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바로 지금이지. 그 때가 따로 있는 것은 아니다. 법정스님 .

야생화와 풍경/야생화 사진3000

노랑망태버섯 1(발레리나 입니당.^^) 새벽 6시부터 2시간에 걸처 담은 숲 속에서 춤추는 요정 노랑망태버섯의 일생입니다. 10여년 동안 노랑망태벗섯을 담아 보앗지만.... 성장하면서 신부의 드레스입은 모습은 처음 담으면서 모기에게 헌혈은 당연지사.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버섯의 일생을 담아보았습니다. 2020. 8. 8.
참나리와 호랑나비 2020. 8. 2.
참나리<백합과 > 백합속> 산과 들에서 자라고 관상용으로 재배하기도 한다. 비늘줄기는 흰색이고 지름 5∼8cm의 둥근 모양이며 밑에서 뿌리가 나온다.줄기는 높이가 1∼2m이고 검은빛이 도는 자주색 점이 빽빽이 있으며 어릴 때는 흰색의 거미줄 같은 털이 있다.잎은 어긋나고 길이 5∼18cm의 바소꼴이며 녹색이고 두터우며 밑 부분에 짙은 갈색의 주아(珠芽)가 달린다.꽃은 7∼8월에 피고 노란빛이 도는 붉은 색 바탕에 검은빛이 도는 자주색 점이 많으며지름이 10∼12cm이고 4∼20개가 밑을 향하여 달린다. 화피피조각은 6개이고 바소꼴이며 뒤로 심하게 말린다.밀구(蜜溝)에 털이 있고, 6개의 수술과 1개의 암술이 길게 꽃 밖으로 나오며, 꽃밥은 짙은 붉은빛을 띤 갈색이다.열매를 맺지 못하고, 잎과 줄기 사이에 있는 주아가 땅에 떨어져 .. 2020. 8. 1.
삿갓나물(씨방) 분류 : 백합목 > 백합과 > 삿갓나물속 꽃색 : 노란색, 녹색 학명 : Paris verticillata M.Bieb. 개화기 : 7월, 6월 꽃 : 6~7월에 녹색으로 피는데 돌려난 잎들의 한가운데서 나온 1개의 꽃대 끝에 1개의 꽃이 달려 위를 향한다. 꽃받침은 옆으로 퍼진다. 바깥 꽃덮이는 4~5개이고 길이 2~4cm의 넓은 댓잎피침형 또는 좁은 달걀꼴로서 끝이 뾰족하며 녹색을 띤다. 안쪽 꽃덮이는 길이 1.5~2cm의 실 모양인데 누른빛이 돌며 나중에는 밑으로 처진다. 8~10개인 수술은 길이 5~7mm이고 수술대는 선형이며 꽃밥이 길다. 암술대는 4개이고 씨방은 자줏빛이 도는 갈색이다. 열매 : 8~9월에 지름 14~16mm의 둥근 삭과가 달려 자줏빛이 도는 검은색으로 익는다. 2020. 7. 8.
큰꽃옥잠난초 10여년 전에는 참나리난초 현재는 큰꽃옥잠난초, 키다리난초, 참나리난초, 키큰옥잠난초 아직도 말이 많은 녀석입니다. 강원도 홍천에서... 난의전문가도 아니요,식물학 전공자도 아니니 전문가들에 현명한 판단만 기다릴뿐...^^ 2020. 7. 8.
키다리난초(큰옥잠난초) 분류 : 현화식물문 > 백합강 > 난초목 > 난초과 > 나리난초속 서식지 : 깊은 산의 숲 속 학명 : Liparis japonica (Miq.) Maxim. 국내분포 : 제주도를 제외한 전국 해외분포 : 러시아(아무르), 일본, 중국 ***해설 *** 나리난초(L. makinoana Schltr.)에 비해 입술꽃잎의 크기가 1/2 정도로 작으므로 구분된다 키다리난초는 중부 이남의 산지에서 자라는 다년생 초본이다. 생육환경은 경사진 곳의 물 빠짐이 좋은 곳의 부엽질이 풍부하며 햇볕이 많이 들지 않는 곳에서 자란다. 키는 10~40㎝이고, 잎은 길이가 6~12㎝, 폭은 2.5~6㎝로 전년도의 헛알줄기 옆에서 2장이 나오며 잎의 기부가 줄기를 싸는 듯한 모양으로 발달되어 있다. 잎의 색은 연한 녹색이며 가운.. 2020. 7. 8.
선백미,금강박주가리(노란색,자색,씨방) 분류 : 박주가리과 서식지 : 햇볕이 잘 드는 양지 쪽의 부엽질이 많은 곳 꽃색 : 연한 노란색 크기 : 키는 약 30~60㎝ 정도 학명 : Cynanchum inamoenum (Maxim.) Loes. 용도 : 관상용, 뿌리는 약용 분포지역 : 우리나라와 중국, 일본, 사할린 등지 생활사 : 여러해살이풀 개화기 : 7~8월 결실기 : 10월경 선백미꽃은 백미꽃의 일종으로 ‘선’은 ‘서 있다’는 뜻이다. 키와 잎이 백미꽃과 거의 닮았는데, 꽃은 확실하게 구분이 되어, 백미꽃이 검은 자주색인 반면 선백미꽃은 연한 황색이다. 선백미꽃은 우리나라 각처의 산지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로, 햇볕이 잘 드는 양지 쪽의 부엽질이 많은 곳에 자라며, 키는 30~60㎝이다. 줄기는 곧게 서고, 달걀 모양 또는 타원형의 잎.. 2020. 7. 8.
검종덩굴(검은종덩굴) 분류 : 현화식물문 > 목련강 > 미나리아재비목 > 미나리아재비과 > 으아리속 서식지 : 건조한 숲 속 학명 : Clematis fusca Turcz. 국내분포 : 경기도, 함경도 양성꽃으로 7월초에 피며 종같고 길이 2~2.5cm로서 밑을 향하며 꽃대는 잎보다 짧고 잎겨드랑이에서 나와 1개의 어두운 보라색 정화(頂花)가 달린다. 화경은 화피열편과 더불어 암갈색의 털이 밀생하며 2개의 포가 중앙부에 있고 4개의 두꺼운 화피의 끝이 약간 뒤로 젖혀진다. 꽃부리 밑으로 향하며, 4개의 화피열편은 난원형으로 암갈색 털이 밀생한다. 수술은 많으며 수술대 윗부분에 백색 털이 있고 암술도 많다. 암술대는 갈색이 돌며 익으면 길이가 3cm에 달하고 깃모양이다. 2020. 7. 8.
금꿩의다리 분류 : 식물 쌍자엽식물 이판화 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ceae) 학명 :Thalictrum rochebrunianum var. grandisepalum (H. Lev.) Nakai 북한명칭 : 금가락풀 본초명 : 마미련(馬尾連, Ma-Wei-Lian), 시과당송초(翅果唐松草, Chi-Guo-Tang-Song-Cao) 다년생 초본으로 근경이나 종자로 번식한다. 중북부지방에 분포하며 산지의 숲에서 자란다. 원줄기는 높이 80~160cm 정도이고 가지가 갈라진다. 밑부분의 잎은 잎자루가 짧으며 3~4회 3출엽이고 소엽은 길이 2~3cm, 너비 15~25mm 정도의 도란형으로 3개의 둔한 톱니가 있다. 7~8월에 개화하며 원추꽃차례에 연한 자주색의 꽃이 핀다. 수과는 8~20개이며 넓은 긴 타원형으로 .. 2020. 7. 8.
덩굴박주가지 (녹화) 분류 : 용담목 박주가리과 백미꽃속 꽃색 : 노란색 학명 : Cynanchum nipponicum Matsum. 개화기 : 7월, 8월 분포지역 : 제주도, 강원도 이북 형태 : 덩굴성 여러해살이풀 2020. 7. 7.
덩굴박주가리 분류 : 용담목 박주가리과 백미꽃속 꽃색 : 노란색 학명 : Cynanchum nipponicum Matsum. 개화기 : 7월, 8월 분포지역 : 제주도, 강원도 이북 형태 : 덩굴성 여러해살이풀 2020. 7. 7.
털중나리 분류 : 백합목 > 백합과 > 백합속 꽃색 : 노란색, 붉은색 학명 : Lilium amabile Palib. 꽃말 : 순결, 진심, 존엄 개화기 : 6월,7월,8월 *** 제주도와 울릉도를 비롯한 전국의 해발 1,000m 미만 지역에서 자란다.*** 2020. 7. 3.
밀나물 분류 : 백합목 > 백합과 > 청미래덩굴속 꽃색 : 노란색, 녹색 학명 : Smilax riparia var. ussuriensis (Regel) Hara & T.Koyama 개화기 : 5월, 6월, 7월 다년생 초본의 덩굴식물이며 근경이나 종자로 번식한다. 전국적으로 분포하며 산이나 들에서 자란다. 덩굴성인 줄기는 2~4m 정도로 자라고 가지가 많이 갈라지며 능선이 있고 잎이 어긋난다. 잎은 길이 5~15cm, 너비 2.5~7cm 정도의 난상 긴 타원형이다.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표면은 털이 없으나 뒷면의 맥 위에 잔돌기가 있다. 잎자루는 길이 5~30mm 정도이고 밑부분에 턱잎이 변한 덩굴손이 있다. 5~6월에 개화하며 잎겨드랑이에서 나오는 화경은 잎자루보다 길고 산형꽃차례에 15~30개의 황록색 꽃이.. 2020. 6. 26.
물앵초( 꽃여뀌바늘,물달맞이꽃) 식물명 : 물앵초(water primrose) 학명 : Ludwigla peploides 분류 : 바늘꽃과 분포 : 호주,아프리카,남아메리카 형태 : 바늘꽃과 의 수생다년생 식물 생육환경 : 하천이나 연못, 저수지, 호수,땅에서 자생하는 수생식물 유래 : 떠다니는 앵초 "물앵초"는 바늘꽃과의 수생식물로 남아메리카에서 들어온 외래식물이라 하며, 아직 국생정 미기록 식물 상태로 "꽃여뀌바늘"라고도 부른다고 합니다. 하천에 들어갈수 있는 환경이 아니어서 200m로 항공 버젼으로 담아 아쉬움이 많습니다. 접사를 잘하면 꽃이 참 예쁘던데... 노랑색의 달맞이꽃을 닮아 물달맞이꽃 이라고도 부른다. 물에서 자라는 많은 식물들처럼 수질 정화 능력이 있으나 번식능력이 대단해서 다른 수생식물들에게는 위협적인 존재로, 부유.. 2020. 6. 23.
노루발풀 노루발과에 속하는 상록다년생초. 일본과 한국, 중국이 원산지이며, 얕은 산지의 햇볕이 잘 안 드는 숲 속에 서식한다. 뿌리줄기가 옆으로 뻗으면서 번식하며, 크기는 약 26cm이다. 꽃말은 ‘소녀의 기도’이다. 식물 전체를 한방에서 피임이나 각기병 치료에 약재로 사용한다. 2020. 6. 19.
털중나리 분류 : 백합목 > 백합과 > 백합속 꽃색 : 노란색, 붉은색 학명 : Lilium amabile Palib. 꽃말 : 순결, 진심, 존엄 개화기 : 6월,7월,8월 *** 제주도와 울릉도를 비롯한 전국의 해발 1,000m 미만 지역에서 자란다.*** 2020. 6. 15.
비비추란 분포 : 한국(충청남도 태안군, 전라남도 해남군, 제주도), 일본, 중국, 네팔, 미국 특징 : 세계에 약 4종, 한국에는 1종이 분포한다. 지상에 나는 1엽란으로 비비추같은 잎이 달리기 때문에 비비추난초라고 한다. 잎 : 잎은 좁은 달걀모양이고 길이 3.5-7cm,나비 1.5-3.5cm로서 끝이 점점 뾰족해지며 밑부분은 얕은 심장저이고 엽병은 길이 3-7cm이다. 꽃 : 꽃은 5-6월에 피며 연한 황록색이고 꽃대는 길이 20-35cm로서 밑부분에 2-3개의 초상엽이 있으며 5-15개의 꽃이 총상꽃차례를 이루고 포는 흔적만 있다. 꽃받침과 꽃잎은 좁은 거꿀피침모양이며 길이 4mm 정도로서 끝이 둔하고 입술모양꽃부리는 거꿀달걀모양이며 3개로 갈라지고 길이 3mm로서 뒤쪽에 길이 5mm 정도의 거(距)가 있.. 2020. 6. 12.
비너스도라지 꽃이 도라지를 닮았고 비너스거울속 식물이라는 뜻의 이름이다. 한해살이풀이고, 원산지가 북아메리카인 외래식물이다. 높이는 20~75㎝이다. 잎은 어긋나기하고 넓은 달걀형 또는 심장형이다. 가장자리에 3~6개의 자잘하고 무딘 톱니가 있으며, 긴 털이 있다. 길이는 0.5~3㎝, 폭은 0.7~2㎝이고, 잎자루 없이 줄기를 감싼다. 줄기나 잎을 자르면 하얀 액이 나온다. 꽃은 4~8월에 줄기 위쪽의 잎겨드랑이에 1~3개가 위를 향해 보라색으로 피며, 수상꽃차례를 이룬다. 드물게 흰색으로도 핀다. 줄기 아래쪽에는 닫힌꽃(폐쇄화)이 달리고 열매를 맺는다. 꽃받침은 끝이 5개로 깊게 갈라지고 갈래조각은 피침형이다. 닫힌꽃의 꽃받침조각은 작고 열린꽃(개방화)의 꽃받침조각은 크다. 화관은 5개로 갈라지고 보라색 줄무늬가.. 2020. 6.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