿌리가 나온다. 잎은 어긋나며, 손바닥 모양으로 5~9개로 얕게 갈라진다. 꽃은 연한 자주색에서 보라색이며, 잎겨드랑이에서 1개씩 나온다. 열매는 삭과다. 남유럽 원산의 귀화식물로 2006년과 2007년 서울 불광동에서 발견되어 2009년에 국내 분포가 되었다고 보고 되었다. 해란초(Linaria japonica Miq.)에 비해 기는줄기가 있는 덩굴성이며, 잎은 손바닥 모양이므로 구분된다. 힘들고 바쁜 여행중이라 이번 여.. 2023. 5. 15.
삼수개미자리 (좀산개미자리) 크로아티아 플리트비체 국립공원 죽기전에 꼭 가봐야 할 여행지 중 한 곳인 플리트비체 국립공원에서 삼수개미자리를 만났던 기쁨. 이렇게 아름다운 폭포가 있는 곳에서 우연히 "특산식물인"삼수개미자리를 만나다니 폭포를 감상하는 것보다 더 기분이 좋았다. 삼수개미자리 분포 정보 함경남도 삼수에서 혜산진 사이의 고산에서 자란다. 북방계 '삼수개미자리' 자생지 남한서 첫 발견 산림청 국립수목원은 강원도 석회암지대에서 '삼수개미자리' 자생지를 발견했다고 2010.09. 28일 밝혔다. 북방계 "특산식물인" 삼수개미자리가 남한지역에서 발견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고 국립수목원 측은 설명했다. 귀하게 만난 꽃이라 담은 것을 다 올려 본다. 크로아티아 플리트비체 국립공원의 식생은 우리나라 2750m 백두산의 식생과 비슷했다... 2023. 5. 12.
네 잎, 다섯 잎, 여섯 잎 클로버의 행운 (여행 잘 다녀 오겠습니다.) 네 잎 클로버 다섯 잎 클로버 이번 부턴 여러분이 찾아 보세요. 네 잎 클로버 몇장? 네 잎 클로버 몇장.? 네 잎 클로버 몇장.? 다섯 잎 클로버 몇장.? 네 잎 클로버 몇장.? 다섯 잎 클로버 몇장.? 여기가 돌연변이가 제일 많아요. 네 잎 클로버 몇장.? 네 잎 클로버 몇장.? 네 잎 클로버 몇장.? 네 잎 클로버 몇장.? 네 잎 클로버 몇장.? 네 잎 클로버 몇장.? 네 잎 클로버 몇장.? 이번에 여섯 잎의 크로버를 못 찾았거든요. 이번에 여섯 잎의 크로버를 못 찾았거든요. 2006년에 압축한 6 잎의 클로버입니다. 몇칠전 우연히 네 잎 클로버 몇 개체를 발견했습니다. 나에게도 행운이 따라줄까요.? ㅎㅎㅎㅎ.... 재미있자고 하는 말입니다. 네 잎 클로버가 행운이 생긴다는 의미는 아래 내용에서 생.. 2023. 4. 25.
모과나무꽃 2023. 4. 23.
할미꽃 2023. 4. 23.
애기수선화 2023. 4. 23.
창경궁의봄 2023. 4. 23.
말냉이 2023. 4. 23.
꽃다지 2023. 4. 23.
분홍조개나물(2) 2023. 4. 20.
분홍조개나물(1) 2023. 4. 20.
산괴불주머니 2023. 4.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