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바로 지금이지. 그 때가 따로 있는 것은 아니다. 법정스님 .

전체 글7791

허난설헌의 생가의 설경. 강릉시에 있는 허난설헌의 생가에 폭설이 많이 오던날! 노송숲에 설경과 고드름이 아름다웠다. 몸은 추웠어도 마음이 순수한 하얀 눈처럼 행복 행복 했던날.^^ 2024. 1. 10.
폭설(2) 기상청에 따르면 12월 기준 13년 만에 가장 많은 양을 기록했다한다. 전문가들은 엘니뇨와 지구온난화 현상으로 인해 습기를 머금은 따뜻한 공기가 한반도 주변에 많아지며 갑작스러운 폭설이 내렸다한다. 폭설에 소나무들의 가지가 많이 찧어졌다. 위험한 눈길이었다.^^ 2024. 1. 7.
설중 회양목 꽃이 귀한 엄동설한에 회양목이 꽃 보다도 더 예뻐 보였던 순간. 풍경을 담다 광각렌즈로 담았더니.... 비네팅(vignetting) 때문에 역시나 마음에 들지않았다.^^ 2024. 1. 6.
눈을 좋아하는 귀여운 강아지(2) 눈을 좋아 하는 강아지 눈속을 파고 무엇을 찾을까.? 눈을 먹으려나? 순간 카메라를 들고 찍으려는 순간 사랑스런 눈짓으로 포즈를 취해주고 있다.^^ 2024. 1. 6.
눈을 좋아하는 귀여운 강아지(1) 눈을 좋아 하는 강아지 눈속을 파고 무엇을 찾을까.? 눈을 먹으려나? 순간 카메라를 들고 찍으려는 순간 사랑스런 눈짓으로 포즈를 취해주고 있다.^^ 2024. 1. 6.
큰여우콩 큰여우콩은 콩과 여우콩속의 덩굴성 다년초로 포기 전체에서 갈색 털이 나며 잎은 어긋나기고 3출엽입니다. 꽃은 7~8월에 황색으로 피고 잎겨드랑이에 총상꽃차례로 달립니다. 10월에 성숙되며 협과(莢果)로서 꼬투리는 편평한 타원형이고 길이 15~17mm, 나비 8mm로서 대가 거의 없으며 양면에 털이 있으나 봉선(縫線) 이외에는 털이 없는 것도 있으며 익으면 겉에 잔털이 있고 붉은빛이 돌고 2개의 흑색 종자가 들어 있으며 꼬투리가 터진 다음에도 종자가 달려있다. ****** 열매가 매력적인 큰여우콩 두 개의 검은 종자가 정말 여우의 눈을 많이 닮았습니다.^^ 2024. 1. 6.
2024년 갑진년(甲辰年)청용의해 2024년 청용의 해 맞이 희망찬 새해 갑진년 甲辰年 60갑자 중 하나인 청용 靑龍 그래서 또 다른 큰 뜻을 품은 모두 모두 원하는 자리로 높이 출세하시라는 뜻 담은 갑진년 청용의 해 간절하게 원하기는 새해 원단에 머리 숙여 큰절로 세배드립니다. 만복 萬福 누리소서 !!! 2024. 1. 6.
갑진년(甲辰年)새해 福 많이 받으세요.^^ 2024년 갑진년(甲辰年)청룡기운 듬뿍 받으시고 늘 건강하고 행복한 출사길 되시길 기원합니다.^^ 2024. 1. 2.
갑진년(甲辰年)새해 福 많이 받으세요.^^ 2024년 갑진년(甲辰年)청룡기운 듬뿍 받으시고 늘 건강하고 행복한 출사길 되시길 기원합니다.^^ 2023. 12. 31.
폭설(1) 기상청에 따르면 12월 기준 13년 만에 가장 많은 양을 기록했다한다. 전문가들은 엘니뇨와 지구온난화 현상으로 인해 습기를 머금은 따뜻한 공기가 한반도 주변에 많아지며 갑작스러운 폭설이 내렸다한다. 폭설에 소나무들의 가지가 많이 찧어졌다. 위험한 눈길이었다.^^ 2023. 12. 28.
사진 찾아가세요(2) 눈이 많이 온후 잠시 구름이 걷히고 ... 장성에서 즐겁게 작품 사진에 몰두하시는 분들 ....^^ 2023. 12. 28.
눈 오리(만들기) 외출후 돌아오는 길 집앞 화단위에 고사리 같은 손으로 눈오리를 예쁘게 만들어 줄세워 놓아 핸드폰으로 몇컷 담아 보았네요. 누구의 솜씨일까? 동심의 세계에 잠시 빠져 보세요. 2023. 12. 28.
흰달개비 방사선의 량을 감시하는 식물. 외떡잎식물이며, 원산지는 북아메리카이고 여러해살이 초본이며 관상용으로 심는다. 높이 50cm 정도이고, 줄기는 지름 1cm 정도로 무더기로 자란다. 잎은 어긋나고 넓은 줄 모양이며 윗부분은 끝이 젖혀진다. 잎은 길이 30cm 정도로 회색빛을 띤 녹색이며 밑부분은 넓어져서 줄기를 감싸고 있다. 꽃, 씨앗, 열매 꽃은 5월경에 피기 시작하고 자줏빛이 돌며 꽃줄기 끝에 모여 달린다. 꽃받침조각과 꽃잎은 3개씩이고 수술은 6개이며 수술대에 청자색 털이 있다. 꽃은 아침에 피었다가 흐리거나 오후에 시들기 때문에 부지런한 사람만 활짝핀 꽃을 볼 수 있다. 열매는 9월에 익는다. 열매는 타원형의 삭과이다. 2023. 12. 28.
사루비아 생태 : 원산지에서는 여러해살이풀이며, 우리나라에서는 한해살이풀이다. 꽃은 5-10월에 핀다. 이용 : 꽃이 화려하고 오래 피므로 관상용으로 심어 기르고, 잎을 말려서 약재나 향신료로 쓴다. 2023. 12. 28.
둥근바위솔 여러해살이풀로 뿌리줄기는 짧고 굵다. 줄기는 꽃이 필 때 높이 20-30cm다. 잎은 다육질, 연한 녹색, 뿌리에서 여러 장이 모여나거나 줄기에 다닥다닥 어긋나고, 타원형 또는 도란상 피침형, 길이 1.5-7.0cm, 폭 1-3cm, 끝이 둔하거나 둥글다. 꽃은 길이 5-20cm의 총상꽃차례에 빽빽하게 달리며, 흰색이다. 꽃싸개잎은 난형, 끝이 뾰족하다. 꽃자루는 거의 없다. 꽃받침 조각은 5장, 긴 타원형, 길이 3-4mm다. 꽃잎은 5장, 긴 타원형 또는 둥근 난형, 길이 4-6mm, 끝이 뾰족하다. 수술은 10개, 꽃잎보다 길다. 수술대는 흰색, 꽃밥은 붉은색이다. 열매는 골돌이며, 5개씩 달린다. 2023. 12. 28.
둥근바위솔 대화현상 대화 현상 [帶化現象]( fasciation) 식물 줄기의 일부가 띠 모양으로 지나치게 편평하게 변하여 기형이 되는 현상. 줄기의 생장점이 한쪽으로 증가하여 선 모양으로 변하면서 발생한다. 여러해살이풀로 뿌리줄기는 짧고 굵다. 줄기는 꽃이 필 때 높이 20-30cm다. 잎은 다육질, 연한 녹색, 뿌리에서 여러 장이 모여나거나 줄기에 다닥다닥 어긋나고, 타원형 또는 도란상 피침형, 길이 1.5-7.0cm, 폭 1-3cm, 끝이 둔하거나 둥글다. 꽃은 길이 5-20cm의 총상꽃차례에 빽빽하게 달리며, 흰색이다. 꽃싸개잎은 난형, 끝이 뾰족하다. 꽃자루는 거의 없다. 꽃받침 조각은 5장, 긴 타원형, 길이 3-4mm다. 꽃잎은 5장, 긴 타원형 또는 둥근 난형, 길이 4-6mm, 끝이 뾰족하다. 수술은 10개.. 2023. 12. 28.
투구꽃 전국의 산 숲 속에 비교적 흔하게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세계적으로는 중국 동북부, 일본, 러시아 우수리 지역 등지에 분포한다. 줄기는 곧추서며, 높이 80-100cm다. 잎은 어긋나며, 3-5갈래로 갈라지고, 갈래 끝이 뾰족하다. 줄기 위쪽의 잎은 점점 작아지고, 3갈래로 갈라진다. 꽃은 9월에 줄기 끝과 잎겨드랑이에서 난 총상꽃차례 또는 겹총상꽃차례에 피며, 투구 모양, 보라색이다. 꽃자루는 곧고 퍼진 털이 난다. 꽃받침잎은 5장, 꽃잎처럼 보이고, 겉에 털이 있다. 꽃잎은 2장, 위쪽 꽃받침 속에 있으며, 꿀샘으로 된다. 수술은 많고, 아래쪽이 날개처럼 넓어진다. 암술은 3-5개, 털이 많다. 열매는 골돌이며, 타원형이다. 맹독성 물질이 함유되어 있는 유독 식물이며 한방에서 약으로 쓴다. 2023. 12. 28.
나도송이풀 꽃은 8-9월에 피고 연한 홍자색으로서 줄기 윗부분의 잎겨드랑이에서 피어 총상꽃차례꼴을 이루며 꽃받침은 종형이고 비스듬히 5개로 갈라지며 길이 5-7mm이고 꽃이 진 다음 다소 커지며 열편은 녹색이고 타원형이며 톱니가 있다. 꽃부리는 길이 2cm정도로서 긴 판통의 끝이 2개로 갈라지며 양순형이고 상순은 젖혀져서 끝이 파지며 하순은 옆으로 퍼져서 3개로 갈라지고 4개의 수술 중 2개가 길다. 송이풀은 송이버섯이 나기 시작 할 무렵 핀다고 하여 송이풀이라고 하였으며 나도 송이풀이라는 뜻으로 송이풀을 닮아 나도 송이풀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합니다. 가을로 접어드는 계절인 8~9월 볕이 잘드는 풀밭에 입술 모양의 톡특한 분홍꽃을 피웁니다. 2023. 12.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