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생화와 풍경/야생화 사진3000 타래붓꽃 분류 : 백합목 > 붓꽃과 > 붓꽃속 꽃색 : 보라색 학명 : Iris lactea var. chinensis (Fisch.) Koidz. 개화기 : 5월, 6월 다년생 초본으로 근경이나 종자로 번식한다. 전국적으로 분포하며 산지나 풀밭의 습지에서 자란다. 근경에서 모여 나는 화경은 높이 15~25cm 정도이다. 선형의 잎은 길이 30~40cm, 너.. 2020. 5. 1. 구슬이끼와 처녀치마 분류 : 속씨식물 > 외떡잎식물강 > 백합목 > 멜란티움과 > 처녀치마속 원산지 : 아시아 (일본,대한민국) 서식지 : 산지의 습기 있는 곳 크기 : 약 17cm ~ 30cm 학명 : Heloniopsis koreana Fuse & al. 꽃말 : 절제 2020. 4. 26. 설중 선괭이눈 분류 : 장미목 > 범의귀과 > 괭이눈속 꽃색 : 노란색 학명 : Chrysosplenium pseudofauriei H.Lev. 개화기 : 8월 분포지역 : 제주, 강원, 평남, 함남북에 나며 만주, 아무르, 우수리에 분포한다. ***특징*** 바위괭이눈과 비슷하지만 꽃대가 모여서 나오며 줄기잎이 보다 작은 것이 다르다. 형태 : 여러.. 2020. 4. 20. 설중야생화들(한계령풀,선괭이눈, 연복초,꿩의바람꽃,산달래,족도리풀,복수초,왕버들) 와~~~대박입니다. 전전날 강원산간 지역에 폭설이 30 Cm 이상 내린다는 뉴스를 듣고 밤새 잠을 설쳐가며 고민 고민 하던 끝에 나선길 설마가 행운으로 닦아 왔습니다. 어제 밤사이에 내린 눈이 너무 많이 쌓여 있어 만항재에서 꽃을 찾을 수 가 없었다. 4월의 설경치고는 너무 많은 양인것 .. 2020. 4. 16. 구슬이끼 분류 : 선태식물 > 선강 > 참이끼목 > 구슬이끼과 원산지 : 오세아니아 (호주), 유럽 (러시아), 북아메리카, 아시아 (대한민국,일본,중국) 서식지 : 산, 땅, 암반, 암벽 크기 : 약 1cm ~ 3cm 학명 : Bartramia pomiformis 꽃말 : 모성애 *** 구슬이끼 북방계 희귀종 선태식물인 석회구슬이끼 사과 모.. 2020. 4. 8. 할미꽃 분류 : 속씨식물 > 쌍떡잎식물강 > 미나리아재비목 > 미나리아재비과 > 미나리아재비속 원산지 : 아시아 서식지 : 산, 들판 크기 : 약 30cm ~ 40cm 학명 : Pulsatilla koreana (Yabe ex Nakai) Nakai ex Mori 꽃말 : 충성, 슬픈 추억 *** 요즈음은 할미꽃도 세대 변화에 따라 변하는가 봅니다. 이 무덤가.. 2020. 4. 5. 애기괭이눈 분류 : 범의귀과 서식지 : 습기가 많은 계곡의 바위틈 꽃색 : 노란색 크기 : 키는 약 15㎝ 정도 학명 : Chrysosplenium flagelliferum F. Schmidt 용도 : 관상용, 잎과 줄기는 식용 분포지역 : 우리나라 각처, 일본, 사할린, 중국 동북부, 몽골 등지 생활사 : 여러해살이풀 개화기 : 4~5월 결실기 : 6월경 *** .. 2020. 4. 4. 처녀치마 분류 : 속씨식물 > 외떡잎식물강 > 백합목 > 멜란티움과 > 처녀치마속 원산지 : 아시아 (일본,대한민국) 서식지 : 산지의 습기 있는 곳 크기 : 약 17cm ~ 30cm 학명 : Heloniopsis koreana Fuse & al. 꽃말 : 절제 *** 백합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 한국과 일본 등에 분포하는 고산식물이다. 이른 .. 2020. 4. 2. 모데미풀 분류 : 속씨식물 > 쌍떡잎식물강 > 미나리아재비목 > 미나리아재비과 원산지 : 아시아 (북한,대한민국) 서식지 : 깊은 산 습지 또는 능선 근처 크기 : 약 20cm ~ 40cm 학명 : Megaleranthis saniculifolia Ohwi 꽃말 : 아쉬움, 슬픈 추억 *** 미나리아재비과에 속하는 다년초. 북한과 한국이 원산지이.. 2020. 4. 1. 꿩의바람꽃 쌍두 모음(일경이화 一莖二花) 분류 : 현화식물문 > 목련강 > 미나리아재비목 > 미나리아재비과 > 바람꽃속 서식지 : 산지의 숲 아래 습한 곳 학명 : Anemone raddeana Regel 국내분포 : 전국 해외분포 ; 중국, 일본, 러시아 동북부 *** 귀한 일경이화 一莖二花가 2평 남진한 곳에 10개체가 모여 살고 있는 장소가 있었다. .. 2020. 3. 24. 흰얼레지,얼레지 분류 : 속씨식물 > 외떡잎식물강 > 백합목 > 백합과 > 얼레지속 원산지 : 아시아 (일본,대한민국) 서식지 : 1000m 전후의 깊은 산 크기 : 약 30cm 학명 : Erythronium japonicum (Balrer) Decne. 꽃말 : 질투 *** 귀한 흰얼레지라고 해서 담아 왔지만 중부 지방에서 담아왔던 흰얼레지와는 너무도 차.. 2020. 3. 20. 청노루귀 학명 : Hepatica asiatica 분포지역 : 전국 각지 자생지역 : 숲속의 응달 약효 부위 : 온포기·뿌리줄기 과 : 미나리아재빗과 꽃 : 4~5월에 잎보다 먼저 흰색, 분홍색, 보라색이다. 묵은 잎 사이에서 나온 높이 6~12cm의 꽃줄기 끝에 1개씩 달린다. 꽃차례받침은 3개이고 꽃받침 모양으로 되며 흰 털이 빽빽이 난다. 꽃받침은 보통 연한 자줏빛이며 6~8개인 꽃받침 조각은 꽃잎처럼 보이는데 꽃잎은 없다. 수술과 암술은 다수이고 노란색이다. 2020. 3. 13. 붉은대극(민대극) 분류 : 현화식물문 > 목련강 > 대극목 > 대극과 > 대극속 서식지 : 숲 속 바위지대 학명 : Euphorbia ebracteolata Hayata 국내분포 : 강원도, 충청북도, 전라남․북도, 경상남․북도 해외분포 : 일본, 중국 뿌리줄기는 굵다. 줄기는 곧추 자라며 높이 40-50cm이다. 잎은 어릴 때 붉은 보라색을 .. 2020. 3. 8. 너도바람꽃 분류 : 미나리아재비과 서식지 : 산지의 반그늘 꽃색 : 흰색 크기 : 키는 약 15㎝ 정도 학명 : Eranthis stellata Maxim. 개화기 : 3월, 4월 분포지역 : 중국, 러시아 / 한국(경기도; 강원도; 충청북도; 충청남도; 경상북도; 경상남도; 제주도) 2020. 3. 4. 청노루귀(Hepatica asiatica) 분포지역 : 전국 각지 자생지역 : 숲속의 응달 번식 : 분근 약효 부위 : 온포기·뿌리줄기 생약명 : 장이세신(獐耳細辛) 키 : 30cm 정도 과 : 미나리아재빗과 생활사 : 여러해살이풀 *** 두귀쫑긋 신생아의 솜털 보숭보숭! 아침 일찍 아직 잠에서 덜깨 내려오는 길에 수줍고 고운 얼굴을 살짝 보고 올수 있었네.*** 잎보다 꽃이 먼저 핀다. 꽃은 이른봄 나무들에 잎이 달리기 전인 3~4월에 보라색으로 피나, 때때로 하얀색 또는 분홍색을 띠기도 한다. 꽃이 꽃줄기 끝에 잎에 앞서 한 송이씩 피고 열매는 수과(瘦果)를 맺는다. 3갈래로 나누어진 잎은 토끼풀의 잎과 비슷하며 꽃이 진 다음에 뿌리에서 나오는데... 털이 돋은 잎이 나오는 모습이 노루귀 같다고 해서 식물 이름을 노루귀라고 부른다. 민간에서는.. 2020. 3. 3. 복수초 분류 : 속씨식물 > 쌍떡잎식물강 > 미나리아재비목 > 미나리아재비과 > 복수초속 원산지 : 아시아 서식지 : 산지, 숲 속 크기 : 약 10cm ~ 30cm 학명 : Adonis amurensis Regel & Radde *** 복수초 물가 버젼을 담아 보려고 찾은곳... 계곡에 물이 적어 표현이 제대로 되지 못했네 아쉬운데로 ㅎ,^^**.. 2020. 3. 1. 변산바람꽃 분류 : 미나리아재비목 > 미나리아재비과 > 너도바람꽃속 꽃색 : 백색 학명 : Eranthis byunsanensis B.Y.Sun 개화기 : 4월, 3월 ** 이젠 경기도에도 변산처자가 올라왔지만 여러종류에 꽃님을 만나기위해 정말 오랫만에 아랫녘에서 변산처자를... 2020. 2. 29. 눈온날 설중 야생화들 서울에도 오랫만에 좀 눈다운 눈이 내렸다. 분주히 움직여 보았지만 아직 꽃들은 좀 기다렸다 오라한다. 올 겨울은 유난이 기온이 높아 아래녘에선 3월에나 피는 꽃들이 2월 중순부터 여기 저기서 올라오기 시작했으나 중부지방은 아직이다. 들꽃을 담는 진사님들은 마음이 많이 급한가 .. 2020. 2. 19. 이전 1 ··· 46 47 48 49 50 51 52 ··· 167 다음