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바로 지금이지. 그 때가 따로 있는 것은 아니다. 법정스님 .

야생화와 풍경/야생화 사진2999

포천 2020. 10. 26.
좀바위솔 잎 : 잎은 비늘모양이고 긴 타원형이며 끝이 송곳 끝 같고, 밑동 잎에는 손톱 모양의 부속물이 붙어 있다. 꽃 : 꽃은 9-10월에 피고 흰색이며 모여서 이삭꽃차례 모양으로 조밀하게 늘어서고 길이 3-4cm이다. 포는 달걀모양이며 끝이 뾰족하다. 곁꽃잎은 5장이고 긴 타원형이며 수술은 10개이고 자홍색이며 곁꽃잎과 길이가 같고 씨방은 5개이다. 열매 : 열매는 골돌로서 긴 타원형이고 양 끝이 뾰족하다. 줄기 : 높이 15cm 가량이다. 2020. 10. 26.
풍경 2020. 10. 19.
물매화 접사 2020. 10. 17.
서해안 해국 게시글 본문내용 분류 : 국화과 서식지 : 햇볕이 잘 드는 암벽이나 경사진 곳 꽃색 : 연한 자주색 크기 : 키는 약 30~60㎝ 정도 학명 : Aster sphathulifolius Maxim. 용도 : 관상용 분포지역 : 우리나라 중부 이남의 해변, 일본 개화기 : 7~11월 초 가까운 식물들 왕해국 : 전체적으로 해국보다 약간 크다. 꽃은 7~11월초에 피며 자주색이다. 갯국화 : 바닷가 벼랑이나 풀숲에 자라며, 꽃은 노란색으로 핀다. 다도해 등 남해안에 분포하며, 키는 약 30㎝ 정도이다. 2020. 10. 17.
참으아리씨방 2020. 10. 16.
참골무꽃 2020. 10. 16.
추암해국 2020. 10. 16.
물매화 분류 : 현화식물문 > 목련강 > 장미목 > 물매화과 > 물매화속 서식지 : 산지의 숲으로 가려지지 않은 경사 지대 학명 : Parnassia palustris L. var. multiseta Ledeb. 국내분포 : 경기도, 강원도, 경상북도, 경상남도, 전라북도, 전라남도, 북한 지방 해외분포 : 중국 동북부, 일본, 러시아 꽃줄기는 뿌리에서 여러 대가 나며 높이 20-40cm다. 뿌리에서 난 잎은 잎자루가 길고 잎몸은 둥근 심장 모양으로 길이와 폭이 각각 2-4cm다. 줄기잎은 보통 1장이며 밑이 줄기를 반쯤 감싼다. 꽃은 1개씩 달리며 흰색, 지름 2-3cm다. 꽃받침은 5장이며 녹색이다. 꽃잎은 5장이며 둥근 난형이다. 수술은 5개이고, 꽃밥은 터지기 직전에 회색이 도는 녹색이다. 헛수술은 5개.. 2020. 10. 5.
올방개 분류 : 현화식물문 > 백합강 > 사초목 > 사초과 > 바늘골속 서식지 : 습지 학명 : Eleocharis kuroguwai Ohwi 국내분포 : 중부 이남 해외분포 : 일본 꽃대는 높이 50~90cm, 지름 3-4mm로서 둥글며 흑록색이고 속이 비어 있으며 격막이 있다. 꽃은 7~10월에 피고 화수는 원주형이며 끝이 둥글고 길이 2~4cm, 직경 3~5mm로서 황록색 또는 볏짚색이다. 비늘조각은 좁은 타원형이며 길이 6-8mm로서 끝이 둥글고 뾰족하며 주맥이 뚜렷하지 않고 뒷면에 뚜렷하지 않은 맥이 있다. 암술대는 압축된 삼각형으로서 밑부분이 뚜렷한 반상체로 되며 수과보다 4~5배정도 길고 끝이 2~3개로 갈라진다. 화피열편은 침형이며 5-7개로서 수과보다 2.5배정도 길다. 열매 : 수과는 거꿀달걀.. 2020. 10. 5.
미국좀부처꽃 미국이 원산지이고 좀부처꽃 종류라는 뜻의 이름이다. 원산지가 북아메리카인 외래식물이며, 한해살이풀이다. 높이는 30~80㎝이다. 잎은 마주나기하고 피침형이며, 끝이 약간 뾰족하고 가장자리는 밋밋한 편이나 매우 짧은 돌기가 있다. 밑부분은 약간 넓어지면서 줄기를 살짝 감싼다. 길이는 3~8㎝, 폭은 0.4~1㎝이다. 잎자루는 없다. 꽃은 9~10월에 잎겨드랑이에 1~5개가 모여 홍자색으로 핀다. 꽃자루는 0.2~0.3㎝이다. 꽃받침은 통 모양이고 4개의 능선이 있으며, 끝이 4개로 얕게 갈라지고 갈래조각의 사이에 작은 돌기가 있다. 꽃잎과 수술은 각각 4개씩 달린다. 암술은 1개이고 암술머리는 납작하다. 열매는 여러 개의 방에서 튀어나오는 삭과(蒴果)이고 달걀을 거꾸로 세운 모양의 구형이며 꽃받침 안에 들.. 2020. 10. 5.
세잎돌쩌귀 분류 : 미나리아재비목 > 미나리아재비과 > 투구꽃속 꽃색 : 파란색, 자주색 학명 : Aconitum triphyllum Nakai 개화기 : 9월 만주에 분포한다. 전남(지리산), 전북, 강원(삼악산, 오대산), 경남, 경북, 충북(속리산), 경기도에 야생한다 돌쩌귀풀이라고도 한다. 잎이 3개이고 돌쩌귀 모양의 꽃이 핀다 하여 세잎돌쩌귀라는 이름이 붙었다. 덩이뿌리에서 나온 줄기가 곧게 서거나 약간 비스듬히 서서 자란다. 주로 산에 야생하는 유독초이다. 관상용·약용으로 이용된다. 덩이뿌리를 초오라 하며 약재로 사용한다. 약으로 쓸 때는 탕으로 하거나 환제 또는 산제로 하여 사용한다. 외상에는 짓이겨 붙인다. 꽃 : 9월에 하늘색 꽃이 피는데 줄기 위쪽과 끝 부분의 잎겨드랑이에서 나온 꽃대 끝에 총상 .. 2020. 10. 5.
흰물봉선 분류 : 식물 > 쌍자엽식물 이판화 > 봉선화과(Balsaminaceae) 학명 : Impatiens textori var. koreana Nakai 북한명칭 : 흰물봉숭 본초명 : 야봉선화(野鳳仙花, Ye-Feng-Xian-Hua) 1년생 초본으로 종자로 번식한다. 중북부지방에 분포하며 산지나 들의 습지에서 자란다. 곧추서는 원줄기는 높이 50~100cm 정도이고 가지가 많이 갈라지며 연하고 마디가 튀어나온다. 어긋나는 잎은 ‘물봉선’과 같다. 8~9월에 개화하며 총상꽃차례에 달린 꽃은 흰색으로 자주색의 반점이 있다. 2020. 10. 4.
곡정초 분류 : 곡정초과(Eriocaulaceae) 서식지 : 얕은 연못 또는 논밭 학명 : Eriocaulon sieboldianum S. et Z. 본초명 : 곡정초(穀精草) 분포지역 : 한국(중, 남부), 일본, 대만, 중국, 인도, 인도지나, 필리핀, 아프리카 일년생 초본 잎은 총생, 길이 2~8㎝, 폭 1~2㎜, 예철두 꽃은 8~9월 백색 개화, 두상화서, 10개의 꽃으로 이루어짐, 총포편은 난상 피침형 수술은 6개, 꽃밥은 백색 자방은 3실, 암술대는 3개 2020. 10. 4.
버들바늘꽃 분류 : 도금양목 > 바늘꽃과 > 바늘꽃속 꽃색 : 주황색 학명 : Epilobium palustre L. 개화기 : 7월, 8월 분포지역 : 일본, 중국, 러시아, 인도, 네팔, 미국, 유럽 / 한국(강원도 정선군; 경상북도 울릉군) 꽃은 7-8월에 피며 연한 홍색이고 줄기나 가지끝 잎겨드랑이에서 핀다. 꽃자루에 굽은 털이 밀생하며 꽃받침은 길이 4-5mm로 4개의 피침상의 열편이 있다. 꽃잎도 4개이며 길이 5-8mm로서 거꿀달걀모양이고 끝이 오목하다. 씨방은 굽은 털이 밀생하며 샘털이 약간 있고 8개의 수술과 1개의 암술이 있으며 암술머리는 굵은 곤봉형이다. 2020. 10. 4.
수박풀 2020. 10. 4.
검정말 분류 : 현화식물문 > 백합강 > 택사목 > 자라풀과 > 검정말속 서식지 : 저수지, 하천, 연못 학명 : Hydrilla verticillata (L. f.) Royle 국내분포 : 전국 해외분포 : 구대륙, 북미(귀화) 저수지나 연못에 자라는 침수성 여러해살이풀이다. 줄기는 여러 갈래로 갈라지고 녹색 또는 갈색이다. 잎은 길이 6-20mm, 폭 1-3.5mm의 선형으로 층을 이루어 3-9장이 돌려난다. 꽃은 7-10월에 피며, 잎겨드랑이에서 나오며 포에 싸여 성숙한다. 수꽃은 성숙하면 식물체에서 분리되어 물 위에 떠오르고 암꽃은 물 위에서 개화한다. 열매는 폐과로 길이 1-3cm로 간혹 표면에 가시 모양의 돌기가 발달한다. 씨는 갈색으로 방추형이다.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구대륙에 널리 분포하며 북미에는.. 2020. 10. 4.
놋젓가락나물 분류 : 미나리아재비과 서식지 : 물 빠짐이 좋은 숲 속 나무 아래 꽃색 : 보라색 또는 자주색 학명 : Aconitum ciliare DC. 용도 : 관상용, 뿌리는 약재 분포지역 : 우리나라, 중국, 시베리아 개화기 : 8~9월 결실기 : 10~11월 놋젓가락은 놋쇠로 만든 젓가락을 말한다. 줄기가 젓가락을 닮았고, 잘 휘어져서 붙여진 이름이다. 지방에 따라서는 놋젓가치라고도 하는데, 젓가치는 젓가락의 사투리이다. 나물이라는 이름은 붙었지만 실제로 식용하지는 않으며, 단지 뿌리를 ‘초오(草烏)’라고 하는 약재로 사용한다. 우리나라 각처의 산지에서 자라는 덩굴성 여러해살이풀이다. 덩굴식물이므로 다른 식물을 감아 올라가며 자란다. 주로 물 빠짐이 좋은 숲 속 나무 아래에서 자라는 반그늘 식물로, 덩굴 길.. 2020. 10.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