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바로 지금이지. 그 때가 따로 있는 것은 아니다. 법정스님 .

전체 글7794

쑥부쟁이(속씨식물 > 쌍떡잎식물강 > 국화목 > 국화과 > 참취속) 키는 1m까지 자라며, 뿌리줄기가 옆으로 기면서 뻗는다. 잎은 어긋나는데 아랫부분은 밋밋하나 중간 이상에는 톱니가 있다. 꽃은 7~10월경 줄기 끝의 두상 꽃차례에, 대롱 위에 혀 모양으로 피는 설상화는 자주색, 대롱 모양의 끝이 갈라진 통상화는 노란색으로 무리져 핀다. 열매에는 길이가 0.5㎜ 정도 되는 머리에 털이 달려 바람에 날린다. 어린순을 나물로 먹으며, 식물 전체를 건조시켜 해열제나 이뇨제로 쓴다. 2022. 10. 11.
백부자(현화식물문 > 목련강 > 미나리아재비목 > 미나리아재비과 > 초오속) 산 숲 속에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덩이뿌리가 2-3개 발달한다. 줄기는 곧추서며, 높이 40-130cm이다. 잎은 어긋나며, 길이 4-6.5cm, 폭 3.5-6.5cm이다. 잎은 3갈래로 밑부분까지 갈라지고, 다시 2-3회 갈라지고, 마지막 갈래는 선형이다. 꽃은 8-10월에 피며, 줄기 끝의 총상꽃차례에 달리고 노란색 또는 흰색 바탕에 자줏빛이 돈다. 꽃받침잎은 5장이고, 위쪽 꽃받침잎은 투구 모양이고 곁꽃받침잎은 난형이다. 꽃잎은 2장, 위쪽 꽃받침잎 속에 들어 있고, 꿀샘으로 된다. 열매는 골돌과이다. 우리나라 전역에 자생한다. 러시아, 몽골, 중국에 분포한다. 2022. 10. 9.
흰투구꽃(현화식물문 > 목련강 > 미나리아재비목 > 미나리아재비과 > 초오속) 전국의 산 숲 속에 비교적 흔하게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세계적으로는 중국 동북부, 일본, 러시아 우수리 지역 등지에 분포한다. 줄기는 곧추서며, 높이 80-100cm다. 잎은 어긋나며, 3-5갈래로 갈라지고, 갈래 끝이 뾰족하다. 줄기 위쪽의 잎은 점점 작아지고, 3갈래로 갈라진다. 꽃은 9월에 줄기 끝과 잎겨드랑이에서 난 총상꽃차례 또는 겹총상꽃차례에 피며, 투구 모양, 보라색이다. 꽃자루는 곧고 퍼진 털이 난다. 꽃받침잎은 5장, 꽃잎처럼 보이고, 겉에 털이 있다. 꽃잎은 2장, 위쪽 꽃받침 속에 있으며, 꿀샘으로 된다. 수술은 많고, 아래쪽이 날개처럼 넓어진다. 암술은 3-5개, 털이 많다. 열매는 골돌이며, 타원형이다. 맹독성 물질이 함유되어 있는 유독 식물이며 한방에서 약으로 쓴다. 2022. 10. 9.
투구꽃(현화식물문 > 목련강 > 미나리아재비목 > 미나리아재비과 > 초오속) 전국의 산 숲 속에 비교적 흔하게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세계적으로는 중국 동북부, 일본, 러시아 우수리 지역 등지에 분포한다. 줄기는 곧추서며, 높이 80-100cm다. 잎은 어긋나며, 3-5갈래로 갈라지고, 갈래 끝이 뾰족하다. 줄기 위쪽의 잎은 점점 작아지고, 3갈래로 갈라진다. 꽃은 9월에 줄기 끝과 잎겨드랑이에서 난 총상꽃차례 또는 겹총상꽃차례에 피며, 투구 모양, 보라색이다. 꽃자루는 곧고 퍼진 털이 난다. 꽃받침잎은 5장, 꽃잎처럼 보이고, 겉에 털이 있다. 꽃잎은 2장, 위쪽 꽃받침 속에 있으며, 꿀샘으로 된다. 수술은 많고, 아래쪽이 날개처럼 넓어진다. 암술은 3-5개, 털이 많다. 열매는 골돌이며, 타원형이다. 맹독성 물질이 함유되어 있는 유독 식물이며 한방에서 약으로 쓴다. 2022. 10. 9.
과남풀(현화식물문 > 목련강 > 용담목 > 용담과 > 용담속) 제주도를 제외한 전국의 높은 산 중턱 이상에 자라는 여러해살이풀로서 세계적으로는 중국 동북부, 일본, 러시아 동북부 등지에 분포한다. 줄기는 곧추서며 높이 100cm쯤이다. 잎은 마주나며 잎자루가 없다. 잎몸은 피침형 또는 좁은 피침형으로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3개의 맥이 뚜렷하다. 꽃은 줄기 끝과 윗부분의 잎겨드랑이에 여러 개가 달리며 보라색이다. 꽃 밑에 붙은 잎은 화관보다 길다. 꽃받침은 종 모양이며 5-6갈래로 갈라진다. 화관은 종 모양으로 5-6갈래로 갈라지고 갈래 사이의 부화관 갈래는 짧다. 수술은 5개, 암술은 1개다. 열매는 삭과이며 2갈래로 갈라진다. 약용으로 쓰인다. 2022. 10. 9.
주목 열매(겉씨식물 > 구과식물강 > 구과목 > 주목과 > 주목속) 꽃 : 암수딴그루로서 4월에 피며 수꽃은 6개의 비늘조각으로 싸여 있고 8~10개의 수술과 8개의 꽃밥이 있으며, 암꽃은 10개의 비늘조각으로 싸여 있다. 열매 : 열매는8 ~ 9월에 익으며 컵같은 적색 종의(육질씨껍질)안에 5mm의 종자가 들어 있다. 암수나무가 따로 있는데 암나무는 가을에 동그랗고 빨간 열매가 열리므로 더 아름답다. 2022. 10. 7.
산작약 열매(현화식물문 > 목련강 > 딜레니아목 > 작약과 > 작약) 깊은 산 숲 속에 매우 드물게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줄기는 높이 40-70cm이다. 잎은 어긋나며 2번 갈라지는 겹잎이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꽃은 5-6월에 줄기 끝에 1개씩 달리며 지름 7-10cm이고, 분홍색이다. 꽃잎은 5-7장이다. 수술은 많으며, 암술은 3-4개이고 자라면서 끝이 뒤로 휘어진다. 열매는 골돌이며, 끝에 붙어 있는 암술대가 갈고리 모양으로 구부러진다. 씨는 처음에는 붉은색이지만 익으면 검은색이 된다. 뿌리는 약용으로 쓴다. 2022. 10. 6.
마가목 열매(현화식물문 > 목련강 > 장미목 > 장미과 > 마가목속) 강원도 이남의 높은 산에 자라는 낙엽 작은키나무로 사할린, 일본에도 분포한다. 줄기는 높이 6-8m다. 어린 가지와 겨울눈에 털이 없고 겨울눈은 점성이 있다. 잎은 어긋나며 작은 잎 9-13장으로 된 깃꼴겹잎이다. 작은 잎은 긴 타원형 또는 피침형이며 가장자리에 날카로운 톱니가 있다. 꽃은 5-6월에 가지 끝의 겹산방꽃차례에 달리며 흰색이다. 열매는 이과이며 지름 5-6mm로 둥글고 10월에 붉게 익는다. 약용, 관상용 등으로 쓰인다. 2022. 10. 4.
물매화(3)(현화식물문 > 목련강 > 장미목 > 물매화과 > 물매화속) 물매화 단체 사진을 물속에 빠뜨려 담아 보려고 노력했지만 렌즈의 한계 자세의 불편함 물부족 등으로 원하는 사진이 제대로 나오지 못했네... 내년에는 초 광각렌즈 지참해서 한번 노력해 보아야겠다.^^ 2022. 10. 3.
물매화 봉오리(2)(립스틱)(현화식물문 > 목련강 > 장미목 > 물매화과 > 물매화속) 아직 다 피우지 않은 봉우리의 립스틱 물매화가 너무 예쁘고 귀여워한참을 정성을 다해 담아 보았다.빛이 좀 부족해서....그러나 흰빛에 난바사가 없는 장점이 있어 그런데로 만족해야했다.^^전국의 비교적 높은 산 습기가 많은 풀밭에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꽃줄기는 뿌리에서 여러 대가 나며 높이 20-40cm다.뿌리에서 난 잎은 잎자루가 길고 잎몸은 둥근 심장 모양이다.줄기잎은 보통 1장이며 밑이 줄기를 반쯤 감싼다.꽃은 8-10월에 1개씩 달리며 흰색, 지름 2-3cm다. 꽃잎은 5장이며 둥근 난형이다.수술은 5개이다.헛수술은 5개이며 12-22갈래로 실처럼 갈라지고 각 갈래 끝에 둥글고 노란 꿀샘이 있다출처: https://sjpark0.tistory.com/17452231 [부용의야생화사랑:티스토리] 2022. 10. 2.
물매화((현화식물문 > 목련강 > 장미목 > 물매화과 > 물매화속) 전국의 비교적 높은 산 습기가 많은 풀밭에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꽃줄기는 뿌리에서 여러 대가 나며 높이 20-40cm다. 뿌리에서 난 잎은 잎자루가 길고 잎몸은 둥근 심장 모양이다. 줄기잎은 보통 1장이며 밑이 줄기를 반쯤 감싼다. 꽃은 8-10월에 1개씩 달리며 흰색, 지름 2-3cm다. 꽃잎은 5장이며 둥근 난형이다. 수술은 5개이다. 헛수술은 5개이며 12-22갈래로 실처럼 갈라지고 각 갈래 끝에 둥글고 노란 꿀샘이 있다 2022. 10. 1.
쑥방망이(초롱꽃목 > 국화과 > 금방망이속) 다년생 초본으로 근경이나 종자로 번식한다. 전국적으로 분포하며 산지나 들에서 자란다. 줄기는 높이 80~160cm 정도이고 약간의 가지가 갈라지며 희미한 능선과 거미줄 같은 털이 있다. 모여 나는 근생엽은 개화기에 없어지고 어긋나는 경생엽은 길이 6~12cm, 너비 4~6cm 정도의 난상 긴 타원형으로 6쌍 정도의 열편이 있는 우상으로 깊게 또는 얕게 갈라지며 뒷면에는 털이 있다. 7~8월에 산방상으로 달리는 두상화는 지름 2~2.5cm 정도이고 황색이다. 수과는 길이 2~3mm 정도의 원추형으로 털이 없으며 관모는 길이 5.5mm 정도로 백색이다. ‘삼잎방망이’와 달리 잎은 잎자루가 없고 열편은 6쌍 정도이고 ‘민쑥방망이’에 비해 두상화가 적고 설상화관의 길이가 짧다. 관상용, 사료용, 식용으로 쓰인다. 2022. 9. 30.
애호리병벌(벌목 > 호리병벌과 > 향로잎벌속) 좀목형 나무 꽃을 담고 있는데 애호리병벌이 날아와 대낮에 사랑놀이를 하고 있네요. 꽃향기 맡으며 한참을 사랑놀이 하고 있어 많은 장면을 담을 수 있었습니다. 사랑가의 한대목 이리 오너라 업고 놀자가 생각나는 한장면입니다. 2022. 9. 29.
빅토리아연꽃 대관식 남아메리카 원산의 수련과 빅토리아속(Victoria) 식물을 말한다. 열대 지역에 서식하는 수생식물로 지름 최대 2m 정도의 거대한 잎과 향기로운 꽃이 특징이다. 잎과 줄기에 가시가 있어 ‘큰가시연꽃’이라고도 한다. 빅토리아속은 영국의 빅토리아 여왕을 기념하기 위해 붙여진 이름이다. ***** 빅토리아 연꽃은 다른 연꽃들과 달리 꽃봉오리로부터 시작하여 시들기까지 3일 정도 걸리는데 ​ 빅토리아 연꽃은 1일차 흰 꽃으로 시작하여 2일차 저녁이면 분홍색으로 변하고 꽃잎이 하나하나 벗겨지면서 왕관처럼 화려한 자태를 뽐내다가 3일 아침이면 서서히 물속으로 가라앉으며 일생을 마감한다. 2022. 9. 28.
종목형(현화식물문 > 목련강 > 꿀풀목 > 마편초과 > 순비기나무속) 산기슭 바위 지대에 자라는 떨기나무이다. 줄기는 가늘고, 가지가 많이 갈라지며, 높이 2-3m이다. 어린 가지는 네모가 지며, 털이 난다. 잎은 마주나며, 작은잎 4-5장으로 된 손바닥모양겹잎, 잎자루는 1-5cm이다. 작은잎은 피침형 또는 긴 타원으로 가장자리가 깊게 갈라진다. 꽃은 7-9월에 가지 끝의 원추꽃차례에 피며, 연한 보라색이다. 꽃받침은 종 모양이고 5갈래다. 화관은 깔때기 모양, 끝은 입술 모양인데 아랫입술이 더 크다. 열매는 핵과이며, 둥글고, 검게 익는다. 우리나라 중부 이남에 자생한다. 중국에 분포한다. 2022. 9. 28.
고마리(식물 > 쌍자엽식물 이판화 > 마디풀과) 1년생 초본으로 종자로 번식한다. 전국적으로 분포하며 들의 습지나 개울가에서 자란다. 줄기는 길이 50~100cm 정도로 옆으로 비스듬히 자라고 땅에 닿은 마디에서는 뿌리가 내리며 가지가 갈라진다. 어긋나는 잎의 잎몸은 길이 4~8cm, 너비 3~6cm 정도의 난형으로 밑부분이 심장저이며 짙은 녹색으로 약간의 털이 있고 윤기가 없다. 밑부분의 잎은 잎자루가 있으나 윗부분의 잎은 짧아지고 흔히 날개가 있으며 소엽같이 달리는 잎집은 길이 4~8mm 정도로 가장자리에 짧은 털이 있다. 8~9월에 개화한다. 화경에 짧은 털과 대가 있는 선모가 있고 꽃은 붉은빛이 도는 꽃 또는 백색바탕에 붉은빛이 도는 꽃과 흰빛이 도는 꽃이 있다. ‘나도미꾸리낚시’와 달리 잎집 끝이 대개 밋밋하고 잎의 열편은 넓으며 성모가 적다.. 2022. 9. 26.
낙상홍 열매(노박덩굴목 > 감탕나무과 > 감탕나무속) 낙상홍은 감탕나무과에 속하는 식물이다. 나무의 높으는 보통 2~3m정도이고, 잎은 긴 타원형으로 4~8cm정도이다. 열매는 작은 구슬모양이다. 꽃은 연분홍색으로 6월에 핀다. 2022. 9. 26.
새박열매(식물 > 쌍자엽식물 합판화 > 박과) 1년생 초본의 덩굴식물로 종자로 번식한다. 남부지방과 제주도에 분포하며 습지에서 자란다. 덩굴줄기는 길이 1~2m 정도로 잎과 마주나는 덩굴손으로 다른 물체를 감아 올라간다. 어긋나는 잎은 길이가 3~8cm, 너비 4~8cm 정도인 삼각상 심원형으로 심장저이고 끝이 뾰족하며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톱니가 있다. 7~8월에 자웅이화로 피는 꽃은 백색이다. 열매는 둥글고 과경이 밑으로 처지며 녹색이지만 익으면 회백색으로 된다. ‘산외’에 비해 종자는 과실속에 수평으로 달려 있다. 어린순은 나물로 식용하고 사료로 이용하기도 한다. 2022. 9.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