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바로 지금이지. 그 때가 따로 있는 것은 아니다. 법정스님 .

야생화와 풍경/야생화 사진2999

앵초 2021. 5. 10.
오월의 설중(얼레지,처녀치마,선괭이눈,한계령풀.등등) 5월 2일 오전 대관령과 오대산, 설악산,태백산에 신록에 봄눈이 내려 5월이라고는 믿기 힘든 설경이 연출 되었습니다. 오늘은 5월7일 하늘이 내려준 선물 같은 설중화를 감상해보세요. 춘설이라 사르륵 사르륵 녹는 것이 눈에 보일 정도 로 빠릅니다. 2013년 4월23일 설경 그리고 2020년 4월13일 설경과 야생화를 담아본후... 뉴스보도에 1999년 설경후. 2021년 5월2일에 설경이 22년만에 제일 늦께 내린 설경이라고 합니다. 오후엔 갖 피어나는 흰얼레지를 만나는 행운도 얻었습니다. 흰얼레지는 다음 편에 따로 올립니다. 어버이날 꽃찾아 다니기 등등 바쁜 일정에 글 올리기가 많이 늦었네요. 2021. 5. 7.
갯개미자리(분홍) 2021. 5. 3.
넓은잎각시붓꽃 2021. 4. 21.
앵초(1) 얼마나 터젼을 잘 잡고 사는지 명당자리에 살고 있는 앵초. 요리보고 저리 보며 열심히 담아 보았는데 결과물은 별로 마음에 않드네 작년에도 그 자리에 예쁘게 피었었는데 ... 올해도 그 자리에 예쁘게 피어서 반겨주더라~~~ 2021. 4. 20.
피나물(1) 2021. 4. 17.
미치광이풀 2021. 4. 16.
패모 2021. 4. 15.
구슬이끼 크기는 약 1~3cm이다. 사과 모양의 포자낭이 달리며 넓고 높은 방석 모양을 하고 자란다. 보통 곧추서서 자라고 윗부분이 두 갈래로 갈라졌으며 줄기 아랫부분은 적갈색으로 중절모 모양의 털이 있다. 각 잎의 윗부분은 가장자리가 톱니 모양이다. 원산지는 호주와 러시아, 북아메리카, 한국, 일본, 중국이고, 주로 북반구에 분포하며 산이나 땅, 암반, 암벽, 바위가 있는 숲에 서식한다. 습한 곳에서 잘 자란다. 2021. 4. 9.
구슬이끼속의 처녀치마 2021. 4. 8.
얼레지 2021. 4. 7.
산할미꽃(애기할미꽃) 2021. 4. 3.
깽깽이풀 2021. 3. 28.
꿩의바람꽃 2021. 3. 27.
노루귀 2021. 3. 26.
할미꽃 2021. 3. 23.
청노루귀 2021. 3. 22.
들바람꽃 2021. 3.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