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바로 지금이지. 그 때가 따로 있는 것은 아니다. 법정스님 .

전체 글7793

꽃향유 꿀을 따는 벌(현화식물문 > 목련강 > 꿀풀목 > 꿀풀과 > 향유속) 꽃향유 꽃을 담는데 향기가 무척 좋았는데... 벌들이 꿀을 따려고 정신이 없네. 렌즈가 짧아서 아쉬워었다. 2022. 11. 2.
노랑배풍등(현화식물문 > 목련강 > 가지목 > 가지과 > 가지속) 산지의 햇볕이 잘 드는 바위지대에 자라는 덩굴성 여러해살이풀이다. 전체에 샘털이 많다. 줄기는 길이 3m까지 자라며, 끝이 덩굴처럼 된다. 잎은 마주나며, 난형 또는 긴 타원형으로 길이 3-8cm, 폭 2-4cm이다. 잎 끝은 뾰족하고 밑은 심장 모양이며, 가장자리는 밋밋하거나 1-2쌍의 조각으로 갈라진다. 꽃은 7-8월에 원추꽃차례로 달리며, 흰색이다. 화관은 5갈래로 깊게 갈라지고, 갈래조각은 뒤로 젖혀진다. 열매는 장과이며, 둥글고 붉게 익는다. 2022. 10. 31.
배풍등(현화식물문 > 목련강 > 가지목 > 가지과 > 가지속) 산지의 햇볕이 잘 드는 바위지대에 자라는 덩굴성 여러해살이풀이다. 전체에 샘털이 많다. 줄기는 길이 3m까지 자라며, 끝이 덩굴처럼 된다. 잎은 마주나며, 난형 또는 긴 타원형으로 길이 3-8cm, 폭 2-4cm이다. 잎 끝은 뾰족하고 밑은 심장 모양이며, 가장자리는 밋밋하거나 1-2쌍의 조각으로 갈라진다. 꽃은 7-8월에 원추꽃차례로 달리며, 흰색이다. 화관은 5갈래로 깊게 갈라지고, 갈래조각은 뒤로 젖혀진다. 열매는 장과이며, 둥글고 붉게 익는다. 줄기와 뿌리를 약용한다. 경기도 이남에 자생하며, 국외로는 인도, 일본, 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2022. 10. 30.
좀깨잎나무(쐐기풀목 > 쐐기풀과 > 모시풀속) 쐐기풀과에 속하는 낙엽 반관목. 잎사귀가 깻잎같으나 좀스럽다고 하여 좀깨잎나무라는 이름이 붙었다. '소적마',''새끼거북꼬리', '좀깨잎풀', '점거북꼬리'라고도 한다. 동북아시아 일대에 분포하며 산골짜기 시내 근처와 산림 가장자리에 자생한다. 어린 잎은 식용하며 껍질에서 섬유를 뽑는다. 2022. 10. 25.
구절초(초롱꽃목 > 국화과 > 산국속) 초롱꽃목 국화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 원산지는 한국, 일본, 중국 등의 아시아이다. 고지대의 능선 부위에서 군락을 형성하며 자라지만 들에서도 흔히 자란다. 잎은 달걀모양 또는 넓은 달걀모양이고 꽃은 머리모양꽃차례로 핀다. 열매는 긴 타원형으로 모양이 작고 익어도 터지지 않는 수과로 열리고, 종자는 9~11월에 성숙한다. 노지에서 월동이 가능하고 번식이 매우 강하다. 소화기능을 원활하게 하는 효능이 있다. 2022. 10. 22.
좁은잎꼬인용담(용담목 > 용담과 > 좁은잎덩굴용담속) 분포지역 : 일본, 중국 / 한국(강원도 강릉시, 정선군, 태백시) 형태 : 여러해살이풀 잎 : 잎은 마주나기, 넓은 피침형 또는 선상 피침형이며 3맥이 있고 끝이 길게 뾰족해지며 길이 2~4cm, 폭 5~10mm로서 가장자리는 밋밋하고 밑부분이 좁아져서 엽병같이 된다. 꽃 : 꽃은 잎겨드랑이와 원줄기 끝에 1송이씩 달리며 짧은 화경이 있고 꽃받침통은 길이 1.5-2cm로서 5개의 날개가 있으며 때로는 한쪽이 깊게 파열되고 끝이 4개로 갈라지며 열편은 넓은 선형이고 길이 3-5mm로서 뒷면이 날개모양이며 좌우가 편평하다. 꽃부리는 길이 3-3.5cm로서 4개로 중앙 부근까지 갈라지고 열편은 곧추서며 긴 타원형이고 끝이 둥글며 부속체가 없고 씨방은 대가 있으며 암술대는 길이 2-3mm이다. 열매 : 열매는.. 2022. 10. 21.
고마리(2)(식물 > 쌍자엽식물 이판화 > 마디풀과(Polygonaceae) 1년생 초본으로 종자로 번식한다. 전국적으로 분포하며 들의 습지나 개울가에서 자란다. 줄기는 길이 50~100cm 정도로 옆으로 비스듬히 자라고 땅에 닿은 마디에서는 뿌리가 내리며 가지가 갈라진다. 어긋나는 잎의 잎몸은 길이 4~8cm, 너비 3~6cm 정도의 난형으로 밑부분이 심장저이며 짙은 녹색으로 약간의 털이 있고 윤기가 없다. 밑부분의 잎은 잎자루가 있으나 윗부분의 잎은 짧아지고 흔히 날개가 있으며 소엽같이 달리는 잎집은 길이 4~8mm 정도로 가장자리에 짧은 털이 있다. 8~9월에 개화한다. 화경에 짧은 털과 대가 있는 선모가 있고 꽃은 붉은빛이 도는 꽃 또는 백색바탕에 붉은빛이 도는 꽃과 흰빛이 도는 꽃이 있다. ‘나도미꾸리낚시’와 달리 잎집 끝이 대개 밋밋하고 잎의 열편은 넓으며 성모가 적다.. 2022. 10. 21.
고마리(식물 > 쌍자엽식물 이판화 > 마디풀과(Polygonaceae) 1년생 초본으로 종자로 번식한다. 전국적으로 분포하며 들의 습지나 개울가에서 자란다. 줄기는 길이 50~100cm 정도로 옆으로 비스듬히 자라고 땅에 닿은 마디에서는 뿌리가 내리며 가지가 갈라진다. 어긋나는 잎의 잎몸은 길이 4~8cm, 너비 3~6cm 정도의 난형으로 밑부분이 심장저이며 짙은 녹색으로 약간의 털이 있고 윤기가 없다. 밑부분의 잎은 잎자루가 있으나 윗부분의 잎은 짧아지고 흔히 날개가 있으며 소엽같이 달리는 잎집은 길이 4~8mm 정도로 가장자리에 짧은 털이 있다. 8~9월에 개화한다. 화경에 짧은 털과 대가 있는 선모가 있고 꽃은 붉은빛이 도는 꽃 또는 백색바탕에 붉은빛이 도는 꽃과 흰빛이 도는 꽃이 있다. ‘나도미꾸리낚시’와 달리 잎집 끝이 대개 밋밋하고 잎의 열편은 넓으며 성모가 적다.. 2022. 10. 21.
고슴토치풀 열매( 현화식물문 > 목련강 > 아욱목 > 아욱과 > 고슴도치풀속) 산기슭이나 길가에 자라는 한해살이풀이다. 줄기는 곧추서며, 높이 60-120cm이다. 잎은 어긋나며, 난형 또는 타원형으로 길이 5-10cm, 폭 3-10cm, 끝은 뾰족하고 밑은 심장형이며, 가장자리는 세모난 톱니 모양이다. 잎 아래에서 3개의 잎맥이 나온다. 잎자루는 비교적 길다. 턱잎은 선형으로 끝은 날카로우며 뒤로 말린다. 꽃은 8-9월에 잎겨드랑이에서 나온 취산꽃차례에 빽빽하게 달린다. 꽃받침잎은 5장이고 끝에는 가시로 된 작은 털이 있다. 꽃잎은 5장으로 꽃받침잎보다 짧다. 열매는 삭과, 둥글며, 갈고리 모양의 가시털이 있다. 우리나라 중부 이남에 자생한다. 2022. 10. 20.
잔대(속씨식물 > 쌍떡잎식물강 > 초롱꽃목 > 초롱꽃과) 초롱꽃목 초롱꽃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 원산지는 한국, 일본, 중국, 대만 등이다. 한국의 모든 산야에서 널리 자란다. 뿌리는 곧고, 줄기에 털이 있다. 7~9월에 하늘색 꽃이 종 모양으로 핀다. 열매는 11월경에 달린다. 연한 부분과 뿌리는 식용하며 뿌리는 경기·해독·거담에 사용한다. 2022. 10. 20.
해국(식물 > 쌍자엽식물 합판화 > 국화과(Asteraceae) 상록성 반관목성 혹은 다년생 초본으로 근경이나 종자로 번식한다. 중남부지방에 분포하며 해변에서 자란다. 줄기는 높이 20~40cm 정도이고 비스듬히 자라며 기부에서 여러 갈래로 갈라진다. 잎은 어긋나지만 밑부분의 것은 모여 난 것처럼 보이고 잎몸은 길이 3~12cm, 너비 1.5~5.5cm 정도의 주걱형 또는 도란형으로 양면에 섬모가 있으며 가장자리에 큰 톱니가 있다. 7~10월에 피는 두상화는 지름 3.5~4cm 정도이고 연한 자주색이다. 종자는 11월에 익고 관모는 갈색이다. ‘단양쑥부쟁이’와 달리 잎은 털이 많고 넓은 주걱형이며 두화가 크다. 바닷가에서 잘 자라며 어린순은 식용하고 관상용으로도 심는다. 2022. 10. 19.
꽃여뀌(풍경버젼)(마디풀목 > 마디풀과 > 여뀌속) 흔히 물가, 냇가, 습지 등 습한 곳에서 자라는 높이 50∼70cm의 여러해살이풀이다. 줄기는 원기둥 모양이고 뿌리줄기는 땅속에서 옆으로 길게 벋는다. 잎은 어긋나고 피침형이며 잎자루가 있고 끝이 뾰족하다. 꽃은 6∼7월에 연한 붉은 색으로 피고 줄기 끝에 수상꽃차례를 이루며 많은 수가 달린다. 열매는 삭과로 세모진 달걀 모양이다. 줄기와 잎은 약으로 쓴다. 2022. 10. 15.
비짜루 열매( 백합목 > 백합과 > 비짜루속) 다년생 초본, 키는 50~100㎝ 줄기는 원기둥형, 가지는 잎모양이며 3~7개씩 밀생 잎은 좁 은 선형, 납작하며 한쪽에 능선이 있음, 길이는 1~2㎝, 끝이 뾰족 꽃은 단성화, 암수딴그루, 5~6월 황백색 개화, 엽액에 2-6송이씩 달림, 길이는 2.5-3㎜, 종모양, 소화경은 마디가 있 음, 길이는 1~2㎜ 꽃밥은 심장형 열매는 장과, 구형, 붉게 성숙. 2022. 10. 13.
사데풀과 씨방(현화식물문 > 목련강 > 국화목 > 국화과 > 방가지똥속) 다년생 초본으로 근경이나 종자로 번식한다. 전국적으로 분포하며 해안지방의 들에서 자란다. 원줄기는 높이 30~90cm 정도이고 가지가 갈라진다. 모여 나는 근생엽은 개화기에 없어지고 어긋나는 경생엽은 길이 7~18cm, 너비 1~3cm 정도의 긴 타원형으로 밑부분이 좁아져서 원줄기를 감싼다. 가장자리가 불규칙한 우상으로 갈라지고 치아상의 톱니가 있으며 표면은 녹색이나 뒷면은 청회색이다. 7~10월에 산형으로 달리는 두상화는 설상화로 구성되고 황색이다. 수과는 길이 3.5mm 정도의 타원형으로 갈색이며 5개의 능선과 길이 12mm 정도의 백색 관모가 있다. ‘방가지똥’과 ‘큰방가지똥’에 비해 다년초로 근경이 옆으로 벋고 두상화가 크며 꽃은 밝은 황색이다. 어린순은 나물로 식용하며 사료로 이용하기도 한다. .. 2022. 10. 13.
산작약 열매((현화식물문 > 목련강 > 딜레니아목 > 작약과 > 작약) 깊은 산 숲 속에 매우 드물게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줄기는 높이 40-70cm이다. 잎은 어긋나며 2번 갈라지는 겹잎이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꽃은 5-6월에 줄기 끝에 1개씩 달리며 지름 7-10cm이고, 분홍색이다. 꽃잎은 5-7장이다. 수술은 많으며, 암술은 3-4개이고 자라면서 끝이 뒤로 휘어진다. 열매는 골돌이며, 끝에 붙어 있는 암술대가 갈고리 모양으로 구부러진다. 씨는 처음에는 붉은색이지만 익으면 검은색이 된다. 뿌리는 약용으로 쓴다. 2022. 10. 13.
천남성 열매(식물 > 단자엽식물 > 천남성과(Araceae) 다년생 초본으로 구경이나 종자로 번식한다. 전국적으로 분포하며 산지의 그늘진 습지에서 자란다. 초장이 20~30cm 정도이며 지름 2~4cm 정도의 구경은 편평한 구형이고 윗부분에서 수염뿌리가 사방으로 퍼지며 옆에 작은 구경이 2~3개 달린다. 원줄기의 겉은 녹색이나 때로는 자주색의 반점이 있다. 잎자루가 있는 잎에 달리는 소엽은 7~12개 정도이고 길이 10~20cm 정도의 난상 피침형으로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5~6월에 개화한다. 꽃은 2가화이고 포는 통부의 길이가 8cm 정도로 녹색이며 윗부분은 모자처럼 앞으로 굽는다. 꽃차례의 연장부는 곤봉형이고 옥수수 알처럼 달리는 장과는 적색으로 익는다. ‘둥근잎천남성’과 다르게 소엽은 7~12개이고 화병의 길이는 6~17cm 정도이며 포의 길이는 8cm .. 2022. 10. 13.
서흥구절초(초롱꽃목 > 국화과 > 산국속) 전체 모양이 구절초와 비슷하지만 설상화의 화관이 넓고 붉은빛이 돌며 털이 없는 것이 다르다. 황해도에 분포한다. 황해도가 고향이고 서흥 지역에 자생한 서흥 구절초. 2022. 10. 12.
쑥부쟁이(속씨식물 > 쌍떡잎식물강 > 국화목 > 국화과 > 참취속) 키는 1m까지 자라며, 뿌리줄기가 옆으로 기면서 뻗는다. 잎은 어긋나는데 아랫부분은 밋밋하나 중간 이상에는 톱니가 있다. 꽃은 7~10월경 줄기 끝의 두상 꽃차례에, 대롱 위에 혀 모양으로 피는 설상화는 자주색, 대롱 모양의 끝이 갈라진 통상화는 노란색으로 무리져 핀다. 열매에는 길이가 0.5㎜ 정도 되는 머리에 털이 달려 바람에 날린다. 어린순을 나물로 먹으며, 식물 전체를 건조시켜 해열제나 이뇨제로 쓴다. 2022. 10.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