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생화와 풍경/야생화 사진2999 복수초와 너도바람꽃 2021. 3. 16. 복수초 2021. 3. 16. 너도바람꽃 2021. 3. 14. 노루귀 2021. 3. 12. 붉은대극 2021. 3. 10. 설중 너도바람꽃 강원 영동지역 폭설 소식입니다. 90cm 이상 쏟아진다는 일기예보... 강원도로 꽃을 보러 가는 것은 무리 남쪽으로 눈오는 지역을 찾아 너도 바람꽃을 찾아 가는길 서울을 벗어 나면서 와~~~환상 이었습니다. 전날 비가 온후 기온이 낮아져 눈으로 변하니 습설로 인해 설화가 만발 아름다움에 감격 감탄사를 연발하게 했습니다. 벚꽃 터널과 같은 눈꽃 설화 터널을 지나 현장에 도착하니 일기 기상 예보엔 1센치 정도 온다는 눈이 2센치도 넘게 내려 키작은 조그마한 꽃을 찾을 수 없어 2차 기행지로 발길을 돌린후 3시간 후쯤 다시 찾아오니 봄눈 녹듯 한다’ 라는 말이 실감 날정도 감쪽 같이 너도바람꽃 위에 눈은 사라지고 어수선한 모습만 보여줍니다. 노력이 아까워 마음에 들지는 않지만 그래도 3월의 설중꽃 이랍니다. 2021. 3. 3. 너도바람꽃(쌍두) 2021. 3. 1. 큰개불알풀 (봄까치꽃) 2021. 2. 27. 변산바람꽃 2021. 2. 25. 복수초(도심속) 도심속(홍능수목원)에서 우연히 반가운 님들 몇분 만나뵈워 기분 좋았던 하루 2021. 2. 21. 설중 福壽草 올해도 이렇게 예쁜 설중 福壽草 를 여러분 만나기 祈願 합니다. 명절 즐겁게 잘 보내셨지요.? 남은 연휴에도 즐겁고 건강하시고 행복하세요.^^ 2021. 2. 13. 박주가리의 여행 2021. 2. 7. 큰여우콩 큰여우콩은 콩과 여우콩속의 덩굴성 다년초로포기 전체에서 갈색 털이 나며 잎은 어긋나기고 3출엽입니다.꽃은 7~8월에 황색으로 피고 잎겨드랑이에 총상꽃차례로 달립니다.10월에 성숙되며 협과(莢果)로서 꼬투리는 편평한 타원형이고 길이 15~17mm,나비 8mm로서 대가 거의 없으며 양면에 털이 있으나 봉선(縫線) 이외에는 털이 없는 것도 있으며익으면 겉에 잔털이 있고 붉은빛이 돌고 2개의 흑색 종자가 들어 있으며꼬투리가 터진 다음에도 종자가 달려있다.******열매가 매력적인 큰여우콩 두 개의 검은 종자가 정말 여우의 눈을 많이 닮았습니다.^^출처: https://sjpark0.tistory.com/17452337 [부용의야생화사랑:티스토리] 2021. 1. 30. ??? 이름을 아시는분 2021. 1. 30. 흰눈속에 사랑에 꽃 허허벌판 흰 눈속에 땅을 녹이고 있는 갈잎 한장 설중 복수초를 만난 것 보다 더 가슴 설레던 순간.! 아~~ 이순간 어느 야생화 보다 더 귀한 너의 존재에 행복했었다. 심장이 멈추어 삶과 죽움에 경계를 넘나들듯 가슴이 콩닦거렸다. 겨울내내 답답했던 매마른 가슴속에 사랑의 불씨를 쏱아 부었던... 흰눈속에 사랑의 꽃!!! 2021. 1. 25. 설중 나문재 2021. 1. 25. 설중 갯질경 2021년 1월 13일 대부도 바닷가에서... 엄동 설한 영하16~18도를 넘나 드는데... 세상에나 아직도 노오란색을 발하며 딱 한포기 나를 빵끗 웃으며 반겨주었다. 어찌 엄동설한 칼바람에 땅을 녹이며 나를 반겨주는가? 모두가 앙상한 가지만 남아있는데 노오란 꽃을 만날 수 있다는 것은 횡제였다. 꽃이 남아 있지않으면 겨울에 담아 본적이 없어 무엇일까? 궁금증에 냉가슴 알을 뻔했다. 갯질경이과 두해살이풀. 키는 30~60cm자라고 꽃은 9~10월에 핀다 생김새가 질경이와 비슷하고 바닷가에 자라므로 갯질경이란 이름이 붙었습니다. 2021. 1. 22. 설중 배풍등 살 어름판을 달려가 보았습니다. 역시 기대를 저버리지 않고 빨간 얼굴을 내밀며 반겨 주었습니다. 사진담는 동안 나무위에서 눈덩이가 솥아지니 그런데로 느낌은 좋았다. 이곳엔 아직도 배풍등이 그런데로 싱싱하며 낮은 대나무위에 얹혀서 살고있다.^^ 2021. 1. 8. 이전 1 ··· 40 41 42 43 44 45 46 ··· 16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