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바로 지금이지. 그 때가 따로 있는 것은 아니다. 법정스님 .

야생화와 풍경/야생화 사진2999

귀요미 물매화 2020. 9. 30.
물매화 2020. 9. 30.
미색물봉선 분류 : 현화식물문 > 목련강 > 쥐손이풀목 > 봉선화과 > 물봉선속 서식지 : 산지의 습지 학명 : Impatiens nolitangere L. var. pallescens Nakai 국내분포 : 경상북도(울릉도) 해외분포 : 일본 본 종은 노랑물봉선에 비해 꽃 색이 옅으며, 꽃을 정면에서 볼 때 하측화판이 날개 모양으로 벌어져 있고 꽃의 크기도 크며 거(距)가 거의 굽지 않고 수평으로 곧게 뻗으므로 구분된다. 한해살이풀이다. 전체가 연하고 육질이며 털이 없다. 줄기는 곧추서며 가지가 갈라지고 높이 40-80cm이다. 잎은 어긋나며 긴 타원형으로 잎자루를 제외하고 길이 4-8cm, 폭 2.5-4.0cm이며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다. 꽃은 잎겨드랑이의 총상꽃차례에 1-5개가 달리며 연한 노란색이고 지.. 2020. 9. 27.
별나팔꽃 2020. 9. 26.
벌과 별나팔꽃 2020. 9. 26.
공단풀 분류 : 아욱목 > 아욱과 > 공단풀속 학명 : Sida spinosa L. 구로공단에서 처음 발견된 풀이라고 해서 이름이 붙은 아메리카 원산의 한해살이 귀화식물이다. 잎자루 밑 부분에 가시 모양의 돌기가 있어 ‘가시아욱’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공단풀은 꽃이 피는 시간이 대략 9~10시30분경 꽃이피면 1시간 만에 꽃잎을 닫아 시간을 잘 맞추지 않으면 공단풀의 꽃을 볼 수 없다. 나도 잘아는 전의식 선생님께서 구로공단에서 발견해 공단풀로 명명하셨다는데 재미있는 것은 공단풀의 속명이 일본어 시다바리(したばり)의라는 것이다. 정확한 학명 : Sida spinosa L. 일본어 시다바리(したばり)는 및에서 일하다는 일본말 그런데 왜 공단풀은 그렇게 까칠하게 놀까.? 시간이 일러도 늦어도 꽃잎을 볼수 없는 까칠.. 2020. 9. 17.
별꽃과 애기나팔꽃 사이좋게 이웃하고 살아요.^^ 분류 : 현화식물문 > 목련강 > 가지목 > 메꽃과 > 고구마속 원산지 : 북아메리카 서식지 : 길가, 경작지 주변 크기 : 길이 0.6~3.3m 학명 : Ipomoea lacunosa L. 꽃말 : 허무한사랑, 풋사랑, 기쁜소식, 거짓, 애교, 애정, 결속 국내분포 : 경기도, 인천 해외분포 : 북아메리카(원산), 아시아, 유럽(귀화) 개화기 : 7~9월 북아메리카 원산의 귀화식물로 우리나라에는 경기도와 인천에서 주로 발견되며 아시아와 유럽에도 귀화하여 분포한다. 줄기는 덩굴성이고 길이 2m에 이르며, 전체에 흰색 털이 있다. 잎은 어긋나며, 난형 또는 원형으로 끝이 길게 뾰족해지고, 앞면에 흰색 털이 드물게 있다. 꽃은 7-10월에 흰색 또는 연분홍색으로 피며, 잎겨드랑이에서 나온 꽃자루에 1-3개가.. 2020. 9. 13.
애기나팔꽃 분류 : 현화식물문 > 목련강 > 가지목 > 메꽃과 > 고구마속 원산지 : 북아메리카 서식지 : 길가, 경작지 주변 크기 : 길이 0.6~3.3m 학명 : Ipomoea lacunosa L. 꽃말 : 허무한사랑, 풋사랑, 기쁜소식, 거짓, 애교, 애정, 결속 국내분포 : 경기도, 인천 해외분포 : 북아메리카(원산), 아시아, 유럽(귀화) 개화기 : 7~9월 북아메리카 원산의 귀화식물로 우리나라에는 경기도와 인천에서 주로 발견되며 아시아와 유럽에도 귀화하여 분포한다. 줄기는 덩굴성이고 길이 2m에 이르며, 전체에 흰색 털이 있다. 잎은 어긋나며, 난형 또는 원형으로 끝이 길게 뾰족해지고, 앞면에 흰색 털이 드물게 있다. 꽃은 7-10월에 흰색 또는 연분홍색으로 피며, 잎겨드랑이에서 나온 꽃자루에 1-3개가.. 2020. 9. 12.
흰물봉선 2020. 9. 12.
절굿대 분류 : 속씨식물 > 쌍떡잎식물강 > 국화목 > 국화과 원산지 : 아시아 (대한민국,일본) 서식지 : 풀밭 크기 : 약 1m 학명 : Echinops setifer 꽃말 : 경계 용도 : 무침용, 볶음용, 약용 등 *** 국화과에 속하는 1년생초. 한국과 일본이 원산지이며, 풀밭이나 양지바른 산기슭에 서식하며, 한국에서는 전 지역에 분포하고 있다. 크기는 약 1m이다. 꽃은 7~8월경에 피고, 열매는 8월에 맺는다. 꽃말은 ‘경계’이다. 꽃은 관상용으로 사용되며, 꽃과 뿌리는 한방에서 약재로 사용된다. 잎은 나물로 먹는다. 2020. 9. 9.
숫잔대 분류 : 초롱꽃목 > 초롱꽃과 > 숫잔대속 꽃색 : 자주색 학명 : Lobelia sessilifolia Lamb. 개화기 : 7월, 8월 분포지역 제주도 및 남부 다도해 지역을 제외한 전국 2020. 9. 7.
올챙이솔 분류 : 자라풀과(Hydrocharitaceae) 학명 : Blyxa japonica (Miquel) Maximowicz ex Aachers & Gurke 국내분포 : 낙동강 김해 **** 논이나 연못 물속에서 자란다. 우리 나라 중부 이남 지역에 산다는 한해살이 풀로 침수성 수생식물이다. 꽃은 7-9월에 피고 열매는 8-10월에 익는다. 중부 이남에 산다는 올챙이솔이 어찌 ? 강화도에서도 먼 석모도에 산골짜기 묵논에서 수천 개체가 발견되어 2~3년전 부터 꽃쟁이 들에 관심사가 되었다. 작아도 너무 작은 확대경으로 들여다 보아야만 속을 볼수 있는 작은 너. 예전에는 중부 이남에 존재 하였다는 애가 농약에 의해 다 없어지고 오직 이곳에서 명맥을 유지하고 있는데 언제 사라질지? 버려져 농사를 짓지 않는 묵논.. 2020. 8. 25.
왕별꽃 분류 : 현화식물문 > 목련강 > 석죽목 > 석죽과 > 별꽃속 서식지 : 산지 풀밭, 강가 학명 : Stellaria radians L. 국내분포 : 북부지방 해외분포 : 러시아, 중국, 일본 북방계 식물인 왕별꽃 백두산에서 담아 본지 10년이 넘었는데... 이얘가 경기도 북부지방에 나타났다. 국내에서는 처음 발견된 곳. 어찌 이 먼곳 까지 번식했는지 궁금하다. 새들이 먹이를 먹고 씨를 날아다 준 선물일까? 아니면 개천가 주변이니 북에서 부터 물에 떠 내려왔을까.? 여하튼 백두산을 가지 않아도 만날 수 있다는 것에 반갑고 고마운 현상이다.^^ 2020. 8. 24.
뻐꾹나리 분류 : 백합목 > 백합과 > 뻐꾹나리속 꽃색 : 자주색, 백색, 노란색 학명 : Tricyrtis macropoda Miq. 개화기 : 7월 백합과에 속하는 다년생초. 꽃의 모양과 무늬가 뻐꾹새와 비슷하며 나리꽃과 유사하게 생겼다는 이유로 이런 이름이 붙었다. 일본, 중국에 분포하며 한국에서는 중부지역 이남의 숲속에 전국적으로 자생한다. 어린 순을 식용하며 약재로도 사용한다. 2020. 8. 17.
땅나리 2020. 8. 13.
노랑망태버섯의 일생 Gif 새벽 6시부터 2시간에 걸처 담은 숲 속에서 춤추는 요정 노랑망태버섯의 일생입니다. 10여년 동안 노랑망태벗섯을 담아 보앗지만.... 성장하면서 신부의 드레스입은 모습은 처음 담아 보면서 모기에게 헌혈은 당연지사.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버섯의 일생을 담아 보았습니다. 버섯이 피어나면서 춤추는 발레리나에 모습에서... 나중에는 신랑 신부에 면사포 쓰는 모습까지... 연출을 해도 이렇게 아름다운 노랑망태버섯의 일생을 연출할 수 는 없었을겁니다. 아름다운 장면을 담아 볼수 있었음에 감사 하면서 모기에게 헌혈 보상 많이 했습니다.^^ **** 120장을 1분 간격으로 담았지만 용량상 33장을 선택 줄여 만들어 보았습니다. 다음은 동영상으로 촬영하면 훨씬 성장과정을 매끄럽게 감상할수 있겠습니다.^^ 노랑망태버섯.. 2020. 8. 10.
노랑망태버섯.2( 결혼식 올렸어요.^^) 새벽 6시부터 2시간에 걸처 담은 숲 속에서 춤추는 요정 노랑망태버섯의 일생입니다. 10여년 동안 노랑망태벗섯을 담아 보앗지만.... 성장하면서 신부의 드레스입은 모습은 처음 담으면서 모기에게 헌혈은 당연지사.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버섯의 일생을 담아보았습니다. 총 120장의 사진 완성까지 오전 6시 시작 마침시간 오전 8시 2시간 촬영 2020. 8. 9.
노랑망태버섯 1(발레리나 입니당.^^) 새벽 6시부터 2시간에 걸처 담은 숲 속에서 춤추는 요정 노랑망태버섯의 일생입니다. 10여년 동안 노랑망태벗섯을 담아 보앗지만.... 성장하면서 신부의 드레스입은 모습은 처음 담으면서 모기에게 헌혈은 당연지사.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버섯의 일생을 담아보았습니다. 2020. 8.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