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바로 지금이지. 그 때가 따로 있는 것은 아니다. 법정스님 .

전체 글7793

두루미 천남성<천남성목 > 천남성과 > 천남성속> 두루미천남성은 천남성과 천남성속의 여러해살이풀 키가 50cm 정도이며 잎은 1개가 나오는데 잎자루가 길고 잎몸은 새발 모양으로 갈라집니다. 꽃은 5~6월에 녹색으로 피며 꽃대가 굵고 수많은 작은 꽃들이 피며 잎보다 길게 나옵니다. 두루미천남성의 꽃말은 '전화위복' '보호' '비밀' '현혹'입니다. 2023. 6. 17.
왕별꽃<현화식물문 > 목련강 > 석죽목 > 석죽과 > 별꽃속> 산과 들의 풀밭에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전체에 누운 털이 있다. 줄기는 높이 40-60cm이다. 잎은 마주나며 잎자루는 없다. 잎몸은 피침형으로 끝이 뾰족하다. 꽃은 6-9월에 피며, 줄기 끝과 잎겨드랑이에 취산꽃차례로 달리며, 흰색이다. 꽃자루는 길이 1-3cm이며 꽃 핀 후 밑으로 구부러진다. 꽃받침잎은 긴 타원형으로 5장이다. 꽃잎은 5장이며 끝이 5-7갈래로 갈라져 깃 모양이 된다. 수술은 10개, 암술대는 3개다. 열매는 난형의 삭과이며 꽃받침잎보다 조금 길다. 우리나라 북부지방에 자생한다. 러시아, 중국, 일본에 분포한다. 2023. 6. 13.
연리초<장미목 > 콩과 > 연리초속> 콩과에 속한 여러해살이풀. 산록과 냇가 근처의 풀밭에서 자란다. 옆으로 벋는 땅속줄기에서 나와서 높이 30~60센티미터로 자라고, 세모지며 좁은 날개가 있다. 잎은 어긋나고 1~3쌍의 작은 잎으로 되며 끝에 갈라지지 않는 덩굴손이 있다. 5월에 홍자색 꽃이 핀다. 어린잎은 식용한다. 우리나라, 중국, 일본, 동부 시베리아 등지에 분포한다. 2023. 6. 13.
선제비꽃<제비꽃속> 분포 : 일본, 중국 / 한국(경상남도 양산시) 생육환경 : 산이나 들의 습한 곳에 난다. 생육형 : 여러해살이풀 크기 : 높이 30-50cm 잎 : 잎은 어긋나기하고 삼각상 피침형이며 둔두이고 밑부분은 다소 심장저이며 길이 4-10cm이고 밑부분의 폭이 1-3cm로서 가장자리에 희미하고 둔한 톱니가 있다. 엽병은 길이 2-5cm이며 탁엽은 녹색이고 길이 3-6cm로서 큰 톱니가 있다. 꽃 : 꽃은 5-6월에 피며 길이 1cm로서 연한 자주색이고 꽃자루는 액생하며 길이 5-10cm이다. 꽃받침조각은 피침형으로서 길이 5-6mm이고 부속체는 밋밋하며 짧고 꽃잎은 길이 8-10mm이며 측판에 자주색 줄이 있고 다른 꽃잎보다 짧으며 잔털이 약간 있고 거는 반구형이며 길이 1.5-2mm이다. 열매 : 열매는 삭.. 2023. 6. 13.
실별꽃<석죽과> "실별꽃"은 석죽과 별꽃 속의 여러해살이풀로 학명은 Stellaria filicaulis Makino이다. 높이는 30cm에 달하고 모여나기 하며 네모가 지고 털이 없다. 잎은 마주나기하며 선형이고 길이 2-3cm, 폭 1-2mm로서 주맥이 표면에서는 다소 들어가며 뒷면에서는 두드러진다. 꽃은 6-7월에 피고 백색이며 윗부분의 잎겨드랑이나 줄기 끝에 1송이씩 달리고 꽃자루는 길이 2-5cm로서 꽃이 지면 구부러진다. 꽃받침조각은 5개이며 피침형이고 길이 5cm이다. 꽃잎은 5개로서 꽃받침보다 1.5배 또는 그 이상 길며 끝이 깊게 2개로 갈라지고 수술은 10개, 암술대는 3개이다. 열매는 삭과로 긴 타원형이며 누른빛이 돌고 길이 5-6mm로서 6개로 갈라지며 종자는 짙은 갈색이고 타원형이며 길이 0.7m.. 2023. 6. 13.
종덩굴(수염종덩굴)<미나리아재비과 > 으아리속> 숲 속에 자라는 낙엽 덩굴나무이다. 줄기는 길이 2-3m, 다른 물체를 타고 올라간다. 잎은 마주나며, 작은잎 5-7장으로 된 깃꼴겹잎이다. 끝의 작은잎은 덩굴손으로 변하기도 한다. 꽃은 5-6월에 잎겨드랑이에서 밑을 향해 달리며, 종 모양, 검은빛이 도는 자주색이다. 꽃받침은 4장, 꽃잎처럼 보이며, 두껍고 끝이 뒤로 젖혀지고, 겉에 털이 거의 없다. 꽃잎은 없다. 열매는 수과이며, 깃털 모양의 긴 암술대가 남아 있다. 제주도를 제외한 우리나라 전역에 자생한다. 러시아, 일본, 중국에 분포한다. 2023. 6. 13.
하늘에서 본구름 동영상(부다페스트 공항착륙) 2023년 5월26일 헝거리 부다페스트 공항 착륙시 하늘에서 본구름 동영상 2023. 6. 11.
하늘에서 내려다본 구름(1) 동유럽 여행 시 하늘에서 내려다 본구름. 파란 하늘에 각양각색의 모양을 한 흰구름이 예뻐서.... 2023. 6. 11.
인가목<Rosales(장미목) > Rosaceae(장미과) > Rosa(장미속)> 인가목은 장미과의 잎이 지는 떨기나무로 학명은 Rosa acicularis입니다. 높은 산이나 고지대의 숲에서 자라며 높이는 2~3m입니다. 나무껍질은 갈색이고 바늘 모양의 가시가 빽빽하게 덮입니다. 잎은 어긋나기하고 깃꼴겹잎 입니다. 작은잎은 긴 타원형 또는 넓은 타원형입니다. 끝은 둥글거나 뾰족하고 가장자리에 날카로운 톱니가 있습니다.​ 열매는 꽃턱과 꽃받침이 항아리 모양으로 발달하는 장미과(薔薇果)이고 8~9월에 붉은색으로 익습니다. 인가목은 붉은인가목이나 생열귀나무와 비교할 때, 열매가 긴 타원형이고 열매자루가 길며, 꽃받침조각이 꽃잎보다 길게 나오는 점이 다릅니다. ​ 2023. 6. 11.
산작약 (멸종2급) 멸종위기야생식물종 2급(환경부) 한국원산 여러해살이풀, 산작약의 자생지는 깊은 산 숲 속 그늘진 곳. 일본, 만주, 아무르, 우수리 지역에도 분포한다. 꽃은 5 ~ 6월에 분홍색으로 피고 원줄기 끝에 단정화서로 1개씩만 달린다. 꽃받침은 3개이며 난형이고 크기가 서로 다르다. 5~7장의 붉은색 꽃잎은 오전 11시 전후 아주 짧은 시간 동안 살짝만 벌어집니다. 수술은 많으며 꽃밥은 길이 5-7mm이고 암술은 3-4개이고 암술대는 길게 자라서 뒤로 말린다. 꽃은 중앙의 홍색 암술머리와 황금색 수술을 겨우 들여다볼 수 있는 정도만 살짝 벌어집니다. 꽃이 피는 기간도 화무십일홍(花無十日紅)은 커녕 3~4일도 되지 않고 날씨가 흐리거나 밤에는 꽃잎을 열지 않기 때문에 날씨 좋은 날 개화기를 잘 맞추지 못하면 꽃을.. 2023. 6. 9.
자주종덩굴 국명 : 자주종덩굴 학명 : Clematis ochotensis (Pall.) Poir. 분류 : 피자식물문 > 목련강 > 미나리아재비목 > 미나리아재비과 > 으아리속 분포 : 강원도 이북 중국(동북부) 생태 : 낙엽 활엽 덩굴나무 꽃은 7월에 피고, 열매는 9월에 익는다. 산종덩굴에 비해 키가 1m 이상이고 꽃은 짙은 자색이며 작은 잎에 예리한 톱니가 있는 것이 다르다. 줄기는 덩굴지며, 높이가 1m 이상으로 자라고, 햇가지에는 털이 있다.잎은 마주나며 2회 3출 겹잎이다. 작은 잎은 피침형, 타원상 피침형으로 길이 2.5~7.0cm, 가장자리가 2~3갈래로 깊게 갈라지기도 하며 날카로운 톱니가 있다. 잎자루는 길이 4~7cm, 부드러운 털이 있다. 꽃은 잎겨드랑이에서 나온 긴 꽃자루에 1개씩 밑을 향.. 2023. 6. 5.
유채꽃 <십자화과 > 배추속(1) 십자화과 배추속의 두해살이풀이다. 유럽 지중해 원산으로 전 세계에 분포한다. 봄이면 들판을 물들이는 노란 꽃으로 유명하다. 꽃을 보기 위해 관상용으로 심거나 씨에서 나오는 기름을 추출할 목적으로 대량 재배하기도 한다. 한국에는 중국 명나라 시대, 어린잎과 줄기를 먹기 위해 들어온 것으로 추정한다. 잎 모양이 케일과 닮아 ‘시베리안 케일’이라 부르기도 한다. 카놀라유 유채씨의 약 40% 정도가 기름이다. 씨에서 짜낸 유채 기름을 카놀라유(Canola Oil)라 한다. 카놀라(Canola)란 캐나다(Can), 기름(Oil), 산성(Acid)의 앞 글자를 따서 만든 이름으로, 본래 캐나다 유채 협회에서 사용하던 상표명이다. 1970년대 캐나다에서 품종 개량한 유채씨 기름을 적극적으로 판매하기 시작하면서 붙여졌.. 2023. 6. 2.
소래풀<양귀비목 > 십자화과 > 소래풀속> 중국 원산의 귀화식물이며 덤불숲, 산기슭 등에서 자라는 한해살이 또는 두해살이풀이다. "중국에서 부르는 이름은 제갈채이다." 줄기는 곧게 자라며 높이 20~50cm, 아래쪽에서 가지가 갈라지고 전체에 털이 없으며 흰 가루로 덮여 있다. 뿌리잎과 줄기 아래쪽 잎은 잎자루가 있으며 깃꼴로 갈라진다. 줄기 위쪽 잎은 좁은 난형으로 갈라지지 않으며, 밑부분은 귀 모양으로 줄기를 감싸고, 가장자리는 잔 톱니 모양, 끝은 뾰족하다. 꽃은 5~6월에 연한 붉은색 또는 보라색으로 피며, 총상꽃차례를 이룬다. 꽃잎은 길이 25~30mm로 꽃받침잎의 2배 길이다. 열매는 각과, 7~8월에 익는데 선형으로 길이 5~11cm, 폭 1.5~3.0mm, 4개의 모서리가 있으며, 끝은 뿔처럼 된다. 씨는 타원형으로 길이 2~3mm.. 2023. 6. 2.
실별꽃(석죽과) 크롭 많이 했습니다. 꽃이 너무 작아서.... 씨방 작아도 너무 작다. 씨방 작아도 너무 작다. "실별꽃"은 석죽과 별꽃 속의 여러해살이풀로 학명은 Stellaria filicaulis Makino이다. 높이는 30cm에 달하고 모여나기 하며 네모가 지고 털이 없다. 잎은 마주나기하며 선형이고 길이 2-3cm, 폭 1-2mm로서 주맥이 표면에서는 다소 들어가며 뒷면에서는 두드러진다. 꽃은 6-7월에 피고 백색이며 윗부분의 잎겨드랑이나 줄기 끝에 1송이씩 달리고 꽃자루는 길이 2-5cm로서 꽃이 지면 구부러진다. 꽃받침조각은 5개이며 피침형이고 길이 5cm이다. 꽃잎은 5개로서 꽃받침보다 1.5배 또는 그 이상 길며 끝이 깊게 2개로 갈라지고 수술은 10개, 암술대는 3개이다. 열매는 삭과로 긴 타원형이며.. 2023. 5. 31.
백미 <박주가리과>아마존, 털백미, 털개백미. 다년생 초본, 높이 50㎝ 잎은 대생, 타원형, 길이 6~15㎝, 폭 3~10㎝, 예두, 원저, 전연, 엽병은 8~12㎜ 꽃은 양성화, 5~7월 흑자색 개화 꽃받침은 5열, 피침형 열매는 골돌과, 넓은 피침형, 길이 7~8㎝, 지름 1.5㎝ **** 백미꽃은 박주가리과에 속하며, 아마존, 백미, 털백미, 털개백미라고도 한다. 2023. 5. 29.
선제비꽃(현화식물문 제비꽃목 > 제비꽃과 > 제비꽃속 분포 : 일본, 중국 / 한국(경상남도 양산시) 생육환경 : 산이나 들의 습한 곳에 난다. 생육형 : 여러해살이풀 크기 : 높이 30-50cm 잎 : 잎은 어긋나기하고 삼각상 피침형이며 둔두이고 밑부분은 다소 심장저이며 길이 4-10cm이고 밑부분의 폭이 1-3cm로서 가장자리에 희미하고 둔한 톱니가 있다. 엽병은 길이 2-5cm이며 탁엽은 녹색이고 길이 3-6cm로서 큰 톱니가 있다. 꽃 : 꽃은 5-6월에 피며 길이 1cm로서 연한 자주색이고 꽃자루는 액생하며 길이 5-10cm이다. 꽃받침조각은 피침형으로서 길이 5-6mm이고 부속체는 밋밋하며 짧고 꽃잎은 길이 8-10mm이며 측판에 자주색 줄이 있고 다른 꽃잎보다 짧으며 잔털이 약간 있고 거는 반구형이며 길이 1.5-2mm이다. 열매 : 열매는 삭.. 2023. 5. 28.
오스트리아의 명물 할슈타트에서 오스트리아 할슈타트에서 장크트볼프강과 이곳의 명물 샤프베르크 산악열차 그리고 모차르트 어머니 고향인 장크트길겐을 구경하려고 아들이 주차장에 주차하는 동안 잠시 핸드폰으로 몇컷! ***** 민들레가 우리나라 민들레보단 꽃잎이 많이 가는 것 같아 클로즈업해서 찍어 보았다. 그런데 사진으론 꽃잎 가는 것이 구별이 잘 안 되네요.^^ 2023. 5. 28.
부다 성과 양귀비 헝거리수도 부다페스트의 부다성에 양귀비꽃이 아름다워 성과함께 한컷... 2023. 5. 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