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7791 백부자 산 숲 속에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덩이뿌리가 2-3개 발달한다. 줄기는 곧추서며, 높이 40-130cm이다. 잎은 어긋나며, 길이 4-6.5cm, 폭 3.5-6.5cm이다. 잎은 3갈래로 밑부분까지 갈라지고, 다시 2-3회 갈라지고, 마지막 갈래는 선형이다. 꽃은 8-10월에 피며, 줄기 끝의 총상꽃차례에 달리고 노란색 또는 흰색 바탕에 자줏빛이 돈다. 꽃받침잎은 5장이고, 위쪽 꽃받침잎은 투구 모양이고 곁꽃받침잎은 난형이다. 꽃잎은 2장, 위쪽 꽃받침잎 속에 들어 있고, 꿀샘으로 된다. 열매는 골돌과이다. 2023. 12. 28. 솔체꽃 년생 초본으로 종자로 번식한다. 중북부지방에 분포하며 산지에서 자란다. 원줄기는 높이 50~100cm 정도이고 가지가 갈라지며 전체에 털이 있다. 모여 나는 근생엽은 꽃이 필 때에 없어지고 마주나는 경생엽은 길이 6~12cm 정도의 난상 타원형으로 우상으로 갈라지며 가장자리에 결각상의 톱니가 있다. 7~8월에 두상꽃차례로 피는 꽃은 하늘색이다. ‘산토끼꽃속’에 비해 전체에 연모가 있고 두상화는 편평하며 화상 인편은 짧거나 없다. 관상용으로 심는다. 여름에 연한 잎을 삶아 나물로 먹거나 말려 두고 떡을 해 먹는다. 2023. 12. 28. 이상하게 생긴 나목 이끼낀 나목에 암수가 함께 존재한다. 2023. 12. 28. 애기앉은부채(2) 꽃은 길이 1cm 정도되는 육수꽃차례 1-2개가 지면 가까이에 달린다. 꽃차례는 1-2개가 지면 가까이에 달리며 보우트 같은 검은 자갈색의 포로 싸여 있고 넓은 타원형이다. 잎이 자란 다음에 꽃이 핀다. 열매 : 열매는 다음해 꽃이 필 때 익는다. 뿌리 : 근경에서 잎이 모여나기한다. 생육환경 : 깊은 산 속 낙엽수 하부의 습윤하고 여름철에 시원한 곳에 자생한다. 2023. 12. 28. 애기앉은부채 꽃은 길이 1cm 정도되는 육수꽃차례 1-2개가 지면 가까이에 달린다. 꽃차례는 1-2개가 지면 가까이에 달리며 보우트 같은 검은 자갈색의 포로 싸여 있고 넓은 타원형이다. 잎이 자란 다음에 꽃이 핀다. 열매 : 열매는 다음해 꽃이 필 때 익는다. 뿌리 : 근경에서 잎이 모여나기한다. 생육환경 : 깊은 산 속 낙엽수 하부의 습윤하고 여름철에 시원한 곳에 자생한다. ****** 장마철 애기앉은부채가 물에 떠내려간다. 2023. 12. 28. 직박구리 예쁜짓을 하고 있는 직박구리 새는 흔하고 예쁘지 않다고 인기 없지만 빨간 피라칸타 열매를 입에물고 애교를 부려 한참을 같이 놀다 왔다.^^ 2023. 12. 28. 동고비 암컷과 수컷의 생김새는 동일하다. 머리 꼭대기에서 위꼬리덮깃까지 청색을 띤 잿빛이에요. 좁은 눈썹 선은 어두운 색이며 눈앞에서 목옆에 이르는 눈 선은 검은색이다. 뺨, 귀깃, 턱밑, 턱 아래 부위, 가슴은 흰색이며, 배는 황갈색이다. 배 옆에는 갈색 및 밤색의 얼룩점이 있으며, 아래꼬리덮깃은 밤색으로 각 깃털의 끝은 검은색이다. •긴 부리는 시멘트색을 띤 검은색이며, 다리는 올리브색을 띤 잿빛이다. 2023. 12. 28. 자주달개비 방사선의 량을 감시하는 식물. 외떡잎식물이며, 원산지는 북아메리카이고 여러해살이 초본이며 관상용으로 심는다. 높이 50cm 정도이고, 줄기는 지름 1cm 정도로 무더기로 자란다. 잎은 어긋나고 넓은 줄 모양이며 윗부분은 끝이 젖혀진다. 잎은 길이 30cm 정도로 회색빛을 띤 녹색이며 밑부분은 넓어져서 줄기를 감싸고 있다. 꽃, 씨앗, 열매 꽃은 5월경에 피기 시작하고 자줏빛이 돌며 꽃줄기 끝에 모여 달린다. 꽃받침조각과 꽃잎은 3개씩이고 수술은 6개이며 수술대에 청자색 털이 있다. 꽃은 아침에 피었다가 흐리거나 오후에 시들기 때문에 부지런한 사람만 활짝핀 꽃을 볼 수 있다. 열매는 9월에 익는다. 열매는 타원형의 삭과이다. 2023. 12. 27. 설화 꽃꽃이 남부 지방의 폭설이 도로 위에 눈 꽃꽂이 장식을 해놓은 듯합니다. 결혼식 신부의 bouquet 같은 꽃다발에 잠시 내 눈을 호강시키고, 마음을 빼앗아 갔던 행복했던 순간. 도솔천에서...^^ 2023. 12. 26. Merry Christmas & Happy New Year! Merry Christmas & Happy New Year! 즐겁고 행복 가득한 크리스마스 보내시고... 2024년 갑진년(甲辰年) 에도 울님들 福 많이 받으시고 항상 건강하시고 행복하세요.^^ 2023. 12. 24. 설중 산수유 꽃, 씨앗, 열매 꽃은 노란색으로 3월에 잎보다 먼저피고 우산모양의 꽃차례로 20~30개의 작은 꽃들이 뭉쳐 조밀하게 달린다. 꽃잎과 수술은 각각 4개이다. 열매는 길이 1.5~2.0cm 정도의 긴 타원형 핵과로 8월부터 익기 시작하여 10월에는 빨갛게 익는다. 열매는 겨울에도 떨어지지 않고 나무에 그대로 달려있다. 2023. 12. 24. 아름다운 사람들 적어도 4 사람은 사진 담는 것을 인식하고 밝은미소를 지워준다. 아름다운 사람들 임에 틀림없다. 13년전 상해 시내에서 스냅사진. 재미 있는 표정들... 역시 서양 사람들이 개방적 밝은미소 2023. 12. 23. 서양등골나물 북미 원산의 귀화식물로 길가나 숲의 개활지에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줄기는 높이 30-130cm이다. 잎은 마주나며, 잎몸은 난형으로 가장자리에 뾰족한 톱니가 있다. 잎자루는 길이 2-6cm이다. 꽃은 7-9월에 피며, 흰색이고, 줄기와 가지 끝에서 머리모양꽃이 산방꽃차례를 이룬다. 머리모양꽃은 관모양꽃으로만 이루어졌다. 모인꽃싸개는 원통형이고 꽃싸개는 10개 정도로 1줄로 붙는다. 서울을 중심으로 전국적으로 분포가 확산되고 있다. 2023. 12. 23. 석위 분류 : 고사리목>고란초과>석위속 분포지역 : 제주도와 남부의 산지에 자생한다. 형태 : 상록 다년초, 양치식물 크기 : 높이 13-30cm 잎 : 잎은 드물게 근경에서 모여나기한다. 엽병은 길이가 10~26cm이며 가늘고 길며 빳빳하고 흑색이 나며 홈이 파지고 별모양털이 있으나 밑부분이 근경에서 나와 비늘조각으로 덮인 짧은 가지와 연결되며 비늘조각은 길이 7-8mm이다. 엽신은 넓은 피침형 또는 난상 피침형으로서 양끝이 좁고 두꺼우며 표면은 짙은 녹색으로서 털이 없으나 뒷면은 갈색이 도는 별모양털이 밀생하고 주맥이 뚜렷하게 도드라진다. 가장자리는 약간 물결모양이다. 열매 : 포자낭군은 갈색의 점모양 조밀하게 잎 뒷면에 덮여 있다. 생육환경 : 바위 또는 노목 겉에 붙어서 자란다. 음지 또는 적당한 반음.. 2023. 12. 22. 설중피라칸타 장미과 피라칸타속(Pyracantha)에 속하는 가시가 달린 상록관목. 유럽 남동부와 아시아가 원산지이다. 편편한 구형의 화려한 열매 때문에 관상용으로 재배되는데, 울타리를 치거나 과수를 받치는 지주로 쓰이기도 한다. 넓은 타원형의 작은 잎이 짧은 잎자루에 달리며 작은 흰 꽃이 무리 지어 핀다. 꽃이 핀 뒤 오렌지색에서 불그레한 색을 띠는 열매가 맺히는데, 겨울에 접어들 때까지 줄기에 단단하게 붙어 있다. 수세가 단단하고 열매가 아름다워 분재의 소재로도 많이 이용된다. 2023. 12. 20. 동유럽(체스키크룸로프 성탑) 체코의 시내 전망을 감상할 수 있는 체스키크룸로프 성탑의 이모 저모. 2023. 12. 19. 오벨리스크위에 걸친 달빛 체코의 동화같은 마을 체스키크룸로프의 구시가지 소보르노스티광장의 오벨리스크위에 걸친 달빛, 핸드폰으로 찍은사진인데 절묘한 순간의 포착이였다 2023. 12. 19. 진황색 난버섯 이 버섯은 노란난버섯(Pluteus leoninus)으로 알려졌던 버섯인데 최근에 진황색난버섯(Pluteus variabilicolor)라는 종이 버섯 조사 결과에 등장했다. 이에 여러 모로 연구해 보니 노란난버섯으로 알려졌던 버섯이 바로 이 종인 것을 논문 내용과 이미지, 현미경 관찰 등로 확인했다. 노란난버섯은 실제로 국내에 존재하지 않을 수도 개요 버섯갓의 지름은 2-7cm 정도이다. 어릴 때는 종 모양에서 반원 모양을 거쳐 편평하게 된다. 갓 표면은 털이 없이 매끈하고 어릴 때는 밝은 노란색, 황금빛 노란색에서 노래 되면 중황색이 가미된 어두운 노란색으로 되ㅕㅁ, 가운데는 좀 진한색이된다. 어릴 때는 가운데가 돌출하고 주름이 많이 지지남 점차 평활해지며, 습할 때는 가장자리에 방사상의 선이 나타난.. 2023. 12. 19. 이전 1 ··· 31 32 33 34 35 36 37 ··· 43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