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바로 지금이지. 그 때가 따로 있는 것은 아니다. 법정스님 .

야생화와 풍경/야생화 사진3000

매화노루발 2020. 6. 12.
큰방울새란 볕이 잘 드는 습지에서 자란다. 뿌리줄기는 옆으로 뻗고, 줄기는 곧게 서며 높이가 15∼30cm이고 밑 부분에 막질(膜質:얇은 종이처럼 반투명한 것)의 비늘 조각이 있으며 중간에 잎이 1개 달린다. 잎은 약간 비스듬하게 서고 바소꼴 또는 줄 모양의 긴 타원형이며 길이가 5∼10cm, 폭이 7∼15mm이고 끝이 둔하며 밑 부분은 좁아져서 줄기에 붙고 좁은 날개처럼 흐른다. 꽃은 6∼7월에 붉은빛이 도는 자주색으로 피고 줄기 끝에 1개가 달린다. 포는 잎 모양이고 길이가 2∼4cm이다. 꽃받침 조각 중에 가운데 있는 것은 긴 타원 모양의 거꾸로 세운 바소꼴이고 끝이 둔하며, 옆에 있는 조각은 폭이 약간 좁다. 꽃잎은 5개이고 긴 타원 모양이며 끝이 둔하고 꽃받침보다 약간 짧다. 입술꽃잎은 꽃받침과 길이가 비.. 2020. 6. 12.
나도옥잠화(제비옥잠화) 고산지역에 자라는 종이며, 20여 곳 이상의 자생지가 있으나 개체수는 많지않다. 기후변화에 따른 자생지 환경의 악화가 우려된다. 자생지 확인 및 유전자원의 현지내외 보전. 2020. 6. 12.
지치 2020. 6. 10.
나도제비란 분류꽃색학명개화기 미종자목 > 난초과 > 난초속 분홍색 Orchis cyclochila (Franch. & Sav.) Soo 8월, 7월, 6월, 5월, 9월 2020. 6. 7.
복주머니난(개불알꽃, 요강꽃, 작란화 ) 난초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 식물이다. 지구상에 약 45종이 있는데, 북반구 온대지역에 나며, 중국과 우리나라 및 일본에 많이 분포한다. 우리나라에는 복주머니란, 털복주머니란, 노랑복주머니란, 광릉요강꽃 등이 있으며 모두 멸종 또는 희귀식물들이다. 2020. 6. 7.
산장대 분류꽃색학명개화기 양귀비목 > 십자화과 > 장대나물속 자주색, 붉은색, 백색 Arabis gemmifera (Matsum.) Makino 6월, 5월 2020. 6. 7.
꼭지연잎꿩의다리 분류꽃색학명개화기 미나리아재비목 > 미나리아재비과 > 꿩의다리속 자주색 Thalictrum ichangense Lecoy. ex Oliv. 6월 분포지역 : 설악산 이북에서 자란다 형태 : 여러해살이풀 크기 : 높이가 20cm에 달한다. 잎 : 잎은 엽병이 길고 1-2회 3출엽으로 작은잎자루가 있으며 소엽은 둥글고 작은잎자루가 밑에서부터 1/4정도 올라가서 달리므로 방패같고 밑에서부터 1/3정도의 가장자리에 둥근 치아모양톱니가 있고 길이가 3cm를 넘지 않으며 뒷면이 분백색이다. 꽃 : 꽃은 6월에 피며 연한 자주색이고 원줄기 끝에서 발달하는 작은 원뿔모양꽃차례에 달리며 꽃자루는 길이 5-20mm로서 가늘고 꽃받침조각은 4-5개로서 일찍 떨어지며 연한 자백색이다. 열매 : 수과는 능선과 맥이 뚜렷한 방추.. 2020. 6. 1.
검은솜아마존 분류 : 용담목 > 박주가리과 > 백미꽃속 꽃색 : 갈색, 붉은색 학명 : Cynanchum amplexicaule f. castaneum Ohwi 개화기 : 6월 7월 분포지역 : 충청도, 전라도 및 제주도 형태 : 여러해살이풀 잎 : 잎은 마주나기하며 엽병이 없고 원줄기를 반 정도 감싸며 도란상 긴 타원형 또는 긴 타원형이고 길이 4-8cm, 폭 2-4cm로서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끝이 뾰족하다. 꽃 : 꽃은 6-7월에 피고 지름 1cm정도로서 갈자색이며 꽃차례는 잎겨드랑이에서 나오고 잎보다 짧거나 같으며 꽃자루는 길이 3-7mm이다. 꽃받침조각은 5개로서 좁은 삼각형이고 때로는 가장자리에 잔털이 있으며 꽃잎은 좁은 난상 삼각형으로서 길이 3mm이고 덧꽃부리의 열편이 반원형이다 2020. 6. 1.
뻐꾹채 분류 : 현화식물문 > 목련강 > 국화목 > 국화과 > 뻐꾹채속 서식지 : 햇볕이 잘 드는 산지와 들 학명 : Rhaponticum uniflorum (L.) DC. 국내분포 : 전국 해외분포 : 중국, 몽골, 러시아 2020. 5. 19.
가래바람꽃 분류 : 현화식물문 > 목련강 > 미나리아재비목 > 미나리아재비과 > 바람꽃속 서식지 : 산기슭, 산골짜기 학명 : Anemone dichotoma L. 국내분포 : 북부지방 해외분포 : 러시아, 일본, 중국(동북부) 산골짜기에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전체에 잔털이 있다. 줄기는 곧추서며, 꽃대를 포함.. 2020. 5. 16.
고목위에 앵초(한모델 갖고 놀기) 분류 : 앵초과 서식지 : 배수가 잘되고 비옥한 토양의 반그늘 꽃색 : 홍자색 크기 : 키는 약 10~25㎝ 정도 학명 : Primula sieboldii E. Morren 용도 : 관상용, 어린순은 식용, 뿌리를 포함한 전초는 약용 분포지역 : 우리나라와 일본, 중국 동북부, 시베리아 동부 생활사 : 여러해살이풀 개화기 : 4월 결.. 2020. 5. 12.
새우난초(3) 새우난초는 제주도와 남해안, 서해안 일대에서 나는 다년생 초본이다.생육환경은 1,300m 이하의 숲 속 잡목림 사이의 물 빠짐이 좋고 햇볕이 잘 들어오며 토양이 비옥한 경사지에서 자란다.키는 20~50㎝이고, 잎은 길이가 15∼25㎝, 폭 4~6㎝이며 양끝이 좁고 주름이 있으며,첫해에는 2∼3개가 뿌리에서 나와 곧게 자라지만 다음해에는 옆으로 늘어졌다가 그 이듬해에는 사라지며달걀을 거꾸로 세운 모양의 긴 타원형이다.뿌리는 1년에 한 개씩 생기고 포복성으로 옆으로 벋으며 새우등과 같은 모양의 마디가 많고 잔뿌리가 다수 있다.꽃은 자주색과 녹갈색, 또는 연녹색으로 잎 사이에서 나온 약 15㎝ 정도의 다소 털이 있는 꽃줄기에꽃자루가 있는 여러 개의 꽃이 어긋나게 10여 개 이상이 붙어 밑에서부터 피기 시작하며.. 2020. 5. 9.
새우난초(2) 새우난초는 제주도와 남해안, 서해안 일대에서 나는 다년생 초본이다.생육환경은 1,300m 이하의 숲 속 잡목림 사이의 물 빠짐이 좋고 햇볕이 잘 들어오며 토양이 비옥한 경사지에서 자란다.키는 20~50㎝이고, 잎은 길이가 15∼25㎝, 폭 4~6㎝이며 양끝이 좁고 주름이 있으며,첫해에는 2∼3개가 뿌리에서 나와 곧게 자라지만 다음해에는 옆으로 늘어졌다가 그 이듬해에는 사라지며달걀을 거꾸로 세운 모양의 긴 타원형이다.뿌리는 1년에 한 개씩 생기고 포복성으로 옆으로 벋으며 새우등과 같은 모양의 마디가 많고 잔뿌리가 다수 있다.꽃은 자주색과 녹갈색, 또는 연녹색으로 잎 사이에서 나온 약 15㎝ 정도의 다소 털이 있는 꽃줄기에꽃자루가 있는 여러 개의 꽃이 어긋나게 10여 개 이상이 붙어 밑에서부터 피기 시작하며.. 2020. 5. 9.
새우난초(1) 새우난초는 제주도와 남해안, 서해안 일대에서 나는 다년생 초본이다.생육환경은 1,300m 이하의 숲 속 잡목림 사이의 물 빠짐이 좋고 햇볕이 잘 들어오며 토양이 비옥한 경사지에서 자란다.키는 20~50㎝이고, 잎은 길이가 15∼25㎝, 폭 4~6㎝이며 양끝이 좁고 주름이 있으며,첫해에는 2∼3개가 뿌리에서 나와 곧게 자라지만 다음해에는 옆으로 늘어졌다가 그 이듬해에는 사라지며달걀을 거꾸로 세운 모양의 긴 타원형이다.뿌리는 1년에 한 개씩 생기고 포복성으로 옆으로 벋으며 새우등과 같은 모양의 마디가 많고 잔뿌리가 다수 있다.꽃은 자주색과 녹갈색, 또는 연녹색으로 잎 사이에서 나온 약 15㎝ 정도의 다소 털이 있는 꽃줄기에꽃자루가 있는 여러 개의 꽃이 어긋나게 10여 개 이상이 붙어 밑에서부터 피기 시작하며.. 2020. 5. 9.
솜방망이(산방망이, 들솜쟁이, 고솜쟁이, 구설초, 소곰쟁이 ) 분류 : 현화식물문 > 목련강 > 국화목 > 국화과 > 솜방망이속 서식지 : 햇볕이 잘 드는 산지와 초지 학명 : Tephroseris kirilowii (Turcz. ex DC.) Holub 국내분포 : 전국 해외분포 : 중국 동부 및 동북부, 대만, 일본 2020. 5. 4.
조개나물 2020. 5. 4.
앵초 분류 : 앵초과 서식지 : 배수가 잘되고 비옥한 토양의 반그늘 꽃색 : 홍자색 크기 : 키는 약 10~25㎝ 정도 학명 : Primula sieboldii E. Morren 용도 : 관상용, 어린순은 식용, 뿌리를 포함한 전초는 약용 분포지역 : 우리나라와 일본, 중국 동북부, 시베리아 동부 생활사 : 여러해살이풀 개화기 : 4월 결.. 2020. 5.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